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헬스케어 디자인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자살예방을 위한 주거환경 계획요소 및 실태 분석 -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Design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 for Suicide Prevention and Empirical Analysis - Focused on Public Rental Housing)

  • 이승지;이은진;노태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51-6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at affect suicide, and then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affect suicide suggested in a total of 18 papers, 15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housing type,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and living environment. Next, we selected a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with a relatively high suicide rate among multi-family housing as the case, and conducted a empirical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and apart from the quantitative satisfaction of the rest, various problems were exposed,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users according to ag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in terms of the actual use of residents including suicide attempters.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design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uicide preven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olve the exclusion phenomenon that appears in space and programs. Third, when planning a space for suicide preventio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high-risk groups should be reflected.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물리적 인프라의 서비스 취약요소 및 취약지역 진단 연구 - 마포구를 대상으로 (Underserved Elements and Regions of Physical Infrastructure for the Community Care - Case Study of Mapogu)

  • 김현주;이승지;이은진;전수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39-48
    • /
    • 2021
  • Purpose: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regional diagnosis methods and results combined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to expand the physical infrastructure related to community care services. To this end, the physical infrastructure for the core elements of community care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fulfilment and access of facilities to derive the underserved elements and regions. Methods: Utilizes GIS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at can derive physical infrastructure service areas. Underserved elements a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rvice area for each core element. Next, the underserved regions for each core element are derived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 set service area and the diagnosis population. Results: Among the physical infrastructure by core elements for community care, the housing support element was considerably weak, and the nursing care facility compared to health care was also analyzed to be weak. In addition, underserved regions by dong in Mapo-gu were deduced and presented for each diagnosed population. Implications: The discovery of underserved elements and underserved regions is meaningful as a diagnostic process that can derive the physical infrastructure that needs to be expanded urgently for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and determine the priority projects and targets of the projects.

정신의료시설 내 외래부 및 건강검진센터의 환경디자인 개선 사례 및 시사점 연구 - 국립정신건강센터 건강증진과를 대상으로 (A Case Study and Implications on Improvements in Environmental Design of Outpatient Department and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Mental Health Hospital - For Health Promotion Department of National Mental Health Center)

  • 노태린;이승지;서수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7-2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a case study in which the space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design direction derived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and service design process to the outpatient department and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mental health facilities used by various stakeholders. And it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through thi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ervice design process with a focus on literature review. Results: As a result of deriving the design direction, it was organized into 1) improvement of spatial arrangement, 2) improvement of wayfinding system, and 3) creation of comfortable environment. The design improvement plan suggested division of areas, change of nurse station location, creation of a pleasant waiting space for the outpatient department, reinforcement of access, improvement of room relocation and flow, and increased comfort of common spaces for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and application of spatial planning and environmental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environments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Second, in the medical environment, the divided territoriality should be reviewed for various stakeholders as well as the coexistenc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medical servic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the service design process.

PSS 기반 4D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한 시니어를 위한 비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Bidet Product-Service Design for Seniors by PSS-based 4D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Model)

  • 서홍석
    • 감성과학
    • /
    • 제25권1호
    • /
    • pp.29-4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데를 아이템으로 선정해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하였다. 최근 초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나 시니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시니어를 위한 PSS 개념의 서비스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4D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활용하여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를 반영한 '시니어 중심의 비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PSS 개념에 기반하여 '4단계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시니어 대상 질적 리서치를 수행하여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에 따른 사용자 가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품서비스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실무 전문가 그룹의 유용성 리뷰를 반영한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용자 맞춤 기능 설정 가이드 스마트 앱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비데와 스마트 폰이 연동되어 사용자 특성 정보와 비데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해석하여 맞춤 기능을 가이드해주는 앱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둘째,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조작부 및 리모컨 UI를 제안하였다. 시니어의 사용성 및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주 기능 중심의 구성과 과업(Task) 순서에 따른 버튼 배치, 터치 화면형 리모컨 등 단순하고 직관적인 Physical UI를 제안하였다. 셋째, 정기적인 제품 점검뿐만 아니라 사용자 건강 및 사용 공간의 위생, 청결 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과 헬스/위생 케어가 연계된 비데 케어서비스'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자(시니어)의 비데 제품 사용 과정(사용 전-중-후)에서의 페인포인트(Pain Point) 및 요구를 발견하고 개선하여 사용자 경험과 관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환자중심 스마트병원의 개요와 전망 (Overview and Prospects of Patient Centered-Smart Hospitals)

  • 박현영;조용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419-426
    • /
    • 2021
  •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병원은 헬스케어 산업에서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스마트병원의 개념, 주요 기술, 적용분야, 직면과제 및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병원 구축 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스마트병원에서는 상호연결된 디지털 네트워크 안에서 임상가들이 환자중심의 통합적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나은 환자결과에 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향후 보다 성공적인 환자중심 스마트병원을 위해서는 비용이나 기술, 보안, 표준 등과 관련된 여러 장애요소들이 극복되어야 하며, 디지털 솔루션의 최종 사용자인 환자와 의료인의 참여가 요구된다.

병원 게시물 개선을 통한 병원 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 - 실태 분석 및 환자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How to Improve Hospital Satisfaction through Improvement of Hospital Bulletins - Through case study and patient satisfaction survey)

  • 이승지;권영미;전수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49-5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way to improve hospital satisfaction through improvement of hospital bulleti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hospital bulletins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patients. Methods: First, a case study is conducted. After setting the analysis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ase study, a satisfaction survey is conducted on pati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legibility, visibility, effectiveness, and frequency.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analysi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our factors affecting hospital satisfaction, the importance of the "legibility" facto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frequency", "effectiveness", and "visibility".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the bulletins in the study site, the "visibility" facto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legibility", "effectiveness", and "frequency". Implications: In order to improve hospital satisfaction, the improvement of factors of high importance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other words, in hospital bulletins, legibility and frequency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addition, hospital satisfaction can be maximized by improving the level of factors and variables that are low in the satisfaction survey by factor.

유비 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ATAM 기반 디자인 (ATAM-Based Design of Software Architecture for Ubiquitous Healthcare)

  • ;진소영;;최호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B)
    • /
    • pp.177-180
    • /
    • 2011
  • Software Architecture for any given software system is its skeletal framework. That is to say that if this framework does not properly support the system then it would cause more harm than good. Accordingly it is our opinion that choosing the right architecture to realize this framework is a crucial part in creating a successful system. This report discusses a comparative method which utilizes the steps in ATAM to realize architectural decisions and more importantly aide in architectural selection that promotes system success.

가상현실을 적용한 가상의 트레이너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Virtual Trainer Contents with Virtual Reality)

  • 정아름;전정연;김태형;이미림;장홍준;차은지;방윤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3-554
    • /
    • 2014
  • 경제수준의 향상과 삶의 질의 향상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의 건강 및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런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여 바쁜 현대인들을 위한 게임 기반 및 스마트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상현실을 통한 현실세계와 유산한 운동효과를 추구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세계의 현실과 같은 몰입감에 주목하고, 아이큐브(I-cube)를 활용하여 가상현실을 구축한 다음 가상의 트레이너를 통해서 원하는 운동효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운동 및 자극 부위, 지도 효율성의 정보 등을 제공하여, 운동효과와 정보를 한눈에 봄과 동시에 운동에 대한 올바른 자세를 가상현실을 이용해 직접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스마트폰 vs 웨어러블, 실제 걸음 수 산출을 위한 보정계수의 발견 - 두 기기의 In-situ 활용 행태 비교를 바탕으로 - (Smartphone vs Wearable, Finding the Correction Factor for the Actual Step Count - Based on the In-situ User Behavior of the Two Devices -)

  • 한상규;김유정;안아주;허은영;김정훈;이중식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123-135
    • /
    • 2017
  • 최근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걸음 수를 활용한 건강 관리가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액티비티 트래커를 통해 더 정확하고 간편하게 걸음 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액티비티 트래커가 대중화 되지 못하고 스마트폰의 페도미터 센서를 대체 활용하는 추세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실제 걸음 수 대비 스마트폰이 수집한 걸음 수가 실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어떤 요인이 차이를 만드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명을 대상으로 7일간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시 활용한 걸음 수를 수집 하는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웨어러블 대비, 스마트폰이 평균 62%의 걸음 수를 측정하는 것과 사용자별 편차가 큰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휴대 자각 정도가 높을수록 스마트폰의 측정 정확도가 높아지는 회귀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단독으로 걸음 수를 활용하는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실제 걸음 수와의 차이를 보정하는 계수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체계적인 사용자 참여형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스마트 텍스트로닉스 제품 개발 프로세스 (Smart-textronics Product Development Process by Systematic Participatory Design Method)

  • 임수연;이상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3-170
    • /
    • 2021
  • 기능성 섬유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텍스트로닉스가 최근 스마트 의류, 스마트 홈, 스마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참여형 디자인 방법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텍스트로닉스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프로세스는 심층 인터뷰와 분석의 두가지 단계로 구성되며 심층 인터뷰 단계에서는 참여자가 사용행위, 행위별 요구조건, 만족도 수준 등을 포함한 사용자 여정맵과 스케치 및 간단한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한 아이디어 생성 활동을 수행한다. 이 후 분석 단계에서는 디자인 연구자가 심층 인터뷰 단계로부터 도출된 결과에 행동 패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핵심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페르소나를 생성하고 각 페르소나의 주요 니즈를 E3 가치 체계의 가치요소와 연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텍스트로닉스 시장 파악하였으며, 제안된 방법론에 대한 검증을 위해 스마트 홈 분야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갖는 소파의 디자인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