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학적 등급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evelopment of vegetation model for Restoration of Degraded stream Landscape (훼손된 하천 경관을 복원하기 위한 식생 복원 모델 개발)

  • Lee, Chang-Seok;Cho, Yong-Chan;Oh, Woo-Seok;Park, Sung-Ae;Seol, Eun-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45-1148
    • /
    • 2007
  • 한국을 비롯하여 논농사 중심지역에서는 하천 주변이 과거에는 농경지로, 그리고 오늘날은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어 하천의 원형이 거의 유지되지 못하고 있다. 하천은 수역과 수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여러 개의 이질적 생태적 공간이 이어지는 복합생태계로서 하나의 경관으로 볼 수 있다. 하천이 하나의 온전한 생태적 계로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천의 원형이 복원되어야 한다. 현존하는 하천복원사업이 수변 구역의 복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진정한 복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온전한 강변 식생의 복원이 선결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적군락의 형태로 잔존하는 강변 식생을 조사하여 식생복원 모델로 삼고자 한다. 수위와 침수체제에 의해 하천의 횡단구조를 수변, 홍수터 및 제방으로 구분한 후 각 지소의 적합한 식생단위를 구분하여 생태적 복원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를 구축하였다. 수변식생으로는 달뿌리풀군락과 갈대군락이 자주 출현하고, 홍수터에는 갯버들군락과 키버들군락이 우세하였다. 그 중 전자의 식물군락은 하상재료가 거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고, 후자의 것은 미세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는 경향이었다. 제방역에는 버드나무군락, 다릅나무군락, 귀룽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산사나무군락, 신나무군락(한탄강 지류), 참느릅나무군락, 물푸레나무-갈참나무군락(한탄강 본류), 오리나무군락(민통선 북방지역), 소나무군락, 황철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소양강 상류), 왕버들군락(금강 중류) 등이 성립하였다. 이러한 식생정보를 하천의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구분하였고, 생태적 복원 시 도입식물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삼기 위해 각 식생단위를 이루는 종 조성을 정보 체계화하였다.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Solar Unit으로부터 나오는 전기를 중전기에서 밧데리로 축전을 시키고 완전 충전 후에는 나머지 전기는 방전이 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사통수문 자원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재 저수지에 물공급을 하는 수문은 취수탑 형식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30%의 사통수문 중 원형수문비가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저수지 사통수문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력을 사용하는 사통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20% 이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수리시설 개보수시 적은 예산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사통수문의 설치방향의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수리시설의 운영관리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분류되었다. 지표 유거가 많아 배수등급이 매우양호로 분류되던 토양은 정 등(1995)의 분류와 비교하여 대부분 강우 유출 가능성이 큰 쪽으로 조정되었다.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이용할 경우 낮은 토심에서 암반층이 발견되는 산림토양이 분포한 유역이나 산림, 밭 등에 식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강우 유출량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불투수층의 존재시 일괄적으로 D유형으로 분류된 토양의 경우 깊이에 따라 C 또는 D 유형으로 세분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

  • PDF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청사조(Berchemia racemosa)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개체군 동태 분석)

  • Beon, Mu-Sup;Kim, Young-H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6
    • /
    • pp.679-690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in the Weolmyung park in Gunsan city, and base on that to seek the ecological habitat conservation plan for the Berchemia racemosa. In results,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are located at $81{\sim}93$ meters above the sea level, in steep seaside slope of a mountain. The soil texture are silt loam mainly and soil pH were $4.1{\sim}5$. The vascular plants in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has been analyzed as 61 taxa; 33 families, 51 genera, 54 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s. Berchemia racemosa as 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as the class V. Berchemia racemosa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7 vegetation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 community(A1), Alnus firm a community(A2),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A3),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A4) and 3 Pinus densiflora communities(B1, B2, B3). The importance value of Berchemia racemosa were 30%(A1), 15%(A2), 27%(A3), 65%(A4), 18%(B1), 45%(B2) and 35%(B3) on shrubs layer and 12, 27, 20, 18, 11, 18, 21 % on herb layer. The constant companion species with Berchemia racemosa were Stephanandra incisa and Ligustrum obtusifolium. Total 103 populations appear in the 7 Berchemia racemosa habitats. Thei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were clumped for the most part. The average height was 133cm, the root color diameter was 4.4cm and the ramification branch number was 9.4.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e continued monitoring and the activ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Diagnostic Criteria to Differentiate Medial Meniscal Injury from Degenerative Changes on $^{99m}Tc-MDP$ Knee SPECT in Patients with Chronic Knee Pain (만성 무릎관절 통증환자에서 내측 반월상연골 손상과 관절 퇴행성 변화의 감별을 위한 $^{99m}Tc-MDP$ 무릎관절 SPECT의 진단기준)

  • Paeng, Jin-Chul;Chung, June-Key;Jeong, Hwan-Jeong;Yoo, Jae-Ho;Kang, Won-Jun;So, Young;Lee, Dong-Soo;Lee, Myung-Chul;Seong, Sang-Cheol;Lee, Myu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7 no.2
    • /
    • pp.103-109
    • /
    • 2003
  • Purpose: In patients with chronic knee pain,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99m}Tc-MDP$ knee SPECT for internal derangement of knee is deteriorated due to degenerative changes.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ablish diagnostic criteria to differentiate medial meniscal injury (MMI) from degenerative change (DC) when the uptake is increased in medial compar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9 knee SPECT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re than 3 months) knee pain, which showed increased $^{99m}Tc-MDP$ uptake in the medial compar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arthroscopy. On knee SPECT, 3 diagnosic criteria for MMI were investigated. In Criterion I, MMI was diagnosed when crescentic uptake was observed in the medial tibial plateau. In Criterion II, crescentic uptake was further classified into anterior, mid, posterior, and diffuse patter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maximal uptake; and only crescentic mid, posterior, and diffuse patterns were diagnosed as MMI. In Criterion III, MMI was diagnosed when medial tibial plateau showed higher activity then medial femoral condyl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3 criteria was compared. Resul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93% and 14% in Criterion I, 89% and 38% in Criterion II, and 75% and 67% in Criterion III, respectively. Criterion III had significantly improved diagnostic performance, especially, specificit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practical diagnostic criterion to differentiate MMI from DC on knee SPECT. The result is helpful to improve the diagnostic value of knee SPECT as a screening test for chronic knee pain.

Quality Analysis of Diverse Rice Species for Rice Products (쌀 가공제품을 위한 다양한 쌀의 품질분석)

  • Kim, Hye-Ryun;Kwon, Young-Hee;Kim, Jae-Ho;Ahn, Byung-Ha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3 no.2
    • /
    • pp.142-148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ximate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different kinds of rice. In total, 20 varieties of rice were used (Domestic-19, Imported-1). The moisture contents ranged from $11.11{\pm}0.20$ to $3.28{\pm}0.03%$. Th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ranged from $5.04{\pm}0.03$ to $7.02{\pm}0.10%$ and $0.18{\pm}0.01$ to $0.73{\pm}0.05%$,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were Calcium, $3.56{\pm}0.11-6.69{\pm}0.08mg/100g$; Sodium, $3.39{\pm}0.01-17.43{\pm}0.04mg/100g$; Phosphorus, $64.12{\pm}0.88-102.0{\pm}0.36mg/100g$; Zinc, $0.95{\pm}0.01-1.75{\pm}0.0mg/100g$; Iron, $0.19{\pm}0.0-0.69{\pm}0.02g/100g$; Magnesium, $9.89{\pm}0.47-23.31{\pm}0.21mg/100g$; Potassium, $47.11{\pm}3.49-82.19{\pm}1.08mg/100g$;and Manganese, $0.47{\pm}0.0-1.14{\pm}0.01mg/100g$. Eighteen kinds of rice exhibited small kernels. Amylose contents ranged from $10.3{\pm}1.27$ to $19.4{\pm}0.15%$, while starch value ranged from $70.8{\pm}2.67$ to $80.1{\pm}5.09%$. Alkali digestion value was described as 5-6 grade and gel consistency was shown to be 'soft' regardless of the rice ki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