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학적 검출

Search Result 30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피부 병변은 닭 마렉병 진단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 조경오;박남용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athology
    • /
    • v.6 no.2
    • /
    • pp.101-104
    • /
    • 2002
  • 닭의 전신장기에 림프종 발생이 특정인 마렉병(Marek's disease; MD)은 림프구성 백혈병(Lymphoid leukosis; LL)과 병리학적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감별이 요구된다. 마렉병 바이러스(Marek's disease virus; MDV)는 질병초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모낭상피세포에 세포용해성 감염을 지속적으로 일으킨다.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모낭상피세포는 변성내지 괴사되어 있고 핵내봉입체가 관찰된다. 또한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모낭상피세포 바로 밑의 진피와 깃털 수질(feather pulp)내의 혈관주위에 림프구 침윤이 관찰된다. 이러한 피부병변은 MD의 특징적인 병변들로서 LL과 감별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이다. 본 고에서는 MD에 관한 전반적인 것과 특히 MD 진단을 위한 피부병변의 유용성에 대해서 자세히 논하고자 한다. 양계산업에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림프구 증식성 종양은 크게 마렉병(Marek’s disease; MD)과 백혈병(Lymphoid leukosis; LL)이 있다. 이들 질환의 원인체들이 분리되기 전까지는 이들 질병들은 발병부위에 따라 질병명을 붙였다. 즉, 내부장기냐 근육에 발생한 것은 visceral lymphomatosis, 피부에 발생한 것은 skin leukosis, 말초신경의 병변은 poly­n neuritis, neuritis, neurolymphomatosis gallinarum, range paralyis로 불리었다. 또한 눈에 발생한 것은 blindness, gray eye, iritis, uveitis, ocular lymphomatosis라고 불리었다. 1961년에 Biggs는 이러한 림프구 증식성 질병을 마렉병과 백혈병 으로 분류하자는 제안을 하였고, 드디어 1960년대 중반에 림프구 증식성 병변 중의 일부에서 herpesvirus가 분리되어서 Biggs가 제안한 병명인 마렉병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MD는 마렉병 바이러스(Marek’s disease virus; MDV)가 원 인제로서 닭에 전염성이 강한 염증성에서 종양성의 병변을 내부장기, 피부, 근육, 안구,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등에 일 으킨다. MDV는 림프종을 유발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사람에서 림프종을 유발하는 Epstein-Bar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gamma-herpesvirus로 분류되었지만, MDV의 게놈 구조와 세포배양에서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 때문에 지금은 alpha-herpesvirus로 재분류 되었다. MDV는 바이러스 중화시험과 한천 겔 침강법에 의해서 3개의 혈청형으로 분류 된다. 혈청형 1은 종양원성 바이러스와 종양원성 바이러스의 계대배양에 의한 약독주가 있다. 혈청형 2는 자연적으로 발 생하는 비종양원성 닭의 MDV이고, 혈정형 3은 바종양원성 칠면조 herpesvirus (HVT)이다. 림프종을 유발하는 MDV 감염은 4개의 과정, 즉 초기 세포용해성 감염, 잠복감염,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 마지막으로 종양화로 나눌 수 있다. 감염의 경로를 보면, 흡입된 MDV는 폐의 대식세포에 감염한 후 전선 장기로 MDV를 전파 시킨다. 특히, 흉선, F냥, 비장 등의 림프구에 초기 세포용해성 감염을 일으키는데, B 림프구가 주로 감염된다. 세포용해성 감염음 방어하기 위해 몰려든 T 림프구가 활성화가 되면, T 세포도 감염되게 된다. 잠복감염은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 등 을 포함한 면역반응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 때 잠복감염된 세포는 특히 혈중의 T 세포라고 한다. 혈중 MDV 감염세포 는 피부 모낭상피세포, 선장 등 상피세포 유래의 조직에 MDV를 전파 시켜서 이들 조직에서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이 일어나게 한다.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을 유발하는 것은 이러한 MDV가 감염된 혈중 림프구라는 증거는 혈중의 세포 외에는 감염성 바이러스가 없기 때문이다.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후 육안적 혹은 현미경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림프종이 여러 장기에서 관찰된다. MDV가 감염되면 병변 발생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임상증상이 발생한다. 즉 내부장기에 병변이 있을 경우는 침울, 체중감소, 산란율 저하 등이 발생하며, 신경계는 발생부위별 신경증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장기나 조직에서는 육안적으로 백색에서 회백색의 종양성 병변이 관찰된다. 말초신경에 병변이 발생한 경우에는 특히 좌골신경 및 신경총에서 호발하는데, 이들 조직은 편측성 혹은 양측성으로 종창되어 있다. 안구는 간혹 육안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홍채 퇴색 및 증식 병변이 관찰된다. 피부형 MD는 특히 육용계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산란계의 내장형 MD가 발생한 경우에도 피부를 자세히 설펴보면 피부형 MD를 간혹 관찰할 수 있다. 피부형 MD는 모낭주위에 원형의 결절형태로 발생하는데, 이들 병변이 커지면 바로 옆의 병변과 융합 되어 큰 결절을 형성하기도 한다. (중략)

  • PDF

Quality Changes of Fresh-Cut Leafy and Condiment Vegetabl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신선편이 엽채류 및 조미채소류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 Kim, Su-Jin;Sun, Shih-Hui;Kim, Gi-Chang;Kim, Haeng-Ran;Yoon, Ki-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8
    • /
    • pp.1141-1149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fresh-cut produce (leafy vegetables and condiment vegetables) as a function of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Fresh-cut produce was washed using a three step cleaning process and was packed in vacuum packaging (green onion, hot pepper, onion, baechu) and perforated film packaging (buchu and perilla leaf). The effects of packaging method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of fresh-cut produce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otal plate counts, E. coli, coliform groups, moisture content, pH, Aw, surface color, and exterior quality during storage at 4 and 10$^{\circ}C$. According to the results, surface color change and microbial growth were delayed during storage at 4$^{\circ}C$. Additionally, E. coli was not detected during storage. Generally, moisture content decreased in the perforated film packaging. Changes in surface quality such as skin browning, softening of tissue and chlorosis at 4$^{\circ}C$ were inhibited, whereas rapid vacuum annealing and changes in color and flavor were observed in the sample stored at 10$^{\circ}C$. The result indicated that overall quality of the fresh-cut produce at 4$^{\circ}C$ was well maintained. The perforation in packing material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on buchu and perilla leaf. The proper packaging methods and temperature may beneficial effect on microbial safety, quality and thus result in longer shelf-life fresh-cut vegetables during distribu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ytochemical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heat-treated Elaeagnus multiflora juice and vinegar (열처리 보리수 과즙과 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s 및 생리활성)

  • Cho, Kye Man;Hwang, Chung Eun;Kim, Su Cheol;Jo, Ok Soo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5 no.1
    • /
    • pp.52-61
    • /
    • 2018
  • In this study, vineger was produced after heat treatment of Elaeagnus multiflora juice and its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heat-treated juice and vinegar of E. multiflora were similar in fruit color, with b values (redness) of 39.48 (juice) and 37.56 (vinegar).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of E. multiflora fruit, the acetic acid bacteria viable cell number, pH, acidity, reducing sugar content, and alcohol content were 4.59-4.62 log CFU/mL, 3.14-3.45, 0.2-2.12%, 0.69-35.24 mg/mL, and 0.2%, respectively. The heat-treated juice and vinega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dical scavenging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than untreated samples, and the levels of soluble phenolics, soluble flavonoids, flavan-3-ol derivatives, and phenolic and derivatives were increased. Additioinally, the heat-treated vinegar contained major organic acids, such as acetic acid (21.82 mg/mL), and major flavan-3-ols and phenolic acids, such as catechin ($72.24{\mu}g/mL$), catechin gallate ($273.36{\mu}g/mL$), epigallocatechin gallate ($68.35{\mu}g/mL$), protocatechuic acid ($12.84{\mu}g/mL$), and salicylic acid ($42.29{\mu}g/mL$). At $25{\mu}L/mL$ treatm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lpha}$-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79.66%, 93.99%, 90.12%, and 64.85%,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new types of vinegar and beverages, using heat-treated E. multiflora juice.

Contents of mercury, lead, cadmium, and arsenic in dried marine products (건포류의 수은, 납, 카드뮴 및 비소 함유량)

  • Ok, Hwang Young;Kim, Su Un;Ryu, Seung Hee;Ham, Hee Jin;Park, Gun Yong;Park, Seog Gee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4
    • /
    • pp.336-344
    • /
    • 2009
  •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Hg, Pb, Cd, and As) in 10 kinds of dried marine products (n=189)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food resource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estimat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 and mercury analyzer. The values of heavy metals in dried marine products were as follows (Mean${\pm}$SD (range), mg/kg).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dried marine products were Hg $0.058{\pm}0.069$ (0.002~0.502) mg/kg, Pb $0.178{\pm}0.598$ (ND~5.130) mg/kg, Cd $0.306{\pm}0.610$ (ND~6.802) mg/kg, As $5.282{\pm}6.158$ (ND~71.760) mg/kg. The range of heavy metal contents in dried marine products are low level, except of lead contents (n=2). In the comparison of heavy metal content by anchovy size, it was shown that cadmium, mercury and arsenic were meaningfully different.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by the shape of shrimp and Alaska Pollack were shown that the result of each group was meaningless. In the comparison imported production with domestic production, in the case of common squid, cadmium and arsenic were meaningfully different. The weekly average intakes of Hg, Pb and Cd from dried marine products takes about 1.17~11.52% of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that FAO/WHO Joint Food Additive and Contaminants Committee has set to evaluate their saf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