• Title/Summary/Keyword: 형태 기반 특성

Search Result 1,89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4방향 윤곽선을 이용한 동영상에서 이동 물체 인식

  • Kim, Seong-Hun;Han, J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79-283
    • /
    • 2007
  • 움직이는 물체를 분류하는 것은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의 하나이다. 사람과 자동차는 영상 감사 시스템에서 인식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물체의 종류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식하는 물체의 종류를 이것들로 제한한다. 사용되는 특성으로는 물체의 움직임에서 추출되는 특성과 형태에서 추출되는 특성이 있다. 이 두 가지 특성들은 정지된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나타나는 물체를 분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움직임으로부터 추출되는 특성은 연결 성분 분석을 이용한 물체 추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리고 형태 기반 특성에 관한 학습은 종횡비(aspect ratio)와 4개의 윤곽선을 가지고 수행된다. 움직임 기반 특성과 종횡비는 물체를 사람과 자동차로 구분하는데 이용되고 각각의 종류를 더욱 세분화하기 위하여 4개의 윤곽선이 사용된다.

  • PD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Shape Correlogram (형태 Correlogram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 Nam, Gi-Hyeon;Mun, Yeong-Si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2
    • /
    • pp.215-22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형태 특징값으로서 형태 correlogram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내용기반 영삼검색(content-based image retrieval)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읜 색상 correlogram은 색상 정보에 공간적인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영상검색 성능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 특징값은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색상이 다르면서 비슷한 윤곽선 형태를 갖는 물체의 검색에는 좋은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지(edge)들의 correlogram인 형태(shape) correlogram을 제안한다. 색상 correlogram이 색상들의 거리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반해 형태 correlogram은 에지 각도들의 상관관게를 나타낸다. 형태 correlogram은 gradient 축과 각도 축을 가지는 2차원 특징 벡터(feature vector)로 표현된다. 각 축은 24개 빈(bin)으로 나뉘어져서 총 576개의 원소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형태 correlogram의 데이터 크기를 줄이고, 회전에 대해 불변인 특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 투영(projected) 형태 correlogram을 제안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형태 correlogram과 투영 형태 correlogram을 사용한 영상검색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성능면에서 우수함을 입증한다.

  • PDF

Optimization of Shape Descriptor for Comparability Assessment of Protein Structure (지역적/전역적 형태기술자 최적화를 통한 단백질 구조 동등성 평가)

  • Suh, Jung-Keun;Chun, Sung-Hwan;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631-634
    • /
    • 2019
  • 단백질의 구조적 동등성을 평가를 위한 형태 기반의 기술자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지역적 특성 값으로 표현된 지역적 접근 방법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지역적 특성과 전역적 특성을 포함하는 형태기술자의 경우 각 특성들이 동등한 중요도로 결합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각 특성에 대한 중요도를 최적화하여 형태기술자를 재정의 하였다. 최적화된 형태기술자를 단백질의약품인 인슐린 모델에 적용하여 구조적 동등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최적화된 형태기술자는 동일한 그룹에 속한 인간 인슐린 단백질 모델과 지역적으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인슐린 아날로그 그룹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성능은 이전 연구의 형태기술자와 3D 저니크 기술자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은 고해상도 단백질 3차 구조 정보를 활용하여 유사성을 판별한 RMSD 방법과 유사하게 서로 다른 표면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을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형태기술자 및 최적화된 동등성 평가 함수는 SAXS 분석과 같이 저해상도 단백질 표면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분석에 적용하여 단백질의 구조적 동등성을 판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hape Retrieval using Curvature-based Morphological Graphs (굴곡 기반 형태 그래프를 이용한 모양 검색)

  • Bang, Nan-Hyo;Um, Ky-Hyu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2 no.5
    • /
    • pp.498-508
    • /
    • 2005
  • A shape data is used one oi most important feature for image retrieval as data to reflect meaning of image. Especially, structural feature of shape is widely studied because it represents primitive properties of shape and relation information between basic units well. However, most structural features of shape have the problem that it is not able to guarantee an efficient search time because the features are expressed as graph or tre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generate curvature-based morphological graph, End design key to cluster shapes from this graph. Proposed this graph have contour features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a shape. Shape retrieval is accomplished by stages. We reduce a search space through clustering, and determine total similarity value through pattern matching of external curvature. Various experiments show that our approach reduces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retrieval cost.

Extraction of the shape feature according to the risk area of the segmented tumor region based on the small-animal PET (소동물 PET기반 종양분할영역 위험구간변화에 따른 형태특성추출)

  • Lee Joung-Min;Kim Hyeong-Min;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376-37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소동물 양전자방출단층촬영 영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내 종양영역을 자동분할하고 분할된 윤곽선주변의 기하학적 위험구간에 따른 종양의 형태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PET 영상내 검출된 종양영역의 신뢰성을 위해 위음성(False negative, FN) 및 위양성(False positive, FP)의 위험구간을 같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방사선 특이적 특성이 반영된 명암값을 기반으로 Fuzzy C-Means(FCM)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종양영역을 자동 분할한다. 분활된 종양영역의 위험구간은 클러스터 간 공유되는 영역의 소속값을 이용하여 위음성, 위양성을 계산한다. 또한, 임의의 소속값 임계치 변화를 통해 위험구간의 변화에 따른 종양의 형태적 특성변화를 관측한다. 이러한 지역적 변화의 관측을 통해 위험구간의 형태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어 위험구간에 따른 추가적인 잔여 암의 위치 및 형태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 PDF

Evaluation of Bone Micro-architecture based on histomorphometry (형태학적 지수에 기반한 뼈 미세구조의 평가)

  • Park,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62-865
    • /
    • 2005
  • 해면골에 대한 평가는 일반적으로 골밀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지만, 골밀도는 뼈의 특성을 70-80% 정도만 설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골밀도로 설명이 되지 않는 나머지 특성을 뼈 미세구조의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설명하려는 노력이 생체역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있어 왔다. 본 연구는 CAD/CAM 분야의 feature extraction 기술을 이러한 생체역학 분야에 접목함으로써 뼈의 미세구조 평가를 위한 새로운 형태학적 지수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 PDF

A Fuzzy-based Fusion Wireless Localization Method (퍼지기반 융합 무선위치추정기법)

  • Cho, Seong-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4
    • /
    • pp.507-512
    • /
    • 2015
  • In the wireless localization systems using range measurements, iteration method-based approximated solutions have been used. Also, linear closed-form solution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light of local minimum problem and computational load. However, each closed-form solution has individual error factors that cause usage limit of the solutions. In this paper, a fusion method integrating two representative closed-form solutions is presented. The presented method cancels the error factors of each solution out. Weights for integrating the standalone solutions are determined using the error factors-based fuzzy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using some simulation results.

Networking Business Model In Electronic Market (전자시장에서의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

  • 이경전;전형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44-247
    • /
    • 2000
  • 인터넷이 발전하고 성장함에 따라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는 초기의 단선적인 관계와 집중화된 구조를 탈피하여, 상호 연관적인 관계 및 분산되고 개방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수행되고 있다. 즉, 인터넷의 본질적인 특성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시장구조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시장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고 있다.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은 초기의 비즈니스 모델과는 다른 형태의 정보흐름(Information Process) 및 구조(Architecture)를 가지며, 이로 인해 전자시장(Electronic Market)에서 참여자의 역할 및 사업 전략, 수익모델 등이 변화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이 가지는 구조 및 특성을 규명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을 분류하여,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Detection of Soft 404 Errors based on Visual Characteristics of Web Page (웹 문서의 형태적 특징 인식에 기반한 SOFT 404 오류 판별)

  • Im, Jaehyeong;Choo, Seung-Hw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82-385
    • /
    • 2018
  • Dead Link의 노출 최소화는 웹 검색 서비스의 품질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색인 내 Soft 404 오류의 정확한 판별은 필수적이지만, 리다이렉션 정보에 의존하거나 텍스트 혹은 HTML 자질 만을 고려하는 기존 방법의 활용만으로는 판별 가능한 Soft 404 오류의 유형이 한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범용성이 높은 Soft 404 오류 판별 기술의 개발을 위해, 404 오류 안내 페이지 고유의 형태적 특성을 오류 판별에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오류 안내 문서의 형태적 특성을 이미지 인식 모형에 기반해 학습한 후 이를 Soft 404 오류 판별에 사용하며, 리다이렉션 등 특정 정보에 의존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보다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에서 제안 방법은 87.6%의 정확률과 92.7%의 재현율을 기록하는 등 높은 인식 성능을 보였다.

  • PDF

Study on UI Evolution of IPTV and Multimedia Devices (IPTV 및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UI 진화 방향에 관한 분석 연구)

  • Choi, Yoo-Joo;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609-612
    • /
    • 2009
  • IPTV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루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경우에 다량의 콘텐츠 목록으로부터 원하는 내용을 쉽게 선택할 수 있는 편리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본격 상용서비스가 시작된 IPTV 및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인터페이스의 진화 방향에 대한 특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셋탑박스 기반 IPTV 및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사례를 수집하여, 화면의 특성에 따라 화면의 구성 형태 및 인터랙션의 형태를 서비스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셋탑 박스 기반의 IPTV 인터페이스는 I터치인터랙션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차세대 TV 리모콘의 개발과 보급이 전제가 된다면, 기존의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수용하고 있는 다양한 그래픽적 터치기반의 인터페이스 형태를 접목하여 차세대 TV 인터페이스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