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성지표

Search Result 76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Guided drainage Method of Underground Roadway (지하차도 유도배수공법에 관한 연구)

  • Jun, Sang-Mi;Sok, Chamroeun;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34-434
    • /
    • 2012
  • 현재 지하차도 설계 지하수위는 철도, 지하철 및 공동구의 설계기준과 기존사례를 준용하여 지표면 하 1.0 m를 기준으로 설계하고 있으며, 지하차도 설계시 지하수위 적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그에 따른 설계와 유지관리지침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부득이 기존의 공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 과다설계 요인과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받고 있는 부력앵커공법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종하늘도시 사업지구에 시공중인 지하차도 구조물과 관련하여 지하차도 구조물 건설에 따른 지하수 흐름 변화 특성을 평가하여 유도배수공법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지하차도 건설에 의한 흐름변화 분석을 위하여 3차원 지하수 MODFL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지하차도 건설전, 후에 대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지하차도 건설 전 유역의 평균 지하수위는 지표하 1~2m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지하수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도배수공법을 적용한 지하차도 건설 후 지하차도 주변부 지하수위는 건설전에 비하여 약 3~4 m 하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U-type 종점부는 지표하 최소 6 m 이상, 시작부는 지표하 최소 3.4 m 이상 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 결과는 향후 지하차도 유도배수공법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주도 용암동굴의 성인과 특성

  • 박병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15-16
    • /
    • 1981
  • 우리나라의 용암동굴은 주로 화산지역인 제주도에 분포한다. 이 화산지역에서 화산이 분출할 때는 유동성 있는 현무암 용암에 의하여 이른바 용암동굴(Lava tunnel)이 형성 되는 것이다. 즉, 지하에 깊이 잠겨 있던 마그마가 그 분출의 위력에 부수되어 화구에서 지표로 밀려나온 것을 용암 또는 라바(Lava)라고 한다.(중략)

  • PDF

Comparison of Water Infiltration and Retention Capacity in a Forest Soil of Different Surface Depression Patterns (지면 굴곡에 따른 산림 토양의 물 침투와 저류능력 비교)

  • Cho, Yoori;Kim, Jongho;Lee, Do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7 no.1
    • /
    • pp.108-111
    • /
    • 2018
  • Increasing soil surface roughness can be effective in enhancing infiltration of rainfall and depression storage capacity of forest soil and reducing surface run-off. In this study, a forest slope with hemispherical depressions shows greater infiltration of water, whereas depression storage capacity is higher in soil with depressions perpendicular to a water flow pathway. Soil pitting or forming surface depressions can be used as a countermeasure after forest fires and a practical way to reduce drought stress of forest soil.

A Study on the Mechanism of Social Robot Attitude Formation through Consumer Gaze Analysis: Focusing on the Robot's Face (소비자 시선 분석을 통한 소셜로봇 태도 형성 메커니즘 연구: 로봇의 얼굴을 중심으로)

  • Ha, Sangjip;Yi, Eun-ju;Yoo, In-jin;Park, Do-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09-414
    • /
    • 2021
  • 본 연구는 소셜로봇 디자인 연구의 흐름 중 하나인 로봇의 외형에 관하여 시선 추적을 활용하고자 한다. 소셜로봇의 몸 전체, 얼굴, 눈, 입술 등의 관심 영역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시선 추적 지표와 디자인평가 설문을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태도를 연결하여 소셜로봇의 디자인에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로봇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하여 로봇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사이트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선 추적 지표는 고정된 시간(Fixation), 첫 응시 시간(First Visit), 전체 머문 시간(Total Viewed), 그리고 재방문 횟수(Revisits)이며, 관심 영역인 AOI(Areas of Interests)는 소셜로봇의 얼굴, 눈, 입술, 그리고 몸체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디자인평가 설문을 통하여 소셜로봇의 감정 표현, 인간다움, 얼굴 두각성 등의 소비자 신념을 수집하였고, 종속변수로 로봇에 대한 태도로 설정하였다.

  • PDF

Detection of the Pipe Leak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누수 탐사)

  • Park, In-Chan;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71-1274
    • /
    • 2006
  • 지하레이다(Ground Penetrating Radar, GPR)를 이용하여 지표하의 상수관로를 지표에서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를 이용해서 손쉽게 측정하게 된다. 송신안테나는 지표하에 전자기파를 송신하고 지하 매질을 투과한 파가 수신안테나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지표하 매질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수신파의 도달시간은 지표하 매질의 특성에 따라서 변화하며, 이를 통해 지표하 매질과 매질 깊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수관로를 매설할 경우 관로 주변의 토양은 균등하게 되므로 기 매설된 상수관로 주변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관로 주변의 토양은 포화상태이거나 수압으로 인해서 공동이 형성될 경우가 많다. 이때 반사에너지의 유전율 증가 혹은 감소 특성으로 인해서 주변 매질과는 매우 상이한 결과를 보이게 된다. GPR탐사는 단순히 반사된 신호진폭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러한 반사에너지의 크기에 관계되는 것은 매설물의 유전율이 주위 지반이 갖는 유전율과의 차이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탐사 대상 상수관로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여 GPR 탐사를 수행한 결과 관로 탐사를 위한 GPR의 결과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바탕으로 누수 발생 이력이 있는 다양한 관로주변 조건을 대상으로 탐사를 실시할 경우 상수관망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수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급사면에 형성된 일시적인 포화대의 지하수위 변화에 대한 TOPMODEL의 예측능력 검증

  • 안중기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45-48
    • /
    • 2002
  • TOPMODEL은 지표유출과 중간류유출을 비교적 적은 수의 매개변수와 물리적 근거를 기반으로 모의하는 수문모형이다. 현재까지 TOPMODEL은 온대습윤지역의 소유역 유출모의에 적용성이 우수하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발표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 모델을 이용한 유역유출 모의에 탁월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런 연구들은 대부분 모델의 중요 매개변수를 유역유출 관측자료로부터 유도하고, 이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유역유출을 모의한 연구들로 TOPMODEL에서 제시한 것 같은 유역내의 지하수위변화, 지표유출, 중간류유출 등의 수문학적 반응 발생여부를 조사하지 못하였다.(중략)

  • PDF

Effect of Calcium Source using Tilapia Mossambica Scales on the Bone Metabolic Bio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Rats (Tilapia Mossambica 비늘 (어린) 유래 칼슘소재가 흰쥐의 골격대사지표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Yoon, Gun-Ae;Kim, Kwang-Hye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3 no.4
    • /
    • pp.351-356
    • /
    • 2010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 of Ca source using fish (Tilapia mossambica) scales on the bone metabolism. Male Sprague-Dawley rats, 4 weeks of age, were fed low-calcium diet (0.15% Ca) for 2 weeks. The rats on the low-calcium diet were further assigned to one of following three groups for an additional 4 weeks: 1) Ca-depletion group (LoCa) given 0.15% Ca diet ($CaCO_3$), 2) Ca-repletion group (AdCa) given 0.5% Ca diet ($CaCO_3$), 3) Ca-repletion diet (AdFa) received 0.5% Ca diet (Ca source from Tilapia mossambica scales). Serum parathyroid (PTH) and calcitonin showed no differences among experimental groups. Whereas LoCa group elevated the turnover markers, serum ALP and osteocalcin, and urinary deoxypyridinoline (DPD), AdCa and AdFa groups reduced their values. Elevation in the femoral weight, ash and Ca contents was observed in AdCa and AdFa groups. Bone mineral density was increased in AdCa and AdFa groups by 25-26% compared with LoCa group. These data demonstrate that Ca repletion with either Ca source from Tilapia mossambica scales or $CaCO_3$ is similarly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bone turnover markers and BMD, suggesting the usefulness of Tilapia mossambica scales in the prevention of bone loss compared with $CaCO_3$.

The Effect of PMO Functions on IT Project Performance (PMO 기능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Jong-Ki;Yoon, Ok-Soo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3
    • /
    • pp.129-15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PMO의 기능들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수행을 통한 간접 효과를 PLS 경로모형을 통해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PMO 역량 및 최고 경영진의 지원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의 차이의 상호 효과 및 그 효과의 크기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법론 제공, 행정적 지원, 교육 및 훈련, 자원 관리, 지식 관리를 통하여 형성되는 PMO기능과 통합, 범위, 시간, 비용, 품질, HR, 커뮤니케이션, 위험, 자원조달 등을 통하여 형성되는 프로젝트 관리과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2차 요인 모형(second-order construct model)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1차 요인(first-order construct)은 반영지표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2차 요인은 조형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기에, 반영지표와 조형지표가 모두 포함되어있는 모형 분석에 용이한 자료처리 도구인 PL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대상은 PMO의 지원 하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프로젝트관리자나 프로젝트 리더와 같은 전문가 집단으로 한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PMO 기능 및 프로젝트 관리과정 모두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MO기능을 수행할 때, PMO역량에 따라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영진들은 프로젝트 수행 시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PMO의 설립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PMO의 역량에 따라 프로젝트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PMO에 충분한 권한을 부여하고 경영진의 지원을 신속하게 함으로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Application of Physical River Assessment System Based on River Classification (하천분류에 따른 물리적 하천환경 평가체계 적용)

  • Kim, Ki Heung;Jung, Hye 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8-508
    • /
    • 2016
  • 하천은 지형학적으로 청?장년기에 상 중 하류부가 구별되고 유량과 하상경사의 곱으로 표현되는 유수력(stream power)에 따른 반응으로서 구간별 수리 및 하도특성이 형성된다. 산지가 국토면적의 약 70%를 차지하고 노년기 지형인 유역을 기반으로 하며, 장마 및 태풍 내습시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발생으로 말미암아 대부분 국내의 하천은 상류는 산지, 중류는 곡저평야, 하류는 충적평야를 유하함으로서 구간별로 수리 및 하도 특성이 뚜렷이 구별된다. 홍수 예방을 위한 제방 축조와 용수공급을 위한 보 등 하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천 주변에는 배산임수의 취락형성에 따라 주거지 및 대규모 도시가 발달하면서 많은 하천교란이 유발되고 있다. 우리나라 하도 및 수리적 특성인 여울과 소 등의 미지형과 하상매몰도 등 서식환경의 특성 및 하안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하천횡단 형상과 하도개수 등 교란 특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하천의 물리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하도의 물리적 특성은 유량과 하상경사를 매개변수로 하는 유수력에 의하여 변화하므로 하천 유형을 하상경사에 따라 세그먼트 분류법을 적용하여 세그먼트 M, 세그먼트 1 및 세그먼트 2,3으로 구분하고 세그먼트별 하도 및 수리 특성, 하안 및 하천교란 영역에 대한 총 10개의 정량적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는 5등급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평가지표의 근거는 미국(EPA) 및 독일(LAWA)의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분류체계에 의한 하천유형의 차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하천 물리적 평가체계를 남강, 내성천, 갑천, 유등천에 적용하여 검증하고,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하천환경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하천환경 평가체계는 하천사업을 위한 현재의 하천환경의 진단 및 하천사업의 효과 및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하천관리를 위한 지구지정의 정량적 기준 및 관리목표 설정 등 하천계획 설계의 실무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patial Pattern and its Process of Social Population Increase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에 있어서 사회적 인구증감의 공간적 패턴과 그 형성과정)

  • ;Jeong, S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0
    • /
    • pp.62-76
    • /
    • 1984
  • 이 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1. 연구지역과 분석방법, (1) 연구지역, (2) 분석지표와 자료, (3) 분석방법 2. 공간적 자기상관의 측도와 검정, (1) 공간적 자기상관의 개념, (2) 공간적 자기상관의 측도, (3) 공간적 자기상관의 검정 3. 공간적 패턴의 형성과정, (1) 제1기 (1960-1966년), (2) 제2기 (1966-1970년), (3) 제3기(1970-1975년), (4) 제4기(1975-1980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