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협동

Search Result 4,869,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수학과 협동 학습에서 협동적 문제 해결의 평가

  • Kim, Nam-Gyun;Lee, Gi-Se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31-40
    • /
    • 1999
  • 요즈음 수학 수업에서 협동 학습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을 하는 경우가 많이 늘었다. 학생들이 소집단에서 함께 활동하면 더 나은 문제 해결자가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협동적인 상황에서 문제 해결을 하게 하면서 그 평가는 개인 평가나 전통적인 평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소집단 협동 학습은 소집단의 구성원이 협동을 할 때 그 효과가 큰 것이며, 소집단 협동 학습에서의 평가는 소집단에 있는 학생들이 수행한 것을 참되게(Authentic) 평가하여야 문제 해결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각 학생들로 하여금 협동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할 수 있다. 만일 협동적인 문제 해결을 하였는데 개인 평가를 실시한다면 학생들은 집단에서 협동할 필요성을 적게 느끼게 되어, 학생들은 협동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1990년대 수학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NCTM의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에서도 수학 지도 방법과 평가 방법이 일치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거하여 수학과 소집단 협동 학습의 유형을 알아보고, 협동적 문제 해결의 평가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경원전문대학과 대한설비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의 협동 - 산학협동 추진사례 연구

  • 서광수
    • 월간 기계설비
    • /
    • s.102
    • /
    • pp.57-70
    • /
    • 1999
  • 경원전문대학 건축설비과는 대한설비건설협회 서울특별시회와 1997년 4월 29일 산학협동 협정을 체결하였다. 산학협동 협정이 체결되기 전후의 추진경과와 추진실적을 살펴보고 연도별 산학협동 추진 내용과 산학협동 추진관계를 분석하여 산학협동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산$\cdot$학이 공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산학협동 추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은 전문대학 중소기업기술협력회가 주최하고 중소기업청$\cdot$㈜리크루트$\cdot$한국일보사$\cdot$서울경제신문사가 후원하여 1998년 11월 13일 전주공업대학에서 개최한 제4회 산학협동사례발표회에서 발표한 내용이다.

  • PDF

A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웹 기반 협동학습 시스템)

  • 이은덕;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71-273
    • /
    • 2004
  • 최근 초고속 통신망의 보급과 World Wide Web의 눈부신 발달로 인하여 상호작용적인 웹 기반 협동학습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웹 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의 대부분은 일정한 기준이 없이 그룹이 편성되거나 오프라인에서 그룹이 편성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협동학습 이후 평가가 없거나 오프라인에서 평가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웹 기반 협동학습은 외형상으로는 협동학습을 표방하지만 완벽한 웹 기반 협동학습이 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웹 기반 협동학습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학습자의 적극적 협동수행 유도와 학습효과의 증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룹 구성부터 시작하여 평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웹 상에서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일정한 기준을 통한 성향조사를 통해 교수자가 웹 상에서 동질적, 이질적 성향의 그룹 편성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교수자가 학습자의 성향을 모르는 상황에서도 적당한 그룹의 편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웹 기반 협동학습 종결 후 자기평가, 동료평가, 그룹평가, 그리고 교수자 평가와 같은 다양한 평가방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평가에 의한 피드백을 통하여 학습자가 새로운 협동학습에서 보다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협동학습을 하도록 하였다.

  • PDF

A Historical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for Mathematics (수학 협동학습의 역사적 고찰)

  • Lee Joong Kwoe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8 no.2
    • /
    • pp.55-74
    • /
    • 2005
  • This research studied loaming model for the purpose of renov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methods. Especially,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types of cooperative team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need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ooperative teaming and traditional small group learning. This research also suggested special featur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various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s. The main types of cooperative loaming which this research supported are TAI(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JIGSAW cooperative loaming, JIGSAW II cooperative teaming, JIGSAW III cooperative teaming, STAD(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TGT (Teams - Games - Tournament).

  • PDF

Evolutionary Study on Emergence of Cooperative Coalition in NIPD Game (NIPD게임에서 협동연합의 발현에 관한 진화적 연구)

  • 서연규;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48-50
    • /
    • 1998
  •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Iterated Prisoner's Dilemma, IPD)게임은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협동의 진화를 연구하기 위한 대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제까지 이기적이며 합리적인 개체들 사이에서의 협동의 진화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게임자의 수와 협동의 관계, 기계학습의 일환으로서의 전략학습, 그리고 이득함수가 협동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이득함수에 따른 협동연합의 크기와 지역화가 NIPD(N-player IPD)게임에서 협동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이득함수와 협동연합의 크기에 대한 실험에서는 협동개체에 대한 이득함수의 기울기가 배반개체에 대한 이득함수의 기울기보다 급하거나 최소 연합의 크기가 작을수록 협동연합의 정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화 실험에서는 상호작용하는 이웃의 크기가 작을수록 협동연합의 크기가 크게 진화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s via differentiated cooperative learning in a class (학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협동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An, Jong Su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4
    • /
    • pp.465-492
    • /
    • 2014
  •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e produce the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sheets which was appropriate instructional content for various levels. And, by using them appropriately at the levels of student learning on their own interest, we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s. Specific for detail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pplying a variety of the differentiated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sheets and developing instruction learning, we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rough the making and utilizing the differentiated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sheets and the interest and attitudes in mathematics, we improve the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Third, through the levels of the subgroup cooperative learning, we improve the math learning abilities through a learner-centered.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up complementary cooperative spirit among colleagues.

  • PDF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효과)

  • Kim, Sung-Wan;Kwon, So-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9-252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내용 중에서 연구 단원을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에 의해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습 79명이다. 연구대상 중 1개 학습 4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의 실험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면대면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변화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학습태도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첫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실험집단이 면대면 협동학습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 중 기억 영역에 그 효과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료 수집, 분석, 정리 단계에서 정보의 공유를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이 면대면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효과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방법을 다각화하고 교과와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학습방법의 지속적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Mathematics during the 20th Century at Home and abroad (20세기의 국.내외에서 이루어졌던 수학에서 협동학습 모형에 관한 고찰)

  • Seo, Jong-Ji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0 no.4
    • /
    • pp.123-152
    • /
    • 2007
  • This study researched on Cooperative learn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as follows; Especially, first, this studies researched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operative learning, factor for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features and effects on a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second, this studies researched the need of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several conditions to succeed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the models mainly using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and this model was investigated an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 PDF

A Study on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o cooperatives (협동조합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 연구)

  • Kim, Byung-Ch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2
    • /
    • pp.83-89
    • /
    • 2015
  • In 2012 many cooperatives have been establishing operations with the enactment of the Basic Law Coopera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Government support formed arround cooperatives by focusing on international practices, and the Korea C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what is important in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future cooperatives.

A Study of the Successful Operating Strategies of Small Business Cooperatives (소상공인협동조합의 성공적 운영전략에 대한 연구)

  • Park, Geun Kook;Lee, Mi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89-690
    • /
    • 2022
  • 2012년 12월 사회적 경제 촉진 방안으로서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 이래 3차에 걸린 개정을 해왔으며, 협동조합 중 소상공인협동조합의 경쟁력 강화와 자생력 제고를 위해 정부 및 지자체의 지속적인 경제적, 교육적 지원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소상공인협동조합의 영세성과 최근의 COVID-19사태 등 소상공인협동조합의 경제적 활로 개척 등이 쉽지는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소상공인협동조합 관련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소상공인 관련 전문가 집단의 FGI를 통해서 소상공인협동조합의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대안적인 정책들을 수립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