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 영상

Search Result 1,30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실증 기반 딥러닝 영상분석 기술 제공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플랫폼

  • Lim, Kyung-Soo;Kim, Geon-Woo
    • Review of KIISC
    • /
    • v.29 no.3
    • /
    • pp.37-43
    • /
    • 2019
  • 딥러닝을 비롯한 인공기능과 영상처리 분야의 접목은 기존 물리보안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 기술도 지능형 영상감시가 필요한 실제 현장에서는 다양한 환경의 제약사항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CCTV 환경의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여 신경망을 이용한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영상분석의 성능을 개선하는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플랫폼을 소개한다.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플랫폼은 지자체 통합관제센터에서 수집한 CCTV 영상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여, 현장에서 신뢰받을 수 있는 사람 검출, 사람/차량 재식별, 열악 차량번호판 탐지 등의 지능형 영상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utomated Training Database Development through Image Web Crawling for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건설현장 영상 분석을 위한 웹 크롤링 기반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동화)

  • Hwang, Jeongbin;Kim, Jinwoo;Chi, Seokho;Seo, JoonOh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887-892
    • /
    • 2019
  •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series of vision-based technologies to monitor construction sites automatically. To achieve high performance of vision-based technologies, it is essential to build a large amount and high quality of training image database (DB). To do that, researchers usually visit construction sites, install cameras at the jobsites, and collect images for training DB. However, such human and site-dependent approach requires a huge amount of time and costs, and it would be difficult to represent a range of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and resource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hat automatically constructs a training image DB using web crawling techniques. For the validation, the authors conducted two different experiments with the automatically generated DB: construction work type classification and equipment class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could successfully build the training image DB for the two classification problem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s for developing a vision-based technology on construction sites.

KOMPSAT MSC 영상을 이용한 임상분류 알고리즘 변별력 실증 연구

  • Jo, Yun-Won;Kim, Seong-Jae;Jo,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경주시 내남면 일대를 대상으로 KOMPSAT MSC(Multi Spectral Camera) 영상(2007.06.12)을 이용하여 TCT(Tasseled-Cap Transformation),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포도를 작성 하였으며 TCT DN 값을 기초로 영상 강조 및 변환을 통한 임상분류에 적합한 밴드 추출과 NDVI 분포도에서의 DN값을 기초로 산림현장 조사 결과에서 취득된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알고리즘에 대한 임상분류에 있어서의 변별력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KOMPSAT MSC 영상에서의 임상분류를 위한 식생 알고리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al-time Risk Estimation Method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인공지능기반 공사현장 작업자의 실시간 위험성 추정 방법)

  • Kang, Sung-Hwan ;Lee, Dong-Yeop;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7-30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공사현장 작업자의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인공지능기반의 실시간 위험성 추정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재난안전학 또는 안전공학에서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강도·빈도에 의하여 위험성을 추정하고 도출된 값을 통해 위험한 정도를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는 정적인 위험성평가를 통해 해당 유해위험요인을 근거로 형식적인 위험성평가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고 후 증빙 자료로만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위험성평가를 진행하면서 변화하는 환경의 유해위험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없게 되고, 이는 실질적인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해 주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위험성평가와 더불어 실질적인 안전한 작업장을 만들기 위해서 작업자의 건강정보 및 실시간 공사현장의 영상정보에 기반한 위험성 추정 기법은 실질적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방법론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작업자의 건강정보는 개개인 맞춤형 건강 데이터에 근거한 해석이 가능하고 실시간 공사현장 영상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돌발상황에 대비하기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위험성 추정 방법은 다양한 공사현장의 위험성 추정 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높은 정확도의 위험성 추정 수치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실질적안 안전 예방활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위험성 추정 수치 예제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된 위험성 추정 방법론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는 기존 위험성평가에 더해 작업자의 건강정보 및 공사현장 실시간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작업자 안전을 위한 예방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웹기반의 생산현장 원격관리 시스템개발

  • 배경환;배미영;박은주;임한규;이남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835-847
    • /
    • 1998
  • 관리사무실에서 원거리 현장사무실을 관리할 수 있는 직접적인 방법이 없는 형편이다. 전화나 팩스를 이용할 경우에 소요되는 인력이나 경제적 손실등에대한 낭비가 막대하다.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를 사용하는 기업이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점차 늘어나고 있다. 생산 현장등에서 차량 감시 시스템, 경비 시스템, 주차장 관리 시스템등의 다양한 부문별로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는 기업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기업들의 시스템에서 실시간 감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화상 자체를 카메라에 연결된 시스템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감시인이 원거리에서 실시간 감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시스템의 비용이 고가이고 저장된 영상의 분석 또한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으로 감시 카메라, 영상 전송 시스템, 영상 분석 시스템등으로 구성되어 웹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산현장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Inspection Robot System using Remote Sensing Images of Fire Scene (원격 탐사 영상을 이용한 화재 현장 탐사 로봇 시스템)

  • Park, Senog Joon;Youn, He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71-173
    • /
    • 2015
  • 최근 원격 탐사를 이용한 사람이 탐사하기 어려운 환경을 대신 탐사 할 수 있는 로봇의 필요성이 두각 되고 있다. 그 중에 화재현장 탐사 로봇은 일부 지형의 협소함 탓에 사람의 탐사를 대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로봇은 아두이노(Arduino) 보드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에 있는 탐사로봇으로 지형에 대한 정보 및 영상을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람의 탐사현장 투입을 대체한다. 탐사로봇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혹은 장애물이 많은 공간일수록 통신 신호가 약해지거나 이동의 어려움 때문에 성능저하가 우려된다. 또한 센서 및 모터제어와 영상 송출이 각각의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므로 일일이 실행하여 사용에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통신 거리가 긴 동글(dongle)을 설치하여 통신장애를 해결하고 캐터필러의 사용으로 이동성을 향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러 프로그램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새로 구현하여 편리성을 높였다.

  • PDF

Digital Image Categorization using Pattern Recognition (패턴인식을 적용한 디지털 영상 분류기법)

  • Park, Chang-Wook;Byun, Keun-Duck;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187-190
    • /
    • 2008
  • 디지털 영상기기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영상은 우리의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이 생활의 일부가 되면서 범죄자들은 범죄현장의 흔적을 디지털 영상으로 저장하기도 하며, 디지털 영상으로 저장된 CCTV를 통하여 범죄의 현장을 재현하기도 한다[5][6]. 이러한 디지털 영상은 사건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사건을 수사하는데 있어 수집하여야 할 중요한 대상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은 하나의 분석대상에 다수의 파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디지털 영상 속에서 사건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영상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영상 증거물을 디지털 영상 포렌식의 한 분야인 디지털 영상 분류기법을 통하여 수사의 편리함과 정확성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디지털 영상의 수사를 돕기 위한 디지털 영상의 분류기법은 디지털 영상 포렌식의 영역 중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영역중의 하나이며,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방식도 국내가 아닌 국외의 법과 수사 환경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법과 수사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분류기법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영상 포렌식 중 하나의 분야인 디지털 영상 분류기법의 연구현황을 확인하며, 디지털 영상 분류기법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amage by Disaster using Satellite Images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해 피해조사에 관한 연구)

  • Cho, Myeong-Heum;Cho, Jae-Woong;Choi, Woo-Jung;Lee, Cheol-Kye;Sh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54-261
    • /
    • 2008
  • 최근 기상이변과 예상치 못한 지각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그 규모 또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피해현황 조사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한 GIS, IT, 원격탐사 등 영상공간정보와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재해정보체계 구축에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위성영상은 항공사진과 더불어 지표면의 변화를 신속하고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재해 관리와 복구 대책 수립이 요구되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봉화지역의 재해대장에 기록된 피해유형 및 피해규모를 현장에서 직접 답사하여 실제 피해현장을 파악하였으며, 피해 전 항공영상과 피해 후 아리랑 2호 위성영상을 확보하여 영상처리 및 분석을 통해 피해식별가능 여부와 피해 현황별 피해규모를 추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