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헤파린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1초

헤파린이 수근관 증후 군 환자의 횡수근 인대에서 추출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MMP 및 TGF-β 동위형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parin on Gene Expression of Collagen, MMP, TGF-β Isoforms Using Cultured Fibroblast from Transverse Carpal Liga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 정성호;나민화;이재선;송상훈;윤을식;동은상;김한중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427-432
    • /
    • 2006
  • Purpose: Noninflammatory synovial fibrosis has been noted for main causal factor of carpal tunnel syndrome (CTS). Recently, there are some reports that heparin have not only anti-coagulative effect but also anti-inflammatory and anti-fibrotic potential and have an effect on interstitial pulmonary fiborosis. Authors examined whether heparin affects pathogenesis of CTS. Methods: First, heparin was administered to fibroblast that was cultured from patient's transverse carpal ligament. Secondly, we evaluated the expression from genes of type I, III collagen, TGF ${\beta}$ isoforms and MMP. Fibroblasts were isolated and cultured from transverse carpal ligaments of 5 patients with CTS. Heparin (0, 1, 10,$100{\mu}g/ml$) was administered to cultured fibroblast and reverse transcription PCR for mRNA expression of type I, III collagen, TGF-${\beta}$ isoforms and MMP was done. Results: Heparin suppressed gene expression of type I, III collagen and TGF-${\beta}1$, ${\beta}3$ but promoted gene expression of TGF-${\beta}2$ and MMP-2. Conclusion: Heparin directly suppress gene expression of type I, III collagen. But, It is undetermined that heparin can present it's effect mediated by TGF ${\beta}$ isoforms or MMP.

대상포진에 합병된 심부정맥혈전증 1예 (Herpes zoster complicated by deep vein thrombosis: a case report)

  • 최우연;조영국;마재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5호
    • /
    • pp.607-610
    • /
    • 2009
  • 수두 바이러스는 두 가지 임상 증후군을 유발하는 데, 초회 감염되면 수두를, 지각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재발하면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수두백신이 널리 이용되면서 수두 이후의 대상포진 뿐만 아니라 수두백신 접종 후 발생한 대상포진도 관찰되고 있다. 수두바이러스에 의한 합병증으로는 2차 세균감염에 의한 농가진, 연조직염 등의 피부감염이 가장 흔하며 이외에도 호흡기계와 신경계의 합병증이 잘 알려져 있다. 또 수두 바이러스 감염 후의 합병증으로 심부정맥혈전증이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주로 혈관벽의 손상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며 하지 정맥을 침범한다. 수두 감염된 심부정맥혈전증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합병증을 의심하고 조기 진단하여 항응고치료를 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에 저자들은 수두 백신만 1회 접종한 환아에서 심부정맥혈전증을 동반한 대상포진이 발생하여 acyclovir 정맥주사와 저분자량 헤파린 피하주사로 회복되어 보고한다.

건강한 영아에서 발생한 폐혈전색전증 1례 (A case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a healthy infant)

  • 최우연;최영석;오수민;조영국;마재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1030-1033
    • /
    • 2007
  • 폐혈전색전증은 혈전에 의해서 폐동맥이 갑자기 막혀 폐동맥 혈류의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1861 Steveson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소아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이나 최근에는 소아 치료 기술의 향상으로 장기 입원 환자가 늘고 중심정맥도관 삽입 기회가 늘어남에 따라 그 발병률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며, 폐혈류 장애정도와 질환의 급성도에 의해 중증도가 결정되어 임상증상만으로 이 질환을 진단하기는 어렵다. 먼저 위험인자가 있는 환아에서 질환을 의심하고 이에 따른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확진되거나 의심되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 소아에서의 치료에 대해서 연구가 부족한 상태로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치료법을 소아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건강한 영아에서 발생한 폐혈전 색전증의 진단이나 치료에 대하여 보고된 바가 없어 저자들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위험요인이 없었던 건강한 환아에서 폐혈전색전증을 진단하고 저분자량 헤파린 치료를 통해 회복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글리코사미노글칸 분해 효소와 핵자기공명을 이용한 오염된 헤파린 시료의 분석 (Analysis of Contaminated Heparins by the Combination of Glycosaminoglycan Degrading Enzyme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 임아랑;박유미;홍정희;이수정;이선희;김영식
    • 생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9-117
    • /
    • 2009
  • We examined the purity of six heparin samples by using heparinase, chondroitinase, $^{1}H-NMR$, and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o obtain high molecular weight contaminants from heparin samples, heparinase I - digested samples were subjected to the exhaustive microcon filtration. The filtration process removed heparin-derived di- and oligosaccharides effectively. By combining chondroitinase ABC treatment and strong anion exchange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 showed all six samples contained chondroitin sulfate as a contaminant ranging from 1.3 to 14.9%. Among them, sample S3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14.9%, which was further analyzed by chondroitinase AC treatment to confirm chondroitin sulfate B (dermatan sulfate). $^{1}H-NMR$ chemical shifts of N-acetyl groups clearly suggested the existence of chondroitin sulfate B (sample S3) and oversulfated chondroitin sulfate (samples S2 and S4) as contaminants. In addition,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useful for qualitative detection on the sample's pur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ols of heparinase I and chondroitinase ABC in combination with NMR spectroscopy would give very useful information for investigation of heparin contaminants such as oversulfated chondroitin sulfate and dermatan sulfate in heparin samples.

헤파린이 쥐의 창상치유에서 MMP-1,2,9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parin on Expression of mRNA of MMP 1,2,9 in Adult Rat Wound)

  • 김한구;홍정수;김세환;이미경;김승홍;김우섭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49-15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heparin, which has been known to induce neovascularization by MMP in the infarcted tissue of the myocardium, had influence on the expression of mRNA of MMP 1,2,9 of the skin wound of rat. Methods: Full depth skin wounds were created on the dorsum of Sprague-Dawley 60 rats. The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eparin($100{\mu}g/ml$ in 20, $300{\mu}g/ml$ in 20). Heparin soaked gelatin sponges in different concentration were inserted into the pocket of experimental rats and the wounds were closed. Normal saline soaked gelatin sponges were used in control rats. Wounds were harvested at 48 and 72 hours after closure. We performed histologic study in H-E stain. RNA was isolated from the harvested tissue and then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 expression of MMP-1,2,9. Results: We observed that inflammatory cell decreased in heparin soaked group and heparin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MP-1,9 mRNA of dorsal wound of rat at 72 hours (p < 0.05).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 that heparin may be used inducing another factor inducing scarless wound healing by increasing MMP.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에서 중재적 치료의 유용성 (The Efficacy of Endovascular Treatment for Deep Vein Thrombosis)

  • 김선희;정성운;김창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66-272
    • /
    • 2010
  • 배경: 심부정맥 혈전증은 폐색전증이나 만성 심부정맥 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기본적인 치료로 항응고요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식적인 항응고요법은 치료 이후 재발과 혈전후 증후군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최근에는 중재적 시술을 이용한 치료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재적 치료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심부정맥 혈전증으로 중재적 시술을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치료 방법, 치료 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이전에 항응고제만으로 치료한 45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중재적 치료의 경우 55.4세, 대조군의 경우 53.7세로 두 군 모두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도관을 이용한 혈전 용해제를 투여한 환자는 총 22명(78.5%)이었고 흡입 혈전제거술을 시행한 환자가 18명(62.0%),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가 25명(86.2%)이었다. 폐색전증의 위험이 있어 하대정맥 내 필터를 삽입한 환자가 15명(51.7%)있었다. 대조군의 경우 저분자량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39명(86.7%), 와파린을 사용할 수 없어 아스피린만으로 치료한 경우가 7명(15.6%),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6명(17.8%) 있었다. 혈전용해제 또는 항응고제 사용 후 출혈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중재적 치료의 경우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전증의 재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전후 증후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고(p-value=0.008) 사망한 경우가 없어 임상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중재적 치료는 고식적 항응고요법과 비교하여 안전하며 빠른 증상 호전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이지만 아직까지 장기적인 유용성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원심성 바이오 펌프를 이용한 혈전 생성의 생체 외 검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itro Test of Thrombogenesis in Centrifugal Biopump)

  • 나명훈;김원곤;김주현;김미형;유재현;임승평;이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863-873
    • /
    • 1999
  • 배경: 혈전 생성은 심혈관계 삽입물이나 순환 보조장치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므로 이러한 장치들의 혈전성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들의 혈전성 연구를 시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생체 외 실험 방식이 개발되어 원심성 순환 펌프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최근 엄밀하게 혈액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방식이 믿을 수 있는 생체 외 실험 방식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 순환 회로를 이용하여 기존에 행해진 연구 방법 상의 공기 접촉에 따른 핼액 응고 기전의 활성화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기 접촉 여부에 따른 혈액 인자의 변화를 관찰하여 확인하고, 또한 회로 내에서 생성된 혈전을 생체 내에서 형성된 혈전과 비교 분석하여 이 모의 순환 회로를 이용한 생체 외 검사가 새로 고안된 심혈관계 장치들의 혈전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동물실험을 대신할 수 있다는 기존의 주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바이오펌프를 이용한 같은 모의 순환 회로 한 쌍을 준비하고 동일 개체에서 얻은 헤파린을 첨가한(1u/$m\ell$) 신선한 혈액을 공기와 접촉시키지 않도록 한 A-회로와 공기와 접촉시킨 B-회로에 충전시켜 실험을 동시에 진행하여 결과를 얻었으며 총 12번 시행하였다. 회로에 충전한 혈액의 activated clotting time(ACT)은 정상의 3~5배였으며 ACT가 정상 범위의 1.5배가되면 실험을 끝냈고, Hematocrit(HCT), 혈소판, 동맥혈가스분석(ABGA), factor Ⅷ, factor \ulcorner, 섬유소원, thromboxane B2(TXB2), free hemoglobin(fHb)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A-회로와 B-회로에서 얻은 각 검사를 평가하고 분석하였으며 생성된 혈전을 생체 내에서 생성된 혈전과 조직 검사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유의도를 판단하였다. 결과: 정상 ACT는 186.9$\pm$20.5초(평균$\pm$표준편차)이었고, 헤파린을 넣은 초기 ACT는 982.2$\pm$165.5초이었으며, 실험시간은 보통 60분에서 180분 사이였다. HCT, fHb, 혈소판, TXB2, factor Ⅷ, factor \ulcorner, 섬유원소의 초기값은 35.5$\pm$3.2%, 12.4$\pm$6.5 mg/dL, 354$\pm$56($\times$103)/$\mu$L, 72.6$\pm$15.1 mg/dL, 29.3$\pm$1.2%, 137.9$\pm$42.1 mg/dL, 그리고 17.7$\pm$9.7%이었다. 공기 접촉에 따른 차이를 보았을 때 ACT(p=0.398), HCT(p=0.988), fHb(p=0.898), 혈소판 (p=0.904), TXB2(p=0.985), factor Ⅷ(p=0.872), factor \ulcorner(p=0.489), 섬유원소(p=0.973)으로 전 예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실험 후 양 군에서 생성된 혈전의 현미경 소견은 B-회로의 혈전에 여러 군데 공기 방울이 관찰되는 것 이외에 A-회로에서 생성된 혈전과 차이가 없었고, 생체에서 생성된 혈전과 비교했을 때 그 양상이 같았다. A-회로와 B-회로에서 생성된 혈전의 총 량은 8.4$\pm$3.7 mL와 9.4$\pm$3.1 mL로 통계상 유의성은 없었다. (p=0.624). 결론: 모의 순환 회로를 이용한 혈전성 평가를 위한 생체 외 실험에 있어서 공기와의 접촉 여부는 혈액 응고 기전의 활성화나 혈전 생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모의 순환 회로에서 형성된 혈전과 문헌에 있는 인체 내에서 형성된 혈전을 비교한 결과 그 형태가 일치하므로 이 모의 순환회로를 이용한 실험이 동물실험을 대신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Dor 술식 후 좌심실 혈전증에서의 항응고제의 역할 (Anticoagulant Therapy for Left Ventricular Thrombosis after Dor Procedure)

  • 백만종;나찬영;오삼세;김웅한;황성욱;이철;장윤희;조원민;김재현;서홍주;강호경;문현수;박영관;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518-522
    • /
    • 2003
  • 심근경색 후 좌심실 혈전증은 빈번하며 색전의 위험성이 있지만, 허혈성 심근증 환자에서 Dor 술식 후 좌심실 혈전증의 발생이나 치료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45세 남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과 Dor 술식 및 좌심실 혈전 제거술 후 좌심실 혈전이 재발하여 정맥내 헤파린 주사 및 경구 쿠마딘을 투여하여 좌심실 혈전의 소실이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를 통해 저자들은 심첨부 심실벽의 이상운동을 가진 좌심실류가 동반된 좌심실 기능부전 환자들에서 Dor 술식 후 항응고제의 투여가 좌심실 혈전 발생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혈관문합시 헤파린의 국소 및 전신 투여가 혈전 형성에 미치는 영향 (EEFFECTS OF TOPICAL AND INTRAVENOUS HEPARIN ON THROMBOSIS OF MICROVASCULAR ANASTOMOSES)

  • 김성열;류승희;박홍주;오희균;유선열;김옥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232-238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opical and intravenous heparin on thrombosis and patency in the microvascular anastomosis of the traumatized veins. Nine white rabbits weighing about 2 kg were used. After exposure of both femoral veins, the veins were crushed by the jaws of smooth needle holder in order to create a thrombosis model. Transectional incision was made in the vein. The animals were then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 administration method of heparin: 1) Experimental Group I, topical irrigation of lumen with heparin saline solution (n=6); 2) Experimental Group 2, topical irrigation of lumen with heparin saline solution and intravenous injection of heparin (0.75 mg/kg) via the marginal ear vein for 3 days; 3) Control Group, topical irrigation of lumen with saline solution (n=6). The patency was evaluated with empty-and-refill test and thrombus formation was judged by surgical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irty minutes after microvascular anastomosis, the patency of all Experimental Groups was better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2. Three days after anastomosis, the patency of all Experimental Groups was much more improv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1 and 2. 3. Three days after anastomosis, the amount of thrombus in all Experimental Groups was much less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5). 4. In histologic findings a lot of luminal thrombus were observed around sutured area in Control Groups. Few luminal thrombus was observ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Mild necrosis in the vessel wall was observed around sutured area in all specime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opical irrigation of heparin may improve the patency and inhibit the formation thrombus in the microvascular anastomosis of the traumatized veins.

희석된 헤파린과 생리식염수가 간헐적 말초정맥장치의 폐색, 유지기간 및 정맥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icacy of 1:1000 Diluted Heparin versus 0.9% Normal Saline for Maintenance of Intermittent Intravenous Locks)

  • 박미미;김창희;조은숙;이미정;김혜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8-221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flushing effects using 1:1,000 diluted heparin or 0.9% normal saline in relation to needle gauge and frequency of IV medications. The comparative categories were clotting, duration of patency, and incidence of phlebitis. The design of research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 test, Nonsynchrorized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0.9% normal saline flushing the IV lock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lotting, duration of patency, and incidence of phlebitis. Subjects were medical-surgical inpatients over 15 years old and with peripherally placed IVs who were hospitalized in a university medical center. Exclusion criteria included foreigners and those who were rejected for this research. The final sample for data analysis included 295 IV sites in 194 patients; 154 were in the saline group and 141 were in the heparin group. Subjects were assigned to have IV locks is flushed with 0.9% normal salin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o have IV lock flushed with 1:1,000 diluted heparin(100 units)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increase reliability, the nurses who were assigned to the units involved in the study received an explanation on the standard method for locking an IV, recording method for observational data and criteria for the detection of phlebitis. Data were collected for a period of 2 weeks, from March 16, 2000 to March 29, 2000. Total duration of IV was defined the time of IV insertion to the time of discontinuation. Phlebitis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the following : pain, swelling. erythema at the insertion site. Chi-square was us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clotting, duration of patency, and incidence of phlebitis for the diluted heparin or the normal saline and needle gauge and frequency of IV medica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a)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lotting between two groups($X^2=5.882$, p=.015). (b)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uration of patency between two groups($X^2=2.439$, p=.295). (c)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hlebitis between two groups($X^2=0.190$, p=.663). (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lotting($X^2=6.209$, p=.013) and in the degree of duration of patency($X^2=6.978$, p=.031) according the needle guage between the two groups. (e)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phlebitis($X^2=5.008$, p=.025)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IV injection between two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