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존량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8초

임진강 수역의 자연 하적호 장좌못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at Jangjwa Lake, a Natural River Bed Lake in the Imjin River)

  • 윤숙경;이경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103-110
    • /
    • 2002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장좌리에 위치한 자연 하적호인 장좌못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조사가 2000년 7월부터 2001년 4월까지 계절별로 실시되었다. 총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112종류로 5문에 속하는 83종. 30변종, 1변품종, 1품종, 17미동정종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시기 전반에 걸쳐 녹조류 및 돌말류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001년 1월 $5,742{\times}10^3\;cells/l$의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2001년 4월 $2,943{\times}10^3\;cells/l$의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년 중 $3,000{\times}10^3\;cells/l$이상의 대발생을 나타내었으며 겨울철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Aulacoseira granulata, Chlamyodomonas nivalis v. kobayasii, Dinobryon sertularia, Mougeotia sp., Uroglenopsis americana 등을 볼 수 있었으며 이들 중 낮은 수온에서 주로 출현하는 Chlamydomonas nivalis v. kobayasii는 겨울철의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수원시와 평택시의 5개 담수호소의 식물플랑크톤 분포 및 현존량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at Five Freshwater Lakes in Suwon-si and Pyongtaek-si, Gyeonggi-do)

  • 문병렬;남미라;이옥민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32-46
    • /
    • 2005
  • 경기도 수원시와 평택시에 위치한 광교저수지, 원천저수지, 서호, 남양호, 아산호 등 5개 호소에 대해 2003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4회의 채집을 실시하고,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수역에는 5문, 5강, 1아강, 16목, 26과, 1아과, 72속, 167종, 28변종, 1아종, 3품종의 총 199분류군의 식물플랑크톤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식물플랑크톤 중 청정수역을 지표하는 분류군은 9월 광교저수지에서 Cladophora glomerata의 1분류군만이 출현하였으나, 오염수역을 지표하는 분류군은 Oscillatoria chlorina를 포함한 2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또한 각각 9분류군과 4분류군의 이취미 및 독성물질을 분비하는 분류군들이 출현하였다. Chlorophyll-a농도에 대한 Yang and Dickman이 제안한 기준에 따르면 서호, 원천저수지, 남양호, 아산호는 과부 영화 상태이며, 광교저수지는 동계에는 빈중영양 상태이고 나머지 계절은 부영양화 상태로 나타났다.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2.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Ecological Studies on the Asan Reservoir. 2.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 김영길;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87-197
    • /
    • 2002
  • 아산호에서 1997년 3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6회에 걸쳐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9개 정점에서 관찰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은 총 204종군으로, 각 분류군별 출현비는 녹조류 51%, 규조류 29%, cyanobacteria 12%, 와편모조류가 2%, 유글레나류 4%, 기타 편모조류가 2% 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741ce11s/m떼서 613,066ce11s/ml의 범위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현존량은 7월에 가장 높았고 9월, 6월, 3월, 11월, 5월 순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녹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며, 녹조원인생물은 Micractium pusillum, Stephandiscus hantzschii, Dictyospharium pulchellum, cryptomonad (> 20 ${\mu}$, Microcystis aeruginosa, Oscillatoria tenuis, Oscillatoria sp., Aphanocapsa sp. Euglena sp., Volvox aureus 이었다. 여름철에 cyanobacteria에 의한 녹조현상이 현저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다양성은 0.13${\sim}$의 범위로 시${\cdot}$공간적으로 차이가 매우 컸다. 집괴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아산호 하류수역과 상류수역 투 개의 수역으로 구분이 되었다.

한국 동해안 주문진의 자연산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의 생장과 성숙주기 (Growth and maturation period of a brown alga, Scytosiphon lomentaria(Lyngbye) Link in a natural habitat of Sodol, Jumunjin, eastern coast of Korea)

  • 한명석;박찬선;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40권2호
    • /
    • pp.206-213
    • /
    • 2022
  • 고리매는 동해안에서 식용되어온 유용 갈조류이며,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여 이용이 기대되는 해조류이다. 이 연구는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주문진읍 소돌해안에서 고리매 개체군의 생장 및 성숙 패턴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리매 개체군의 정량조사를 위해 월별 형태분석, 밀도 및 현존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 고리매의 최대엽장은 3월(수온 10.6℃)에 16.3±3.0 cm, 평균 밀도는 32.5±2.9 ind. m-2 및 평균 현존량은 96.0±12.1 g fresh-wt. m-2 였다. 고리매 엽체의 성숙은 4월(수온 12.1℃)에 최성기를 보였으며, 성숙에 요구되는 성숙유효적산온도는 162.5 degree-days였다.

후박나무림(林)의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에 관(關)하여 (Biomass Production of Machilus thunbergii S. et Z. Stand at Bogil Island in Korea)

  • 이정석;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0-16
    • /
    • 1988
  • 한국(韓國)의 난대(暖帶)인 전남(全南) 완도군(莞島郡) 남길도(南吉島) 해안(海岸)에 조성(造成)된 상록활엽교목(常綠濶葉喬木)이며 약용자원(藥用資源)으로 활용(活用)되고 있는 후박나무림(林)을 대상(對象)으로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지상부현존량(地上部現存量)은 123.708 tons/ha로 추정(推定)되었고 이용가능(利用可能)한 가지수피량(樹皮量)은 1.615 tons/ha로 총수피량(總樹皮量) 8.095 tons/ha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현존량(現存量) 밀도(密度)는 $1.77ha/m^3$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는 8.08로 나타났다. 지상부(地上部) 년순산량(年純産量)은 16.051 tons/ha/yr로 추정(推定)되었고, 그 구성화(構成化)는 잎이 42.6%, 줄기목질부(木質部)가 32.6%, 가지목질부(木質部)가 21.1%, 줄기수피(樹皮)가 2.5%, 가지수피(樹皮)가 1.2% 순(順)이었다. 생산능률(生産能率)에 있어서 순동화율(純同化率)은 1.384 kg/kg/yr,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은 0.451 kg/kg/yr, 총수피생산능률(總樹皮生産能率)은 0.051 kg/kg/yr, 현존량축적율(現存量蓄積率)은 7.707 kg/kg/yr로 나타났다.

  • PDF

남해중앙부해역의 표층퇴적물중 유기물과 와편모조류 시스트 분포 (A Study of Organic Matter and Dinoflagellate Cyst on Surface Sediments in the Central Parts of South Sea, Korea)

  • 박종식;윤양호;노일현;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63-172
    • /
    • 2005
  • 남해 중앙부해역의 해양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층 퇴적물중의 와편모. 조류 시스트와 유기물 분포에 대한 조사를 2002년 4월부터 2003년 1월가지 총 6회 실시하였다. 분석 항목 중 함수율, 강열감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입자성 유기탄소, 입자성 유기질소, 식물색소량은 각각 $38.7\~68.9\%\;3.9\~\;12.5\%,\;9.60\~44.05\;m9O_2\;gdry^{-1},\;3.12\~13.14mgC\; gdry^{-1},\;0.49\~2.01mgN\;gdry^{-1}$$1.61\~29.51{\mu}g\;gdry^{-1}$ 범위로 나타났다. 시스트는 18속, 31종 2미동정으로 총 33종이 동정되었으며, 우점종은 주로 독립영양종인 Spiniferites bulloideus와 Scrippsiella trocho-idea가 나타났으며 현존량은 $42\~2,880\;cysts\;gdry{-1}$ 범위로 출현하였다. 유기물 농도와 시스트 현존량은 연안해역보다 육상에서 멀리 떨어진 외해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 기원은 육상기원보다는 해역자체 생산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결과 4월과 7월 모두 제1주성분은 "외해 유기물 집적"을, 제2주성분은 "시스트 출현량"에 의해 집약되는 특성으로 판단 할 수 있었으며, 득점분포도에 의해 남해 중앙부 해역은 3개의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강원도 현천리 습지의 동식물플랑크톤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in the Hyuncheon Wetland, Gangwon-do, Korea)

  • 김세화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71-376
    • /
    • 2014
  • 2012년 전국 내륙습지 생태계 조사의 일환으로 강원도 현천리 습지에서 6, 8, 9월 매달 3회에 걸쳐 동식물플랑크톤을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윤충류 6종, 지각류 4종, 요각류 2종류, 선충류 1종과 수서곤충 유생 1종 등 총 14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출현량은 6월에 $55ind.L^{-1}$를 기록한 후 점점 감소하였다. 윤충류는 0.1 mm 전후의 소형종들이 출현하였고 지각류는 산간계곡 서식종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요각류 성체는 출현하지 않았고 유생만 관찰되었다. 또한 하계에 출현한 줄무늬먹파리의 출현은 현천리 습지가 1급수 지역임을 시사하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26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8월에 $10,120cell.L^{-1}$의 최대현존량을 기록하였고 9월에 최소현존량 ($4,080cell.L^{-1}$)를 기록하였다. Docidium undulatum과 같은 진흙 습지 서식 종, Closterium acerosum은 고원 습지부터 평지의 연못까지 폭넓게 분포하는 종, Navicula 및 Nitzchia 속의 종들과 같이 팔당호와 같은 평지의 커다란 호수에서도 많이 출현하는 종들이 함께 출현했다. 전반적으로 동식물플랑크톤의 출현량과 현존량이 낮아 현천리 습지에서 동식물플랑크톤의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일반적인 평지의 담수계에 비하여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물플랑크톤의 종다양성 지수는 6월에 가장 높고 서서히 감소하였고 식물플랑크톤은 8월에 감소하였다 9월에 다시 증가하였으나 짧은 조사 기간으로 인하여 특이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한국 남해의 동물성 플랑크톤량의 경년 변화에 관한 연구 (SECULAR VARIATION OF ZOOPLANKTON BIOMAS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08-114
    • /
    • 1972
  • 한국 남해의 동물성 플랑크톤 현존량은 $1963\~1971$년간의 자료로 분석한 결과 63개월을 일주기로 주기 변동을 하고 있으며. 그 주기성은 자기 상관 계수 $\gamma_k$=0.86으로 강한 편이다. 계절 순환 변동은 4월과 10월을 극대기로 하는 쌍봉성 변동을 하며, 그 경향은 대단히 뚜렷한데, 이것은 이 해역에 있어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양적 소장과 중요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고찰된다.

  • PDF

소형 경량의 특성을 만족하는 ZigBee MAC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small-sized light weight ZigBee MAC Protocol)

  • 한창만;최정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79-1282
    • /
    • 2005
  • 지금까지 무선 통신 기술은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가진 통신에 대하여 집중 개발되었으나, 낮은 처리량과 적은 비용, 낮은 전력소모의 요구사항을 가진 소형 경량의 무선 통신 분야의 기술개발은 활발하지 못했다. 현존하는 무선 통신 기술들을 낮은 처리율과 낮은 가격, 낮은 전력소모의 요구사항에 적용하기에는 필요이상의 성능과 비용이 들어가며, 특히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형 경량의 무선 통신 기술인 ZigBee가 생겨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무선 통신 기술과 ZigBee 기술을 비교분석하여 ZigBee 기술의 필요성과 장단점을 제시하고, ZigBee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IEEE 802.15.4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 개발결과를 기술한다.

  • PDF

농촌지역에서의 농업 유기물 흐름의 평가 (Assessment of agricultural Organic Matter Flow in a Rural Area)

  • 김진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14-124
    • /
    • 2000
  • The method to estimate agricultural organic matter flow on the regional scale was established and applied to a rural area in Chongwon-gun, Chungbok in 1996. The study area is of about 67$\textrm{km}^2$ and its population is about 7,000. The stocks and flows of organic matter are represented in dry weight per unit area and dry weight per unit area per year, respectively. the amount of inflow of organic matter indicates a possibility t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amount of animal waste 767 kg/ha/yr account for 42 percent of total amount of organic waste 1,834 kg/ha/yr and therefore the environment in study area is greatly influenced by livestock. The decrease in recycling rate of animal waste form 100% to 70% has greatly increased the amount of disposal waste nearly twice, i.e., from 267 kg/ha/yr to 497kg/ha/yr .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ppropriate animal population, increase in recycling of animal waste and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land are necessary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the study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