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상학적 공간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Qualitative Study on Marriage Migrant Women's Experiences in the World of Life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 Lee, Hyoung-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
    • /
    • pp.269-27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pture how marriage migrant women, who are burdened with the luggage of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past,' reconstruct their own 'experiences in reality' as subjective agents after their immigration into a new space. By apply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world of life in which marriage migrant women come to have experiences in the dimensions of bodilihood, spatiality, temporality, and related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rriage migrant women never think of their bodiliness as the subject of discrimination though they have some differences in skin colors and cultural aspects, and make efforts to overcome prejudices in reality withtheir pride of body. As for the spatiality, marriage migrant women attempts at a spatial turn in which they reconstruct a novel sociocultural space. With respect to the temporality, marriage migrant women recognize themselves not as passive subjects who only resent reality but as being prepared for future actively. As for the relatedness, marriage migrant women show life in which they pioneer their own areas on the basis of extended personal relations.

Life Experi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 with Atopic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여대생의 생활 체험)

  • Oh, Y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9
    • /
    • pp.342-350
    • /
    • 2015
  •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meaning and nature of life world o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Van Manen was used.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in two months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s. A total of nine women with atopic dermatiti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Essential themes that fit into the context of the four existential grounds of body, other people, space and time were: rage against the body, the conflict with symptoms, unacceptable life, continued effort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deep understanding of female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who are relatively alienated from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health professionals could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these women.

Optimization of spatial zoning for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소나무의 공간분포 특성분석을 위한 공간구획의 최적화)

  • Kim, Tae-Min;Lee, Woo-Kyun;Jung, Sung-Eun;Kwak, Ha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45-452
    • /
    • 2008
  • 생태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인자로 방위, 경사, 고도 와 같은 지형인자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생태현상의 파악 및 예측을 위해서는 이들 지형인자의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지형인자 분석에 앞서 이용자료의 격자크기를 결정해야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나무 공간분포와 출현패턴을 생태학적으로 잘 설명하기 위한 DEM의 최적 격자크기를 제안하고, 궁극적으로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최적의 공간구획방법을 찾고자하였다. 그 결과, 200m의 격자크기를 갖는 DEM은 주능선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또는 동, 남으로만 구분한 반면, 1m 격자크기의 DEM은 작은 주능선들에 의해 방위를 동, 서, 남, 북으로 구분하였다. 소나무는 일정규모 이하의 격자크기에서 모든 방위에 나타났지만, 격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북쪽과 남쪽 사면에서의 출현빈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200m 격자크기에서의 빈도분석은 육안분석에서처럼 소나무가 주로 서쪽과 동쪽 사면에 출현한다는 것을 보였다.

  • PDF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Urbanization on the Watershed Streamflow (유량에 미치는 도시화 영향 평가)

  • Jung, Younghun;Moon, Jongpil;Lee, Seung Oh;Park, Youn 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6 no.1
    • /
    • pp.51-59
    • /
    • 2014
  • 도시화는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수문학적 변화를 초래하며 또한 지하수량의 감소와 지표유출의 증가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유량을 기본으로 한 토지이용 변화 현상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이고 공간적으로 다른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RCSWAT의 SWAT2005 버전을 이용하여 갑천 유역을 일유량으로 모의 하였다. 모형의 검보정 후, 1997년부터 2001년 일유량으로 모의된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고, 모의된 유량은 Mann-Whiteny method로 테스트 하였다. 도시 면적이 28 % 차이가 있는 경우 SWAT의 유량 모의 결과는 5 % 유의수준에서 도시화의 영향이 모의된 유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화의 공간적 변화는 5 % 유의수준에서 유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pplicability Evaluation of Spatial Rainfall Generator (공간강우발생모형의 국내 적용성 평가)

  • Lee, Jeong Eun;Kim, Chul Gyum;Kim, Nam Won;Kim, Hye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2-342
    • /
    • 2019
  • 수자원 분야에서 장기적인 수문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장기유출모형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수문모형의 가장 주요한 기상입력자료는 강수량이며, 일단위의 시간스케일을 요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장기적인 기후 시나리오 기반의 강수자료 생성을 위해 추계학적 기상모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유역단위의 수문모형 적용을 위해 강우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기상모의모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강우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을 고려하여 발생된 강우자료는 합리적인 유출해석을 위한 유역수문모형에서의 주요한 고려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강우의 분포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Agricultural Policy/Environmental eXtender(APEX) 모형 내에 개발된 Spatial Rainfall Generator(SRGEN)를 중심으로, 충주댐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국내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Multi-Muskingum for Improving Applicability of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분포형 수문모형 적용성 개선을 위한 Multi-Muskingum 적용)

  • Cho, Hyungon;Choi, Kyuhyun;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7-407
    • /
    • 2017
  • 홍수 예측을 위한 분포형 수문모형의 유출해석에서 하도추적은 수리학적 하도 추적과 수문학적 하도 추적 방법이 있다. 수리학적 하도 추적은 운동파 방정식, 확산파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수리현상을 시간과 공간으로 편미분하여 홍수량 예측을 한다. 수리적 하도 추적은 시간적, 공간적 안정조건(stability condition)을 만족해야된다. 면적이 큰 유역에서 적용할 때에는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다. 그러므로 국지호우로 인한 돌방홍수 예 경보를 위해서는 준실시간 또는 실시간 홍수 감시 및 예측이 필요하므로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큰 수리학적 하도추적을 이용한 홍수 예측은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이 큰 유역의 준실시간 홍수 감시 및 예측을 위하여 수문학적 하도추적 기법은 하천차수별 저류상수를 적용한 multi-Muskingum방법을 개발하여 모의하였다. multi-Muskingum 적용한 결과 모의시간이 상당히 단축되었으며 자료동화 기법을 통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 PDF

백룡굴의 성인과 2차생성물에 관한 동굴지형학적 고찰

  • 서무송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3
    • /
    • pp.1-6
    • /
    • 1978
  • 20세기 과학문명은 지구표면에 인적말답의 지역을 거의 없게 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뜻있는 탐험대상으로서 우리들의 흥미와 학구열을 자극하는 공간이 남아있으니, 그것이 바로 해저지형과 지하에 비장된 동굴현상인 것이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Phenomenological Centrality shown in Spatial Organiz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since 1960s (현대건축의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현상학적 중심성에 관한 연구)

  • Suh, Jeong-Yeo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5 no.2 s.55
    • /
    • pp.56-64
    • /
    • 2006
  • From ancient times to today the formation of centrality in architecture has taken very important role as an organizing device. However after 19th century modem architecture focused on the universal aspect and homogeneity of space, and developed its own vocabulary through de-centralization. Since 1960's the reflections on de-humanized space of modem space have been evloved. As those movement has been understood seriously, the centrality can be changed to phenomenological one. And The phenomenological centrality maintains organic balance with its surroundings not trying to form a hierarchic system. So it shows human-oriented tendency and facilitates experiential movements of human body. And it also gives a sense of being. The phenomenological centrality is comprised of center, boundary, and two types of axis.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centrality can be analyzed as practical and meaningful center, visible boundary, experiential movement, and unexpectable encounters with spaces and nature.

무절석회조로부터 해조류의 포자 부착 및 발아 억제 물질 탐색

  • 김미정;홍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97-198
    • /
    • 2001
  • 일반적으로 해조류가 번무하고 있던 암초지대에서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해조류가 고사ㆍ소멸하고, 그 공간을 석회조류로 불리는 여러 종류의 산호말류 (coralline algae)이 점유하여 암반이 백색 또는 황색, 분홍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백화현상’ 이 라고 한다. 현재 추측되는 백화현상의 원인으로는 해양생태계 내에서의 환경변화 -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증가, 지구 온난화에 의한 수온상승, 그리고 연안역의 오염 -와 군집의 동태와 생물학적 작용-엽상형 해조류와 무절석회조류간의 경쟁과 성게를 포함한 초식동물의 초식작용, 질소, 인등의 결핍이 불러오는 빈(貧)영양화 - 에 의해 일어난다고 추측된다 (analysis.cheju.ac.kr.). (중략)

  • PDF

A Geomorpholog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한국의 하계 동결현상 분포지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 Jeon, Young-Gw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1
    • /
    • pp.97-106
    • /
    • 2001
  • There are a few interesting areas which show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three of them are especially important. They are located at Milyang(Gyungnam province), Uisung and Chungsong(Gyungbook province). They are named Eoleumgol(ice-valley) or Binghyul(ice-c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about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in relation to previous works, which have been studied in hydrological or micro-climatological viewpoint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in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1) Thick debris accumulated slope within deep valley (2) North facing slope (3) The component debris of volcanic rock such as andesite or rhyolite 2) The ice-cave as a system that give rise to freezing phenomenon in summer season is closely related to talus slope. The ice-cave has thick accumulated debris and lots of vacant spaces within the rock deposits, some of vacant spaces are very big and connected with underground water system. 3) A partly freezing within underground water system is required freezing phenomenon in summer season.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two ideas are suggested; one is the evaporation theory, another is that the frozen condition in winter remains untill late summ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