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장 재료 강도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4초

500kg/cm$^2$고강도 콘크리트 - 재료특성$\cdot$현장시공성에 관한 연구

  • 안재현;권영호
    • 어항어장
    • /
    • 통권18호
    • /
    • pp.69-77
    • /
    • 1992
  •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 일환으로 설계기준강도 500kg/cm$^2$ 이상인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 B/P 생산과 실대구조물의 시공성 및 강도,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장 최적배합비 선정과 레미콘 운반시간에 따른 경시변화 시험을 수행하였고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 및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일반 현장재료와 장비의 사용으로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생산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가 500kg/cm$^2$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내 현장의 콘크리트, 철근 및 강연선 재료 강도에 대한 통계 특성 분석 (Statistical Properties of Material Strength of Concrete, Re-Bar and Strand Used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

  • 백인열;심창수;정영수;상희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21-430
    • /
    • 2011
  • 이 연구는 신뢰도기반 구조설계기준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시공 현장에서 사용하는 구조 재료의 강도 현황을 조사하여 통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하중 및 구조 저항의 실측값을 기반으로 통계 및 신뢰도에 기반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구조물 설계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재료 강도의 통계 특성을 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현장에서 시공에 사용한 콘크리트, 철근 및 PS 강재의 재료 강도를 수집하여 이들을 통계 처리하고 외국의 신뢰도 기반 설계기준 보정에 사용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콘크리트 자료의 편중 계수는 1.13에서 1.20의 범위에서 비교적 균등하였고 변동 계수는 0.10 이하로 나타났다. 철근 자료는 제조사별로 통계 특성이 차이를 보이고 있고 직경별로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강연선의 경우에는 고강도 재료이므로 국내 자료와 외국자료 모두 편중 계수와 변동 계수가 콘크리트와 철근에 비하여 작은 값을 보이고 있다. 통계 분포는 다양한 출처로 인하여 혼합된 전체 데이터 대신 개개의 구조물별로 사용되는 재료 강도의 분포를 모사하도록 데이터를 좀 더 세분하여 현장별, 제조사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재료 강도에 대하여 정규 분포, 로그 정규 분포 및 Gumbel 분포로 가정하여도 적절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폐기물을 첨가한 경량혼합토의 배합설계와 목표강도 결정 (Determination of Mix Design and Target Strength for Lightweight Soils using Recycled material)

  • 윤길림;배윤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468-474
    • /
    • 2010
  • 최근 국내에서 연약지반개량을 위하여 적극 도입되기 시작한 차세대 지반처리기술인 경량혼합토공법의 배합설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경량혼합토는 건설잔토나 준설토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점토나 실트질 흙을 사토처리 하지 않고 현장에서 유용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공법으로서 일본에서는 지난 10여년에 연간 수백만톤의 경량혼합토를 생산하여 건설현장에 적용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폐자원(폐타이어가루, 왕겨)을 경량혼합토에 첨가하여 건설재료 재활용을 위한 역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혼합토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배합설계변수인 원료토의 중량, 함수비 및 기포재와 첨가할 물의 양, 그리고 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고화재로서 시멘트첨가량에 대한 최적의 배합설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지금까지 제안된 시멘트함유량은 초기의 경량혼합토 목표강도가 주어지면 원료토의 조건에 따라 원하는 비중과 강도를 토대로 적절하게 현장에 적합하게 결정하는 단계에 있으나 일부 현장에서 지나친 목표강도 설정으로 과대한 시멘트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 국가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혼합토의 목표강도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시멘트함유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재활용 재료를 이용한 지하 매설물용 뒤채움재의 모형시험 및 유한요소해석 (FEA and Model test of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Facility with Recycling Materials)

  • 이관호;김성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77-177
    • /
    • 2011
  • 현재 대부분 사용되는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는 다짐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방법은 부적절한 다짐으로 인해 침하 및 내구성 저하로 인해 파손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유동성 뒤채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유동성 뒤채움재는 초기 유동성, 시간에 따른 자기 강도 발현 무다짐공법 적용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발생토사, 정수장슬러지 및 폐타이어분말 등 재활용 재료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기본물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재활용재료에 대한 입도 및 비중을 평가하였고, 최적배합설계를 결정하였으며, 모형 시험과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기본 물성값을 위해 일축압축시험, 삼축압축시험, 공진주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최적배합설계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수행한 실험중 대표적인 시험으로 자가수평능력 및 자기다짐등에 필요한 유동성을 판단하는 Flow시험(ASTM D 6133) 결과 기준으로 정한 20cm이상의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일축압축강도의 경우 시공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강도인 $3.0kg/cm^2{\sim}5.6kg/cm^2$이하로 설계하였으며 28일재령 일축압축강도 결과 $3.15{\sim}3.74kg/cm^2$라는 유지보수에 적당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이 배합이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장모형시험과 유한요소해석를 통하여 현장에서 사용하였을 때 관의 변형과 관에 작용하는 하중변화를 확인하고 현장모형시험과 유한요소해석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현장 모형 시험은 현장과 비슷하게 제작된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최대한 현장과 비슷한 조건에서 뒤채움재를 타설과정 중과 타설이 완료된 상태에서 7일 양생 후 하중재하와 같이 두가지 경우에서 수직 수평토압, 관의 수직 수평변위, 관의 종단변형을 측정하였다.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은 Midas GT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관의 변형률, 유효응력을 측정하여 규명하였다.

  • PDF

극지 해양플랜트 현장시험용 해빙의 재료특성 간이 계측장비 개발 (Design of Portable Measuring Devices Used for Field Ice Experiments)

  • 최경식;김정현;김정선;하정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126-1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극지 빙해역을 운항하는 쇄빙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해빙의 재료특성을 계측할 수 있는 간이 실험 장비를 제작하였다. 극지 빙해역을 운항하는 쇄빙선박의 빙저항이나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빙하중을 추정하기 위해서 극지 현장에서 실규모의 시험을 수행하게 되는데, 저온과 얼음이라는 악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빙역학 기술과 특수 장비가 필요하다. 국내에 한국해양연구원 MOERI 빙해수조가 완공됨에 따라 얼음의 특성을 고려한 모형빙 재료특성 시험용 계측장비가 일부 마련이 되었으나 빙해역 현장 시험에 대한 경험이 전무하며, 계측장비에 대한 지식과 기술 역시 확보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후 쇄빙연구선 ARAON호를 이용한 빙해역의 실선계측 시 해빙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시스템 마련의 일환으로 시험편 획득을 위한 코어링 장비와, 해빙의 재료특성 중 1축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간이 압축시험기 그리고 얼음의 결정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편광기를 제작하였다. 또한 극지 현장실험에 적용할 실험기법 확보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제작된 장비를 이용해 소양호에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고 계측된 결과를 참고문헌과 비교해본 결과 유사한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물성과 응용

  • 이차돈
    • 전산구조공학
    • /
    • 제7권4호
    • /
    • pp.4-9
    • /
    • 1994
  •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내에 강섬유를 임의로 투입함으로써 취성의 콘크리트 물성을 연성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압축, 인장, 휨 강도를 증가시킨 새로운 구조 신소재라고 할 수 있다. 과거 70년대가 SFRC의 재료적 물성에 대한 실험적 시기였던 반면 현재는 현장에 SFRC를 시공하는 응용단계라 할 수 있다. SFRC의 우수성은 선진 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업, 정부, 계약관계자 등에게 잘 인식되어 있어 이미 많은 시공현장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외국(미국, 일본, 유럽 등)의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경제적인 구조물을 실현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안타깝게도 SFRC에 대한 인식이 아직 일반화되어 있지 않으며 시공현장도 매우 드문 실정이다. SFRC에대한 연구는 국.내외 학회에서 꾸준히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이들 연구결과가 경제적이고 우수한 구조물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현장타설 고강도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강도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Workability, Placement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n the High Strength Concrete in the Field)

  • 권영호;장승규;양은익;조철근;박칠림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7-104
    • /
    • 1991
  • 고강도 콘크리트의 관용화일환으로 500㎏/㎠ 이상인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 B/Ptodtks과 실대구조물의 시공성 및 강도,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현장 체적백합비 선정과 레미콘 운반시간에 따른 경시변화 시험을 이행하였고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 및 콘크리트를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일반 현장재료와 장비의 사용으로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생산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가 500㎏/㎠ 이상을 나타내므로써 나타내므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 평가 (A Evaluation of Manufactural Performance by Applied Quiet Pavement)

  • 전순제;김완상;김영진;류득현;이석홍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81-181
    • /
    • 2011
  • 도로는 국내 물류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반시설로 국내 경제성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1970년대 개통된 경부고속도로는 우리나라의 대동맥으로 산업 성장의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기반이 되었고, 공학적인 차원에서도 도로 포장재료를 경험 및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하는 계기로 도로공학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과거에 적용된 도로 포장재료는 기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배합설계가 진행되었으며, 중차량의 비중이 많은 지역은 강성포장을 적용하고, 상대적으로 중차량이 적은 구간은 연성포장을 적용하는 설계를 따랐다. 하지만, 강성포장을 대표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시공상의 복잡함과 시멘트 콘크리트 특성상 강도발현을 위해서 일정기간 이상의 양생일수가 필요하므로, 도로건설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지역에서는 사용의 제약이 따른다. 연성포장을 대표적하는 재료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들 수 있다. 강성포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시공상의 편리함과 일정기간의 양생이 필요하지 않아 도로 포장재료로서 그 적용성이 우수하다. 과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종류가 단순화되어 표층, 기층에 대표되는 몇몇 혼합물이 도로 포장재료로 사용되었다. 도로공학의 학문적 발달과 함께 도로포장의 전반적인 기술이 향상되고 있다. 과거의 도로 기능은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산업용 원자재의 운반이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반면, 국민의 경제적 수준이 증대되고 자가용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도로 이용의 주체가 국민 개개인으로 변화되고 있고, 그 요구조건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도로공학의 기술적 향상으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도로포장재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배수성 포장, 반강성 포장, 보수성 포장, 탄성 포장, 저소음 포장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포장의 하나인 저소음 포장의 특성 중 생산성능을 평가하였다. 생산성능이란 저소음포장을 현장 플랜트에서 생산하였을 경우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실내 실험으로 최적화된 재료의 배합은 이상적인 조건을 적용하여 결정된 것으로 입고된 현장 골재 및 생산 플랜트 조건에 따른 그 배합 및 물성이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저소음 포장은 기존의 아스팔트 포장과 달리 적용되는 골재, 아스팔트의 재료가 고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특수한 재료를 적용해야 한다. 배합설계에서도 개립도 아스팔트 혼합물에 적용되는 내구성분석 절차를 따라야 하므로, 실내 배합설계 혼합물과 현장 생산 혼합물간의 물리적 특성에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전반적인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여 저소음 포장의 현장 생산성능을 확인하였다. 분석요소로는 혼합물의 기초물성면에서는 밀도, 공극률을 분석하였으며, 실내 내구성면에서는 마샬안정도, 잔류안정도를 분석하여 실내 및 현장 혼합물의 물성차이를 분석하였다. 기초물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밀도와 공극률에서는 생산 현장 혼합물이 실내 혼합물 보다 높은 밀도와 낮은 공극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상관하여 강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마샬안정도도 생산 현장 혼합물이 다소 높은 강도를 발휘하였다. 또한, 수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는 인자인 잔류 안정도에서는 실내 및 현장 혼합물 모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다.

  • PDF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성 향상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Improving the Applicability of High-Strength Concrete)

  • 유영찬;민병렬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3-92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서 구입 가능한 저품질의 재료를 사용한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28일 압축강도와 물\ulcorner시멘트비와 관계를 유출함으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식을 얻기 위한 것이다. 목표슬럼프는 고층건물에서의 시공성을 고려하여 15$\pm$2cm로 하였으며 혼화제로는 고성능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고강도콘크리트의 응력-변형도 특성을 비롯하여 탄성계수, 포아송비, 단위중량 등 고강도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재료성질을 얻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고강도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식은 국내현장조건을 고려한 실용식으로 고강도콘크리트으 설계 및 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FRP선체 복합재료와 구조용 접착제의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P Composites and Structural Adhesives)

  • 최한규
    • 선박안전
    • /
    • 통권26호
    • /
    • pp.4-23
    • /
    • 2009
  • 선체용 복합재료 및 구조용 접착제와 신공법인 진공 성형법으로 건조한 레저선박에 강화플라스틱 구조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따라서 복합재료, 수지, 접착제 및 진공 성형법 등 현장조사를 토대로 복합소재 및 접착제를 이용한 시험편을 제작하여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구조용 접착제에 대한 신뢰성 평가 및 국내외 기준 비교 검토를 통한 국내 실정에 적합한 검사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