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상제어

Search Result 1,22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utomatic Shape Control for the stainless cold mill using Fuzzy method (퍼지 기법을 이용한 STS 강판의 형상제어)

  • Hur, Yone-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g
    • /
    • pp.2869-2871
    • /
    • 1999
  • 본 연구는 포항제철 STS 냉연공장의 형상 제어에 관한 것이다 당사의 냉간 압연기는 Sendzimir mill로서 상하 롤(Roll)이 10단씩 구성된 20단 압연기이다. 본 압연기에 의한 575 냉연강판의 형상제어는 현재 조업자의 수동운전으로 구동되고 있으며 구동기는 AS_U Roll 8 개와 Intermediate Roll 2 개의 10 개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기의 특성은 solenoid 형태와 유압식으로서 응답성이 빠르지 뭇하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특성을 지닌 냉간 압연기를 가지고 퍼지 제어에 의한 자동제어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퍼지 제어기는 형상 강판의 두께 Roll 속도, AS_U Roll과 IMR의 현 위치 강종 강판의 폭, 강판의 장력 등의 입력을 고려하여 제어기의 출력인 AS_U Roll 8 개의 위치 값과 IMR 2 개의 위치 값을 결정한다. 현재 실 프로세서에 적용중이며 형상제어 정도가 양호하다. 본 연구의 효과는 형상제어의 자동화 및 형상 정도 향상을 통한 조업 안정화에 있다.

  • PDF

New approach on thin film synthesis with shape-controlled structure and application (미세 구조 패턴이 형상 제어 된 박막의 합성 및 응용기술)

  • Lee, Seungwoo;Jeon, Chiwan;Chae, Soochun;Jang, Youngnam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60.2-60.2
    • /
    • 2010
  • 본 연구는 상온 상압하에서 미세구조 패턴을 갖는 대용량의 CaCO3 박막을 제조하고 여러 가지 첨가제를 이용하여 박막 표면의 형상제어를 수행하였다. 또한 형상 제어된 CaCO3 박막을 템플릿으로 이용하여 고분자 및 금속 박막 형상 제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LACS(Large Area CaCO3 Stamping)법을 통해 흡착능과 소수성의 특성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박막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기존의 박막제조 기술은 주로 저압조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면적화가 어렵고 형상을 제어 하는데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던 반면 LACS는 에너지의 소모가 적고 다양한 형상제어를 통해 기존의 박막제조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ctive Shape Control of Composite Beam Using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형상기억합금 작동기를 이용한 복합재 보의 능동 형상 제어)

  • Yang, Seung-Man;Roh, Jin-Ho;Han, Jae-Hung;Lee, In
    • Composites Research
    • /
    • v.17 no.4
    • /
    • pp.18-24
    • /
    • 2004
  • In this paper, active shape control of composite structures actuated by shape memory alloy (SMA) wires is presented. The thermo-mechanical behaviors of SMA wires were experimentally measured. Hybrid composite structures were established by attaching SMA actuators on the surfaces of graphite/epoxy composite beams using bolt-joint connectors. SMA actuators were activated by phase transformation, which induced by temperature rising over austenite finish temperature. In this paper, electrical resistive heating was applied to the hybrid composite structures to activate the SMA actuators. For (aster and more accurate shape/deflection control of the hybrid composite structure, PID feedback controller was designed from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ally applied to the SMA actuators.

Edge Orientation Histogram Hand Shape Recognition for Window Player (윈도우 플레이어 제어를 위한 에지 방향성 히스토그램 손 형상 인식)

  • 김종민;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28-630
    • /
    • 2003
  • 본 연구는 손의 형상을 복잡한 배경환경에서 손 영역을 안정적으로 검출, 인식하여 윈도우 플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손은 형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2차원 형상의 불변량에 해당하는 에지의 방향성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인식을 행한다. 이 방법은 복잡한 배경에서 피부색을 지닌 손 영역이 정확히 추출되며 손 형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수행속도가 빠르고 조명변화에 덜 민감하기 때문에 실시간 손 형상 인식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윈도우 플레이어 제어에 적용한 결과 안정적으로 제어 할 수 있었다.

  • PDF

공동형상에 따른 경사충격파와 경계층 상호작용의 피동제어 성능 비교 연구

  • Kim, Hong-Gy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604-609
    • /
    • 2016
  • 슬롯판을 이용한 경사충격파와 경계층 간섭유동 제어에서, 슬롯판 아래에 있는 공동부의 형상을 바꾸어 가며 제어 성능을 비교하는 수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공동형상 직사각형 5개, 사다리꼴 3개를 선정하여 shock 뒤에서 경계층 안정성, 전압손실을 기준으로 제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모든 형상에 대해 제어하지 않은 상태보다 좋은 성능을 얻었다. 그 중 경계층 안정성 측면에서는 형상 L과 R, 전압손실 감소 측면에서는 형상 M과 A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종합적으로 슬롯의 끝 면과 공동의 길이방향 끝 면이 일치하는 형상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음을 확인했다. 또한 슬롯과 공동 내부유동을 분석하면서 경계층 안정성과 전압손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separation 영역을 얼마 원활히 흡입하는지의 여부임을 알 수 있었고, 상류 슬롯에서 발생하는 shock에 대한 추후 해결 연구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Fast Planar Shape Deformation using a Layered Mesh (계층 메쉬를 이용한 빠른 평면 형상 변형)

  • Yoo, Kwang-Seok;Choi, Jung-Ju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7 no.3
    • /
    • pp.43-50
    • /
    • 2011
  • We present a trade-off technique for fast but qualitative planar shape deformation using a layered mesh. We construct a layered mesh that is embedding a planar input shape; the upper-layer is denoted as a control mesh and the other lower-layer as a shape mesh that is defined by mean value coordinates relative to the control mesh. First, we try to preserve some shape properties including user constraints for the control mesh by means of a known existing nonlinear least square optimization technique, which produces deformed positions of the control mesh vertices. Then, we compute the deformed positions of the shape mesh vertices indirectly from the deformed control mesh by means of simple coordinates computation. The control mesh consists of a small number of vertices while the shape layer contains relatively a large number of vertices in order to embed the input shape as tightly as possible. Since the time-consuming optimization technique is applied only to the control mesh, the overall execution is extremely fast; however, the quality of deformation is sacrificed due to the sacrificed quality of the control mesh and its relativity to the shape mesh. In order to change the deformation behavior and consequently to compensate the quality sacrifice, we present a method to control the deformation stiffness by incorporating the orientation into the user constraints.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the proposed technique produces a planar shape deformation fast enough for real-time applications on limited embedded systems such as cell phones and tablet PCs.

Fast 2D Shape Deformation using Mean Value Coordinates (평균값 좌표를 이용한 빠른 2차원 형상 변형)

  • Yoo, Kwang-Seok;Choi, Jung-Ju;Shin, Hyu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188-19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평균값 좌표(mean value coordinates)를 이용하여 두 개의 메쉬 구조에 기반한 2차원 형상변형 기법을 제시한다. 먼저 입력으로 주어진 2차원 형상의 내부와 경계를 조밀하게 샘플링한 정점의 집합으로 구성된 형상 메쉬(shape mesh)와, 입력 형상을 근사적으로 둘러싸는 정점과 형상 메쉬의 일부 정점으로 구성된 제어 메쉬(control mesh)를 구성한다. 형상 메쉬 정점은 제어 메쉬의 정점에 대한 평균값 좌표로 표현한다. 사용자의 형상 변형 입력에 대하여 비선형 최소 자승 최적화 문제를 풀어 변형 될 제어 메쉬 정점의 위치를 구하고, 형상 메쉬는 변형된 제어 메쉬의 정점으로부터 평균값 좌표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형상의 변형을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형상 변형 문제는 입력되는 형상의 정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그 수행 속도가 급격히 느려지며, 정점의 개수를 줄이면 변형에 의한 시각적 품질이 급격히 감소한다. 실험적인 결과에 의하면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비교적 적은 수의 정점을 사용하여 형상 변형의 수행속도가 빠르면서, 변형의 시각적인 품질은 부드럽게 유지된다. 본 논문의 결과는 핸드폰과 같이 계산속도가 느린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형상 변형을 이용한 2차원 애니메이션 제작과 같은 응용문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Buckling and Postbuckling Control of a Composite Beam with Embedded SMA Wire Actuators (형상기억합금 선 작동기를 삽입한 복합적층 보의 좌굴 및 좌굴후 제어)

  • Choi, S.;Lee, J.J.;Seo, D.C.;Choi, S.W.
    • Composites Research
    • /
    • v.12 no.3
    • /
    • pp.45-54
    • /
    • 1999
  •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uckling and postbuckling control of a laminated composite beam with eccentrically embedded SMA wire actuators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critical buckling load, buckling control is investigated through the use of reactive moment associated with the shape recovery force of SMA wire actuators. To improve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buckling and postbuckling control of the SMA-composite beam, closed-loop control is used. The buckling and postbuckling control behaviour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on loaddeflection plots considering the stacking sequence of the laminate, slenderness ratio of the beam and activation conditions of the SMA wire actuators. By maintaining the desired deflection shape with the proper reactive moment, buckling control can be extended to the postbuckling of the SMA-composite beam subjected to an external load.

  • PDF

Manufacturing of Smart Breathable Fabrics and Vibration-Controlled Fiber Reinforced Composites Using Shape Memory Polymers (형상기억수지를 이용한 지능형 투습방수직물 및 진동제어 섬유복합재료의 제조)

  • 정용채;양재흥;전병철;정용찬;조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33-436
    • /
    • 2002
  • 형상기억재료는 형상기억효과, 회복변형효과, 형상고청효과, 진동제어효과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중요한 지능재료(smart materials)의 하나로 기대되고 있다. 형상기억 재료로는 합금, 세라믹, 고분자, 겔 등을 들 수 있지만 Ti-Ni 합금(Nitinol)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형상기억고분자는 형상기억합금에 비하여 가볍고 형상회복률이 높으며 가공이 쉽고 투명할 뿐만 아니라 염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성과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중략)

  • PDF

Particle based fluid animation for controllable multiphase smoke (다상 기체의 형상 제어를 위한 파티클 기반 유체 애니메이션)

  • Roh, Byung-Seok;Kim, Chang-Hye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3
    • /
    • pp.34-40
    • /
    • 2005
  • 본 논문은 파티클을 이용하여 다상의 기체에 대한 형상 제어를 수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유체를 하나의 목표 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힘만 샐에 적용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논문에서는 단일 밀도장내에서 파티클마다 다른 목표 형상으로 가고자 하는 힘을 정의하여 서로 다른 성질의 유체를 구성하는 파티클이 각자의 목표 형상으로 진행하는 동시에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목표 형상 내부에서의 분산력을 정의하여 파티클들이 목표 형상에 도달한 후에도 목표 형상의 세밀한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멈추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