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현관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한옥표준설계도의 평면도 공간배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Arrangement in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9-586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한옥표준설계도 4개 타입 32개 종류의 평면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표는 한옥표준설계도의 타입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한옥을 설계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옥표준설계도에 현대주택에서 사용하는 현관과 같은 건축구성요소를 포함시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다. 2. 농촌의 다양한 대지조건에도 불구하고 한옥표준설계도에서도 거실과 현관을 남쪽으로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추후 확장을 위한 여분의 공간도 있었다. 3.침실개수는 2개 또는 3개가 가장 많았고 이에 침실의 개수 추가 및 농촌의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공간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공간구문론과 감마맵을 이용한 공간깊이 분석에서 안방의 공간 깊이는 툇마루에서 진입하는 동선보다 현관에서 진입하는 동선이 공간의 깊이가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안방의 공간 깊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되는 만큼 충분한 공간깊이로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음.사생활 침해.보안 문제 해결로 1층의 프리미엄이 오른다

  • 김소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1호
    • /
    • pp.80-83
    • /
    • 2007
  • 아파트 1층이 변하고 있다. 최근엔 아파트 지하층에 공동 현관을 마련하거나 1층을 필로티로 설계해 세대원이 소음과 사생활 침해를 받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 1층을 복층형으로 꾸미는 등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공간 연출을 선보이고 있는 분양 아파트를 살펴보았다.

  • PDF

특집 : 미세혈관 합병증 - 머리부터 발끝까지 곳곳에 분포 현관이 하는 일 아나요?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월간당뇨
    • /
    • 통권259호
    • /
    • pp.12-13
    • /
    • 2011
  • 혈관은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관으로 인체의 모든 장기는 혈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다. 그러므로 혈관 내에 찌꺼기가 쌓이고 두꺼워지면 심근경색, 뇌졸중, 혈류장애 등과 같은 혈관질환 발병률을 높이고 최악에는 사망으로 이어진다. 통계청의 자료에 의하면 작년 한 해 뇌혈관질환이 사망률 2위, 심장질환이 3위를 차지하면서 한국인의 사망원인 대다수가 혈관질환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osition Recognition System by Wireless Communication)

  • 손종훈;황기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77-148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ZigBee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위치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관련 H/W와 S/W를 개발하였다. 위치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스마트 태그(위치단말기), 수신기, 중계기를 개발하였고, 스마트 태그에는 120~130KHz, 13~14MHz, 2.0~3.0GHz의 무선주파수용 태그를 내장하였으며, 수신기 및 중계기는 태그 인식용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위치단말기의 액티브 RFID 태그를 인식하는 태그 모듈을 적용하였다. 공동현관 관제기는 스마트 태그를 공동현관 관제기에 가져가면 LAN을 통해 출입통제 서버로 태그 값을 전송하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세종조 회례연시 관모 재현 - 진현관, 피변, 부용관을 중심으로 - (Reproduction of Kwanmo worn during the Hoeryeyeon(會禮宴) Performances in the reign of King Sejong - Focusing on Jinhyunkwan, Pybyun, Buyongkwan -)

  • 조우현;조현진
    • 복식
    • /
    • 제64권6호
    • /
    • pp.65-77
    • /
    • 2014
  • This paper is on the reproduction of kwanmo, which is worn by the dancers in Taepyeongjiak at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focusing on Jinhyunkwan, Pybyun, Buyongkwan. Taepyeongjiak is a performance of the court banquet called Hoeryeyeon held during the 15th year of Sejong'reign(1433). The Hoeryeyeon performances were held on January 1st and December 22nd, to strengthen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s officials. The reproduction of kwanmo worn by the dancers was reproduced for the modern performance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and relic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Jinhyunkwan is the kwanmo that is associated with the literature and it comes from an old Chipokwan, is confirm that liang(梁) of Chipokwan's characteristic vanished. Pybyun is kwanmo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military, comes from Jeolpung. The incision line was formed to make the corn shape, and this became the liang(梁). Buyongkwan is corolla adorned with lotus, and is highlighted with colored string of beads. Unlike other corollas, its gilt lotus was adorned with purple-yellow braids.

아파트 내부에 나타난 한국전통 실내 공간의 특성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and major elements in contemporary apartment)

  • 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72-8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공간에 남아 있는 한국의 전통 실내공간 및 구성 요소를 조사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52가구의 아파트를 선정하여 방문에 의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배치 및 구성은 현관-거실 및 식당-방-안방의 서양적 평면보다 현관-방-거실 및 식당-안방의 한국전통공간에서 기인한 평면이 선호되었다. 둘째, 공간의 특성은 한국 전통공간의 여러 특성 중 거실-방, 거실-식당, 식당-부엌 사이의 공간 디자인에서 개방성과 폐쇄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난방의 종류는 전체 라지에타 방식에서 전체 바닥 난방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공간구성 요 소 중에서 바닥은 온돌마루와 장판이, 벽은 벽지가, 천장은 방에는 평 천장, 거실에는 가운데가 매립된 천장이 선호되었고, 창문은 특히 안방의 경우 전통적 창살 문양을 선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