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수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6초

향수 관여수준별 향수 소비행동 및 향기감성태도에 관한 연구 (Perfume Consumption Behaviors and Fragrance Sensibility Attitude according to Perfume Involvement Levels)

  • 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6-4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향수 관여수준에 따른 향수 제품의 사용 및 구매행동과 가장 선호하는 향수 제품에 대한 향기감성태도를 고찰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에서 가장 핵심적인 향수 소비자층으로 인식되고 있는 20-24세 여성인 241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t-검정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로 향수 제품 사용 및 구매행동과 향기감성태도의 일부 항목에 있어 향수 관여수준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향수 관여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향수제품 소유개수, 사용빈도, 구매액이 더 많았으며, 향수 전문점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수 고관여 집단은 타인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비율이 더 높았으며, 향수 시향 테스트를 더 중요한 정보원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여대생들은 유쾌하며 젊은 감성의 향수 향기를 가장 선호하고 자극적이며 강한 향을 좋아하지 않았는데, 특히 고관여 집단은 저관여 집단에 비하여 도회적이고 현대적인 향기감성이 느껴지는 향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수 제품개발과 마케팅을 위한 제안점들이 제시되었다.

빅데이터 기반의 향수 추천 시스템 (Perfum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 허태성;허찬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17-18
    • /
    • 2022
  • 엔데믹 시대를 맞아 실외 마스크 착용이 해제되고, 화장품 매장 테스트가 가능해지면서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추구하는 MZ세대 소비자들의 움직임에 향수 매출이 껑충 뛰었다. 독특하고 흔하지 않은 '나만의 향기'를 찾는 이들이 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 향수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의 필요성을 느꼈다. 본 논문에서는 각 향수들의 설명을 분석하여 비슷한 향수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향수의 이미지 특성과 고객충성도와의 관계 (The Laration of Image Characteristics of Perfume on Loyalty)

  • 안채윤;장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62-3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향수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향수제품이 가지고 있는 제품 품질 및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선행변수로서 향수제품이 갖는 이미지 특성이 소비자가 느끼는 향수제품의 품질과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감성적 도구로서의 향수가 아닌 향수제품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고 향수제품의 개발과 판매를 위한 이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향수의 이미지 특성 중 상쾌성과 현대성은 향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극성과 낭만성은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력은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면에서 시사하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향수의 이미지 특성을 통한 소비자의 품질지각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둘째, 소비자가 갖는 향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임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보고 향수를 구매하던 과거의 행동과는 다르게 품질에 중점을 두고 제품을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향수를 제조하거나 판매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과거 파워 브랜드에 의존하던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제품의 품질을 소비자에게 지각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향수제품 디자인을 위한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Colors and Fragrances for Commercial Perfume Design)

  • 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427-439
    • /
    • 2008
  • 향수제품의 향에 적합한 색을 향수병과 포장지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향을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해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약 200여개 향수병의 색을 분석하여 향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색채 디자인 패턴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향과 색의 대응관계를 조사하였다. 향수병을 볼 수 없는 상황에서 피실험자들에게 세 가지 향수제품의 향을 맡은 후 연상되는 색을 선택하게 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향수제품 모두 차별화된 색상(hue) 대응이 이루어졌고, 선정된 색상은 실제 향수병의 색상과 상당히 유사한 색상 영역에 분포하였다. 또한 향수제품의 세 가지 향 노트(상향, 중향, 하향)에 따라 연상되는 색의 현저한 톤(tone) 변화를 발견하였다. 위의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향수제품에 있어 향과 색 간의 뚜렷한 교차-양상 연상관계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향수(nostalgia), 기대 및 평가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써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Nostalgia, Expectation, and Evaluation on the Intention to Watch a Movie -Focused on the Case of -)

  • 박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4-625
    • /
    • 2013
  •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향수 마케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영화 산업에서도 향수라는 주제는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수를 중심으로 기대 및 평가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향수는 과거의 장소나 시간을 그리워하는 감정이다. 기대는 실용적 기대와 정서적 기대로 나누어지며, 평가는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다섯 가지요소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연령이 낮은 연령보다, 여성이 남성보다 향수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20대는 정서적 기대 주관적 평가 향수 순으로, 30대 이상은 정서적 기대 향수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정서적 기대 향수 주관적 평가 순으로, 여성의 경우 정서적 기대 주관적 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마케팅 전략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향수광고의 언어적 의미 고정수준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향수의 친숙성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Verbal Anchoring in the Nostalgia Ads -The Moderating Role of Nostalgia Familiarity, product type-)

  • 김성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7-88
    • /
    • 2018
  • 본 연구는 향수광고의 의미고정 수준(저/고/비)에 따른 효과와 그리고 향수에 대한 친숙성(비 친숙/친숙)과 제품유형(감성적/이성적)에 따라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떠한 조절역할을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대학생 219명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미고정 수준에 따른 주 효과는 향수의 유무와 관계없이 의미고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광고에 대한 선호도나 구매의도에 대해 더욱 호의적으로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향수광고의 의미고정 수준에 대한 조절효과는 향수의 친숙성과 제품유형 모두 구매의도와 광고 선호도에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선호도의 경우 의미고정 수준이 낮은 경우 친 숙집단과 비 친숙집단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구매의도의 경우에는 의미고정의 수준이 낮은 경우와 의미고정의 수준이 없을 경우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향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향수 사용도에 따른 소비자집단별 특성을 중심으로- (Perfume Consump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Based on the frequency of perfume usage -)

  • 이경화;류은정;김경화
    • 복식
    • /
    • 제50권6호
    • /
    • pp.143-15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frequency of perfume usage and perfume attitude. perfume consuming behaviors and demograph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2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questionnaire. Three groups including Large amount users(30.1%), Medium amount users(33.8%), and Small amount users(36.1%) were identified by the frequency of perfume usa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perfume attitudes and perfume consuming behaviors among the three groups. The more they use perfume, the more they feel pleasure and self-confidence. Most subjects preferred overseas prestige and popular perfume. And they obtained perfume informations through magazine ads and articl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groups. The older and the higher social status frequently used perfume.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marketing data and implications for activation of domestic perfume market.

  • PDF

바이오매스 열분해액이 '향수'배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mass pyrolysis liquid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Xiangshui' pears (Pyrus ussuriensis) during storage)

  • 장선;강귀훈;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4-380
    • /
    • 2017
  • 바이오매스 열분해액이 '향수'배에 대한 신선도 유지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농도로 희석한 바이오매스 열분해액을 '향수'배에 분무처리하고 실온에 저장하면서 그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기간 중 열분해액을 20배로 희석하여 처리한 '향수'배의 중량 감소와 부패 지수는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호흡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총산 함량 및 총당 함량은 저장 12일 후 열분해액 20배를 희석하여 처리한 '향수'배가 무처리구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며 그 함량이 0.19% 및 7.19%를 나타내었다. '향수'배의 비타민 C 함량에 있어서, 저장 12일째에 열분해액 20배를 희석하여 처리한 '향수'배의 비타민 C 함량이 2.21 mg/100 g으로 그 감소량이 가장 작았다. 결론적으로 바이오매스 열분해액 처리가 '향수'배의 선도유지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0배로 희석한 열분해액의 처리가 '향수'배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가장 적게 하여 그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열분해액이 이화학적 특성에서 목초액과 비슷하나 구체적으로 어떤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고 또 이들이 어떤 기작을 통하여 과일의 선도유지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향수(向秀)의 인성(人性)에 대한 이해 (A study on the perspective of the human nature of Xiang-xiu)

  • 이진용
    • 한국철학논집
    • /
    • 제29호
    • /
    • pp.231-253
    • /
    • 2010
  • 향수(向秀)는 위진현학(魏晋玄學)의 발전에서 자연(自然)과 명교(名敎), 개체의식과 사회의식을 합일을 모색했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정욕(情欲)과 인륜(人倫)을 중심으로 인성(人性)을 파악하는 관점에서 두드러진다. 향수(向秀)는 인성(人性)이 모든 사물의 생성변화의 근본인 '자연지리(自然之理)'로부터 비롯된다고 하여, 정욕(情欲)과 인륜(人倫)에 타당한 근거를 부여한다. 또한 정욕(情欲)은 이성적 사유능력을 바탕으로 우리의 생명을 충실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파악하는 동시에, 부정적 욕망에 대해서는 사회성이자 사회규범이라 할 수 있는 '예(禮)'로써 절제할 것을 주장한다. 따라서 향수(向秀)의 인성(人性)은 긍정적 욕망 충족을 이끄는 동시에 부정적 욕망을 제어하는 주체이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임성(任性)'과 '당분(當分)'의 논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긍정적 욕망은 충족하고 부정적 욕망은 제어할 수 있는 구체적 내용이 이미 본성에 자리하는 동시에 그에 근거하는 사회 규범과 질서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향수(向秀)의 인성론(人性論)은 자연스러운 본성과 욕망 및 도덕성과 사회규범의 통일을 강조함으로써 현학(玄學)의 주요 문제인 자연(自然)과 명교(名敎)의 합일을 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