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혐기성세균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분변토 재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Casting Recycle of Foodwaste Treatment Using Earthworm)

  • 김종오;이창호;홍석일;김영권;김종인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2호
    • /
    • pp.140-145
    • /
    • 2000
  • 지렁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때 음식물쓰레기 전처리 공정에서 분변토의 Bulking Agent로 활용가능성과 분변토에 토착 기생하는 미생물을 조사하여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음식물쓰레기는 낮은 pH(4.52)와 높은 수분(87.3%) 및 유기물함량(86.2)으로 직접 지렁이 먹이로 활용이 불가능 하였으나, 분변토와 혼합하였을때 지렁이의 먹이조건과 생육환경에 적합한 pH 5.92, 수분 58.6% 유기물함량 60.6%를 나타내어 음식물쓰레기의 Bulking Agent로 분변토의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분변토의 미생물학적 조사에서 균종별 밀도는 세균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세균의 밀도는 고온성보다 중온성이, 혐기성보다 호기성일때 밀도가 높았다. 또한 염분농도에 따른 세균의 밀도는 염분의 농도가 낮을수록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분변토를 수분조절제로 활용하기 위해 건조시킬때 건조방법(자연건조, 강제건조)에 따라 미생물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의 활성도는 분변토의 건조전이 전조후 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대장균에서 발현되는 Clostridium thermocellum의 섬유소 분해 효소의 특성 (Properties of a Novel Clostridiclm thermocellum Endo-$\beta$-1,4-glucanas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정경화;이진호;이용택;김하근;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5-510
    • /
    • 1992
  • 고온성 혐기성 세균인 Clostridium thermocellum의 섬유소 분해 효소 유전자를 pUC9 플라스미드를 이용하여 대장균에 클로닝하였고, 지금까지 클로닝 된 C.thermocellum의 섬유소 분해 유전자들과 제한효소 양상을 비교하여 새로운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대장균에서 섬유소 분해 효소를 열처리와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정제를 하였고, 분자량은 40, 000이었다. 이 효소는 pH 5.0과 $65^{\circ}C$에서 CMC에 대해서 최대 활성을 보였고 최종 산물인 포도당과 cellobiose에 의한 활성의 저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CMC에 대한 이 효소의 $K_{m}$$V_{max}$값은 각각 0.39(w/v)와 268 U/mg protein이었다.

  • PDF

Clostridium sp. KH-431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의 특성 및 구조 (Characteriz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the Antibiotics Produced by a Clostridium sp. KH-431)

  • 홍수형;김경석;박용복;하지홍;이재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3
    • /
    • 1993
  • 순수분리된 2,000여주의 혐기성 세균으로부터 선발된 Clostridium sp. KN-431은 bacteria 및 fungi에 대하여 재현성있는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항생물질 KG-431A와 KG-431B를 생산하였다. 이들 중 KG-431B는 항암활성이 1차 검색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인 바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계획중에 있다. 이들의 MIC 값을 비교해 보면 완전정제가 가능하였던 KG-431B 보다는 차라리 정제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따라 불완전 상태로 실험을 행한 KG-431A의 활성이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제된 KG-431B의 여러가니 이화학적 특성과 spectra datark 기지물질인 3-IPA와 일치하나 본 실험을 통해 밝혀진 항암활성의 검색은 정제된 3-IPA에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는 생물학적 특성으로 간주된다. 또한 Clostridium 속에서 최초로 발견된 3-IPA 존재에 대한 결과는 아직 정제가 완료되지 않은 KG-431B에 관한 연구와 함께 후속적인 확인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 PDF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lipopolysaccharide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CC Chemokines 성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rphyromonas endodontalis Lipopolysaccharide on Production of Several CC Chemokines by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 고현정;이상엽;이우철;백승호;배광식;임성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3권12호통권439호
    • /
    • pp.799-808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의 감염의 주요 원인들이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LPS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MCP-1 MIP-1α 그리고 RANTES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치근단 염중의 발병에서 섬유아세포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한 P. endodontalis와 E. coil의 LPS를 추출, 정제한 후,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0.01, 0.1, 1, 10ug/ml 농도의 P. endodontalis와 E. coil의 LPS로 12, 24, 48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MCP-1, MIP-1α 그리고 RANTES의 단백질 농도는 ELI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P. endodontalis의 LPS로 자극시킨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된 MCP-1의 수준은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E.coil의 LPS로 자극시킨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된 MCP-1의 양도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P. endodontalis LPS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많은 양을 나타냈다.(p<0.05) 3.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MIP-1α 과 RANTES는 거의 분비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세균의 LPS로 자극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MCP-1의 강한 발현은 만성 치근단 염증의 초기에 단핵세포와 대식세포의 recruitment를 증가시키는 것고 관련되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사람 치근단 농양에서 분리된 Parvimonas micra KCOM 1535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arvimonas micra KCOM 1535 isolated from a human periapical abscess lesion)

  • 박순낭;노한성;임윤경;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3-125
    • /
    • 2017
  • Parvimonas micra는 그람 양성이면서, 절대 혐기성, 비포자형성 및 비운동성 구균이다. P. micra는 사람의 구강 내 정상 세균총의 하나이고, 구강, 호흡기 및 위장관계 감염과 연관이 있다. P. micra KCOM 1535 (=ChDC B708) 균주가 사람 치근단 농양 병소에서 분리되었으며 그 유전체 염기서열을 해독하여 보고한다.

사람 악골 골수염에서 분리된 Cutibacterium acnes KCOM 1861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utibacterium acnes KCOM 1861 isolated from a human jaw osteomyelitis lesion)

  • 박순낭;노한성;임윤경;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6-128
    • /
    • 2017
  • Cutibacterium acnes (이전 학명 = Propionibacterium acnes)은 혐기성, 그람 양성 간균으로 사람 피부 및 점막조직 표면의 정상 세균총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여드름, 유육종증, 뇌종양, 심내막염, 전립선암, 치주질환 및 치수감염질환과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 acnes KCOM 1861 (= ChDC B594) 균주가 사람 악골 골수염 병소에서 분리되었으며 그 유전체 염기서열을 해독하여 보고한다.

사람 치근단 농양에서 분리된 Prevotella denticola KCOM 1525의 유전체 염기서열 완전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revotella denticola KCOM 1525 isolated from human periapical abscess)

  • 임윤경;박순낭;박세호;신자영;노한성;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2-153
    • /
    • 2019
  • Prevotella denticola는 그람 음성, 절대 혐기성, 비운동성이면서 아포를 형성하지 않는 막대 모양의 세균이다. P. denticola는 치주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치주질환의 위험 인자 중 하나이다. P. denticola KCOM 1525 (= ChDC B698) 균주가 사람 치근단 농양에서 분리되었다. P. denticola KCOM 1525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완전 해독하여 보고한다.

신선편이 양상추의 온도별 저장 중 미생물과 품질변화 (Microbe and Quality Changes of Ready-to-Eat Lettuc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조선경;권혜순;박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67-1872
    • /
    • 2010
  • 신선편이 식품인 진공 포장된 상추를 보관하면서 미생물과 품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염소수로 살균 소독되어 진공 포장된 상추를 $5^{\circ}C$, $15^{\circ}C$, $25^{\circ}C$에서 7일까지 보관하면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식중독세균, 젖산균 생균수 분석과 포장내의 가스 및 관능검사를 하였다. 보관 실험 전에 총 균수가 2 log CFU/g, 대장균군은 1 log CFU/g 오염되어 있었고 젖산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5^{\circ}C$에서의 7일까지 보관하는 동안에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젖산균의 증식은 1 log CFU/g이었으며 다른 병원성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취와 아삭아삭함 등의 관능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 5일 보관 시에 최상의 절반정도의 관능도를 보여 주었다. $15^{\circ}C$에서의 보관 시 3일 보관할 때 일반세균수는 3 log CFU/g, 대장균군은 2 log CFU/g 증식하였으나 젖산균은 4 log CFU/g 증식하여 현저히 증식이 잘 일어났고 다른 병원성 세균 중 B. cereus만이 증량 배양 후에 검출되었다. 이취, 아삭아삭함 등은 3일 보관 시에 최상의 절반정도의 관능도를 보여주었다. $25^{\circ}C$에서의 저장 시 1일만의 일반세균수의 3 log CFU/g, 대장균군은 1 log CFU/g, 젖산균은 4 log CFU/g 증가하였다. 식중독 세균 중 B. cereus만이 증량 배양 후에 검출되었다. 관능검사평가도 1일 안에 모든 항목에서 최상의 절반 이하로 낮게 나왔다. 그러므로 신선편이 상추의 오염세균 증식을 저해하기 위하여 가능한 낮은 온도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흥미롭게도 검출 세균 중에 젖산균의 증식이 혐기조건에서 크게 일어났는데 이들 젖산균은 신선편이 식품의 품질 저하와 관련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혈액에서 혐기성 세균이 분리된 환자의 임상 및 세균학적 검토 (Clinical and Bacteriological Evaluation of the Patients with Anaerobic Bacteria Isolation from Blood)

  • 김진주;정윤섭;이삼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4
    • /
    • 1985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aerobic bacteria from blood cultures are still technically demanding procedures. Recently, with the use of gas liquid chromatography,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is much improved. However, there has never been a satisfactory data analysis on anaerobic bacteremia in Korea. The authors evaluated both the clinical and the bacteriological data of 129 anaerobic bacteremias found at the Yonsei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of 1973 to 1984.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anaerobic bacteria were Bacteroides (52.7%), among which the major species was B. fragilis (38.7%). Incidence of anaerobic bacteremia by sex was 57% in male and 43% in female. Mortality was higg in groups below 1-year old and above 50-year old. The cause of death seemed closely correlated with the patient's age, general condition and the severity of the underlying disease. Various neoplasms were the most common (20%) underlying diseases predisposing the anaerobic bacteremia. Biliary tract was considered the most frequent route of infection in anaerobic bacteremia. The frequent clinical signs in anaerobic bacteremia were fever (65%), followed by liver function abnormality (29%), jaundice (20%) and hypotention(18%). When analysis of positive rate of blood culture was made on the patients from whom 4 cultures were done within 24 hours, it was found that 33% of the samples were positive. Isolation rate of anaerobic bacteria in thioglycollate medium was 83.8%, while it was 44% in Tryptic soy broth. Among the anaerobic bacteremia, 25.4% were polymicrobial infections with aerobic bacteria (92.5%), such as E. coli(33.3%). From these studies, it is concluded that B. fragilis is the most important causative organism in anaerobic bacteremia, with high fatality, particularly in those who have underlying diseases. The ports of entry are mainly biliary, gastrointestinal and female genital tract. Fever is the most frequent clinical sign. Single blood culture is not sufficient to detect all anaerobic bacteremia, therefore more cultures with optimal time interval are needed. The incidence of polymicrobial infection in anaerobic bacteremia is higher than that in overall bacteremia.

  • PDF

제초제 Paraquat의 미생물 생육저해 작용 (Inhibition of Micobial Growth by Paraquat)

  • 김미림;박찬성;최경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283-288
    • /
    • 1995
  • 시판 농약류의 미생물에 대한 독성을 검정한 결과 제초제인 paraquat(1,1'-dimethyl-4,4'-bipyridylium dichloride)가 편성혐기성 세균을 제외한 세균류와 효모 및 곰팡이에 걸치는 광범위한 미생물의 증식을 저해하였다. Paraquat는 $1.0\;{\mu}M$(0.186ppm)의 농도에서도 공시균(Escherichia coli KCTC 1039)의 turbidometric growth를 지연시켰으나, 생균수 변화 및 well test 등의 결과로부터 공시균에 대한 paraquat의 생육저지 최소 농도는 1.0mM(186ppm)로 평가되었다. Paraquat 처리시 공시균의 생균수는 처리직후에 대조구의 약 50%로 급격히 감소되었으나, 이후 4시간 동안 1.0mM의 paraquat 존재하에서도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처리 4시간 이후로는 생균수가 서서히 감소되었으며 계속된 배양에도 불구하고 재증식은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