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혁신기술

Search Result 7,63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기업규모, 네트워크, 그리고 기술혁신 :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실증적 연구

  • Seong, Tae-Gyeong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22-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발표한 KIS(Korean Innovation Survey) 200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혁신활동에 있어서 기업규모와 네트워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술혁신활동을 제품혁신, 제품개선, 그리고 공정혁신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술혁신활동의 결정요인으로 이윤율, 수출비율, 해외지분, 기업연령, 시장집중도, R&D활동 착수여부, 그리고 산업별 R&D집약도 등이 추가로 고려되었다. 분석된 표본은 제조업에 속한 1,124개 기업으로 정성적 분석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은 혁신유형에 따라서 다르게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기업규모와 기술혁신활동에 관한 슘페터 가설은 제품혁신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품개선 및 공정혁신에 대해서는 성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측한 대로 소기업과 대기업간 기술혁신활동의 결정요인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차이는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에서 현격하게 나타났다. 셋째, 기업규모 및 혁신유형에 관계없이 외부적 네트워크는 기술혁신활동에 대해 정(正)(+)의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어, 혁신활동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다. 그러나 협력대상별 네트워크효과는 기업규모와 혁신유형에 따라서 많은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 PDF

The Impact of Non-technological Innovation on the Performance of Product Innovation (비기술적 혁신이 제품혁신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Mun, Sung-Ba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1
    • /
    • pp.331-353
    • /
    • 2018
  • Using data from 2008 and 2010 Korean Innovation Survey, this study estimates the impacts of non-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study estimates the effects of the two types of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The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both organizational and marketing innov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uccess of innovative products. In particular, non-technological innov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the share of sales with market novelties. Among individual practices in organizational innovation, only the introduction of new business practices contributes positively to the sales of innovative products. In case of marketing innovation, new marketing methods in product design, product promotion and pricing increase the share of sales from new products.

A Study on Technology Innovation For Small Medium Enterprises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활성화 방안 연구)

  • Kim, Sek-Gooen;Lim, Sang-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912-91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중소기업 기술혁신에 대한 각각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술혁신에 대한 국내연구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기존연구를 살펴 보고 기술혁신 현황, 국내 기술혁신 제도,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기술개발관련 문제점에 대하여 살 펴 보았고 기술혁신 단계별 지원방안, 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방안을 수립하고, 기술혁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정립하여 정부의 정책 적 측면과 중소기업의 경영적 측면의 제언을 마련 함.

  • PDF

국가간에 기술혁신수검속도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 권성혁;조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184-198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볼 때, 중요한 국가 간에 기술혁신의 수렴존재와 기술혁신의 수렴기간에 관한 실증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형적인 기술혁신의 확산을 가정한 결과로 볼 때, 분석대상국가간에 분석대산 국가 간에 기술혁신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둘째, 보다 직접적인 기술혁신존재 및 확산기간을 측정한 결과 선형을 가정한 AR(1)모형에서 추정한 계수 값이 일본과 한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상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모수적 추정과 선형의 경우가 비모수적 추정과 비선형의 경우보다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특히 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선형을 가정하는 경우에는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비선형인 경우에는 수렴현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기간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기술혁신에 따른 수렴기간보다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혁신확산 및 수렴기간이 장기적인 경우 선형적인 기술혁신존재검증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구결과 정책적 시사점은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에 기술혁신수준이 중국이 쉽게 모방할 수 있는 정도로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의 기술혁신 모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기술혁신의 주기가 짧으면서 자주 일어나야한다.

  • PDF

Innovation Patterns of Advanced Materials Technology Considering the Demand Factors (수요 요인을 고려한 첨단재료기술의 혁신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 Chae Jae-Woo;Cho Kyu-Kab;Kim Jeong-Hum;Lee Yong-Tai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1
    • /
    • pp.103-130
    • /
    • 2006
  • This paper is to categorize the innovation patterns of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Many existing taxonomies of innovation pattern consider the whole of industries and the system sector rather than a specific sector. On the ba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materials sector and user sectors, this paper suggests four innovation patterns, push-type material innovation, needs-type materials innovation, push-type process innovation and needs-type process innovation. This categorization of innovation pattern not only provides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materials technology innovation processes but also has many useful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Suggestions for policymakers of the materials technology are presented.

  • PDF

부품.소재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개방형 혁신 중개서비스 모형 개발

  • Lee, Cheol-Won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155-155
    • /
    • 2009
  •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은 조직 내부에 국한되어 있던 기술개발 활동을 기업 외부까지 확장하여 외부 기술지식과 내부 기술력을 함께 활용하는 혁신성과 극대화 전략을 의미한다. 개방형 혁신은 기술개발의 성공률이 높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이에 근거한 기술중개서비스 전문기업들이 글로벌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나인시그마(NineSigma) 및 이노센티브(InnoCentive)이다. 그러나, 그러나 현재까지 이들 기업은 매출액 및 R&D 투자가 일정규모 이상인 글로벌 대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을 수혜자로 한 개방형 혁신 서비스는 충분히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부품 소재 중소기업을 주요 수요자로 한 개방형 혁신 기술중개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 부품 소재산업의 경쟁력 제고의 핵심 관건은 부품소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강화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의 장점을 부품소재 중소기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필요조건을 조사하고, 그에 근거하여 개방형 혁신 중개서비스 모델에 포함된 다양한 혁신주체들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내용을 구조화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방형 기술혁신체제의 정의와 동향 검토 (2) 국내외 개방형 기술혁신의 사례 조사 (3) 부품 소재기업 대상의 개방형 기술혁신체제 도입 필요성 타당성 검토 (4) 부품 소재산업 개방형 기술혁신 모델 개발 (5) 국내 부품 소재산업 발전을 위한 개방형 기술혁신 활성화 정책과제 검토

  • PD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Its Relationship to Performance (기술혁신지향성: 개념화, 측정 및 성과와의 관계)

  • Moon, Chang-H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1 no.2
    • /
    • pp.255-283
    • /
    • 2013
  • Despite it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value,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has not been theoretically well established and thus has not been operationalized appropriately in previous studies. Given such a gap in prior research regar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this study proposed a refined conceptualiz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a new measurement instrument for capturing the refined concep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ized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s having two components of proclivity to technological leadership and opennes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eveloped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operationalizing the two-dimensional concep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Based on the proposed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Based on a sample of 97 Korean IT SMEs, the results demonstrated a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to operationalize the two-dimensional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posi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 PDF

Technological Regime, Knowledge Spillover and Innovation (산업의 기술체제 특성이 지식전파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Hong, Jang-Py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8 no.2
    • /
    • pp.147-174
    • /
    • 2010
  • This paper aims to analysis sectoral innovation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Sectoral innovation system approach proposed that the specific pattern of innovative activity and knowledge spillover in an industry can be explained as the outcome of different technological regimes. Technological regime is defined by the particular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opportunities, appropriability of innovations, cumulativeness of technical advances and properties of the knowledge base. Based on a sample of 2,882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stimat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Results of the analysis provide considerable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are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underlying technological regime. In the industry based on the tacit and specific knowledge, firm's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ocalized knowledge spillover. This paper also shows that high stability in the ranking of innovators are related to high degrees of cumulativeness and appropriability.

  • PDF

A Study on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Firm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formance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혁신저항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ugyeong;Lee, Seolb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5
    • /
    • pp.89-99
    • /
    • 2017
  • Althoug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have depended on corporate, organizational and personal capabilities and activities, innovation resistance to practice was not active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intended to the effects of corporate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activities on intra-organizational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formance by compensating the limit of previous studi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293 domestic IT and BT companies. First,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adopting hypothesis 1. Seco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had no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rejecting hypothesis 2. Third,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dopting hypothesis 3. Fourth,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was positiv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dopting hypothesis 4. Fifth,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was not positiv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rejecting hypothesis 5. Overall, the higher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Consequently,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can improve or reduce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resistance.

  • PDF

Trend Analysis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ontext in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한국 기술혁신 논의의 변화 양상 분석)

  • Lee, Juyoung;Jung, Hy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91-608
    • /
    • 2017
  • 이 연구는 한국의 산업발전 과정에서 '기술혁신'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며 사용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의 기관지인 "과학과 기술" 기사에서 등장한 '기술혁신'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과학과 기술"은 1968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발간되었으며, 과학기술인 뿐만 아니라 정부부처 관계자 및 과학 분야 기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 과학기술사회 전반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1968년 이후 "과학과 기술"에 실린 기사들 중 제목에 '기술혁신' 키워드가 포함된 모든 기사의 전문을 분석 대상으로 출판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세 구간으로 나누어 '기술혁신'과 동시출현하는 키워드들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혁신 개념은 1970년대와 크게 다를 바 없이 지금까지도 여전히 국가 주도의 산업 발전을 위한 요소로 이해되고 있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업, 생산에 국한되어 있던 기술혁신 개념은 1980년대를 거치며 다양한 연구개발 분야 및 이해관계자들을 이어주는 키워드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한국 기술혁신 논의의 변화 양상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기술혁신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