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적용 사례

Search Result 1,3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analysis of applied examples of cable diagnosis instrument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배전용 지중케이블 열화진단장비의 현장적용 사례분석)

  • Yi, Sue-Muk;Lee, Joong-K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a
    • /
    • pp.461-463
    • /
    • 2003
  • 우리나라에서 현재 적용중인 배전용 지중케이블은 1973년 처음 도입되어 도시의 중심 번화가와 변전소 인출개소 및 신도시 택지개발 지역 둥에 주로 설치되어 현재는 약 17,231 C-km (2002.12말 기준)에 이르고 있다. '86 아시안 게임과 '88 서울올림픽을 대비해 설치했던 케이블들은 설치 당시의 열악한 제작, 시공 및 관리 기술의 부족으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불량케이블이나 20년 이상된 노후케이블의 절연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현재 적용 기준으로 되어있는 등온완화전류법을 이용한 열화진단장비를 현장에 적용해 보고 사례를 분석해보므로써 이 장비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 PDF

Impact-Resonance Testing of Concrete Structures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공진 시험)

  • Kim, Young-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3 no.5
    • /
    • pp.526-531
    • /
    • 2003
  • Condition assessment of concrete structures is essential since their performance affects public safety. Impact resonance testing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nondestructive testing of the concrete structures. In this article, the background, basic principles of the impact resonance testing were described. Not only laboratory studies but also the field applications such as basement concrete of large structure and large slurry wall are described.

A Study on the Process Innovation of Aircraft Industry using Lean 6 Sigma based on a Value Stream Map (가치흐름지도(VSM) 기반의 린 6시그마를 활용한 항공산업 프로세스 혁신에 관한 연구)

  • Lee, Jae-Jin;Hwang, In-Keu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049-1052
    • /
    • 2010
  • 생산성 및 품질혁신을 위하여 Lean 6시그마에 대한 다양한 국외 적용사례는 존재하나, 고도의 하이테크 산업이며 품질을 최우선으로 삼는 항공산업에 적용 및 평가에 대한 국내 연구사례는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린 6시그마 기법이나 사상들이 국내 항공산업 프로세스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과연 적합한지 판단하여, 현장적용을 사례로 적용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시공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사례 연구

  • Song, S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07-209
    • /
    • 2014
  • 플로팅 건축물은 현장 시공을 최소화해야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모듈러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한 사례가 적을 뿐만 아니라 모듈러 시스템의 시공과 관련된 가이드라인도 없다. 모듈러 시스템의 적용이 상대적으로 보편화된 국외 가이드라인 사례 연구를 통하여 플로팅 건축에서 모듈러 시스템 시공계획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문헌자료 및 인터넷 자료 등의 검색을 통해 국외 가이드라인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ccident Cases-based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Active Response on Construction Sites (사례분석을 통한 건설현장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 Shin, Jae-Kwon;Shin, Yoo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1
    • /
    • pp.79-86
    • /
    • 2021
  • On the construction site, there exists frequently a high likelihood that a fire accident can lead to a large-scale disaster. In the previous studies, the diverse outcomes have been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relative statutes and tried to realize the suppression and confrontation of the fire accidents.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n the site were identified through prior research reviews, and the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was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ssive accident cases. The checklist was divided into the prevention and minimization steps and developed into 16 categories of total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ases applied in this study, if the installation status is checked, such as removing combustibles, and broadcasting facilities for evacuation are installed, it is expected that the casualties will be minimized or zeroed. By developing a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this study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the theoretical and realistic fire accident prevention, and supports the ways to minimize the damage resulted from the fire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In the further, deriving universe and common items about repeated occurrences of a work type will be needed as a subsequent research.

Case study method to prevent liquefaction in the Sand (모래지반에서 액상화 방지공법 사례연구)

  • Kim, Joon-Seok;Yoon, Byou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3-194
    • /
    • 2016
  • 지진 발생시에 비교적 큰 규모의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 지반의 액상화(liquefaction) 발생이다. 지반의 액상화 현상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얻어왔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에서 액상화 평가 및 대책공법 적용까지의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유사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Plan of Flooding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by Site Type of Excavation Work (굴착공사현장 수재해 예방을 위한 침수 예·경보 시스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Wang, Jeong Ah;Park, Jong Pyo;Lee, Woo Ji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9-379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돌발 홍수 및 태풍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고, 이에 따른 수재해 피해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설 현장 중 굴착공사 현장에서의 침수로 인한 사고는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굴착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침수 대응 예측 시스템 및 구체적인 침수 예경보 체계, 기준, 매뉴얼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착공사현장의 수재해 예방을 위한 침수 예·경보 시스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공사현장 규모에 따라 적용하는 침수 예·경보 시스템을 이분화하여 소규모 공사현장에는 Track A, 대규모 공사현장에는 Track B 침수 예·경보 시스템을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소규모 공사현장의 특성상 전체 공사비가 작고 운영되는 장비와 인력이 제한적이므로 침수 예·경보에 필요한 비용과 인력 투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대피가 필요한 전체 인원이 대규모 현장에 비해서는 적기 때문에 비교적 신속하고 원활한 대피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스템별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예·경보 기준을 제시하였다. Track A에서는 강우법에 의한 최소한의 경보시스템으로 필요한 안전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Track B에서는 현장인원 대부분이 성인 남성임을 고려하여, 성인 남성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수심(H)과 유속(V)의 곱을 척도로 하는 한계 H·V곡선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경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A Research on the Reduction Plan of Falling Accidents in Small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 Choi,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35-2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떨어짐 재해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여 전체 건설현장의 재해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하인리히 법칙, 버드의 도미노 이론과 하베이 3E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떨어짐 재해발생원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근로자의 안전·보건의식이 부족하다. 둘째,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이 미비한 현장이대다수이다. 셋째, 위험성평가 제도의 현장 적용이 난이하다. 또한,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2015년~2016년 OO지역의 떨어짐 재해가 발생한 공사금액 20억원 미만 약 15개소 소규모 건설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 소장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발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근로자 교육,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을 지원해주는 정부지원 그리고 위험성평가 간소화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