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향기

Search Result 1,51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Chrysanthemum morifolium, Tagetes erecta, and Matricaria chamomilla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및 캐모마일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 Kanphassorn Wimonmuang;Young-Sang Lee;Seung-Young Oh;Suk-Keun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9-109
    • /
    • 2020
  • 꽃차(Flower tea)는 최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소비가 확대되는 등 그 산업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꽃차의 향기 특성은 우렸을 때 나타나는 색깔 및 인체에서의 생리활성과 더불어 주요한 꽃차 품질결정 요소이다. 본 연구는 꽃차로의 이용이 활발한 국화과 식물 중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노랑색 및 주황색 마리골드(Tagetes erecta 'Yellow' and 'Orange'), 그리고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의 향기 성분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제조된 꽃차를 headspace-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S-SPME/GC-MS)를 이용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국화과 꽃차로부터 총 117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각 꽃차 종류별 동정된 휘발성 성분의 개수, 주요 3개 휘발성 성분과 전체 향기성분 peak중 이들이 차지하는 구성비율(%)은 다음과 같았다: 구절초 64종, camphor (31%), α-pinene(14%), camphene(14%); 국화 60종, camphor(15%), chrysantheny acetate(13%), eucalyptol (11%); 마리골드 '옐로우' 53종, 2,4-heptadienal(26%), trans-isocarveol(21%), cis-β-Copaene(18%); 마리골드 '오렌지' 61종, β-caryophyllene(16%), β-ocimene epoxide(12%), β-ocimene(12%); 캐모마일 50종, β-farnesene(63%), nonane(9%), spathulenol(5%). 국화과 꽃차 5종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β-caryophyllene, α-pinene, β-farnesene 등 10종이었으며 마리골리 '옐로'는 '오렌지'와 주요 향기성분의 조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록 그 함량은 낮았으나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오렌지', 그리고 캐모마일은 각각 10종, 12종, 3종 및 13종이었다. 마리골드 '엘로'의 경우 검출된 모든 향기성분은 마리골드 '오렌지'나 다른 국화과 식물의 꽃차에서도 검출된 바, 향기 성분이 다양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in rice-based distilled soju aged in different types of containers (숙성기간과 저장용기를 달리한 쌀 증류식 소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 Kim, Wan-Keun;Lee, Seung-Jo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1 no.6
    • /
    • pp.543-550
    • /
    • 2019
  • In this study, volatile compounds in 13 aged and 3 commercial rice-distilled soju samples were isolated by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 total of 85 volatile components including 35 esters, 15 alcohols, 5 ketones, 3 aldehydes, 15 miscellaneous, and 14 unknowns were identified. Esters and alcohols were the largest groups among the quantified volatiles. Differences in volatile compounds among the distilled soju samples and possible sample groupings were examin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GC-MS datasets.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s (PC1 and PC2, respectively) explained 51.94% of the total variation across the 16 samples. The samples aged in oak containers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ketones, aldehydes, and miscellaneous compounds.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PC1, oak-aged samples were observed, while, pot-aged samples were observed on the far negative side. Furthermore, samples aged for longer periods, such as 18 months, were observed in the positive direction of PC2.

The Effect of Dispersion Medium on Intensity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Recovery of Essential Oil from Capsella bursa-pastoris by Steam Distillation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조성이 냉이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강도 및 정유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 Choi, Hyang-Sook;Lee, Mie-So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5
    • /
    • pp.827-833
    • /
    • 1996
  • Along with the increased necessity for an efficient utilization of Korean wild edible plants growing in fields and mountains, attempts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flavor changes accompanied hy various conditions of dispersion medium. The effect of various pH values and concentration of sucrose or NaCl of dispersion medium on volatile flavor patterns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Capsella bursa-pastoris for food industry. Essential oils from this wild plant were isola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SDE) method using diethyl ether as solvent. Concentrated samples were analyzed s chromatography (GC) and combin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ost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apsella bursa-pastoris showed good recovery when steam distilled at pH 7 by SDE method.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ucrose and 15% by NaCl, resulted in greater numbers of identified flavor components from Capsella bursa-pastoris.

  • PD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Pear (Pyrus pyrifolia N.) (배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 Lee, Hae-Jung;Park, Eun-Ryong;Kim, Sun-Min;Kim, Ki-Yeol;Lee, Myung-Yul;Kim, Kyong-Su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5
    • /
    • pp.1006-1011
    • /
    • 1998
  •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ree varieties (shingo(niitaka), mansamgil (okusankichi) and chuwhang pears) of Pear (Pyrus pyrifolia N.) were extracted for 24 hours with pentane-diethylether (1 : 1, v/v) using the LLEP (liquid-liquid extraction & perforation). Neutral fraction was separated from the extract and then analyzed by GC-FID and GC/MS equipped with a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Carbowax 20M, HP). Individual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mass spectrometry and their retention indices. The totals of 52, 47 and 22 volatiles were identified in shingo, mansamgil and chuwhang pears, respectively.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hexanal, 1-hexanol, ethyl butanoate, ethyl-3-hydroxy butanoate, ethyl-2-hydroxy propanoate were the main components in each samples, though there were several differeces in composition of volatile compounds. Total contents of volatile components isolated in shingo, mansamgil and chuwhang pears were 6.972, 2.776 and 2.653 mg/kg of pears.

  • PDF

숙성에 따른 증류주의 성분함량 및 향기성분

  • 민경찬;이진순;김동원;이선희;박영심;최병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3.07a
    • /
    • pp.81-81
    • /
    • 2003
  • 우리 민속전통주의 참나무 oak통을 이용한 저장주의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상법에 의하여 쌀로 제조한 증류주를 용량 10L의 수입 참나무(oak)통에서 실온 25로 5개월부터 9개월까지 숙성한 숙성주와 숙성하지 않은 증류주의 성분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기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다만 7개월 이상 숙성주에서 acetic acid 가 0.023 ∼ 0.033%로 미량 검출되었다. 2)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 휴젤유 함량을 측정한 결과 숙성 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으며 휴젤유 중 가장 많은 성분은 isopropyl alcohol이었다. 4)휘발성 향기성분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취를 생성할 수 있는 aldehyde나 ketone류가 감소하였고 신선한 과실향이나 꽃향기 등의 향기 성분인 ester류가 증가하여 숙성 5개월째에는 oak 숙성주로서 가장 독특한 향을 갖는다고 예측할 수 있었다. 5)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들의 향기특성을 관능 평가하여 동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green 및 herb note가 우세한 숙성기간 8개월 숙성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전체적인 색상 비교 결과 기준값이 되는 oak 숙성을 하지 않은 증류주보다 숙성기간이 오래 경과된 숙성주일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UCS graph에서 보면 기준값 보다 숙성된 시료가 탁하다는 것을 나타냈고 색상 선에서는 기준시료보다 R(red)에 가까웠다. 숙성기간이 긴 발효주일수록 명도는 낮았다.

  • PDF

Change in Flavor Components during Microwave Roasting of Cocoa Mass (Cocoa Mass의 마이크로파 Roasting 중 향기성분의 변화)

  • 이은정;윤상현;노희진;박덕철;김상용;정명섭;오상석;김석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384-388
    • /
    • 2000
  • 본 연구는 cocoa mass를 마이크로파 roasting하여 그 향기성분의 변화를 pyrazine류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한편 상법으로 roasting한 경우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마이크로파 roasting은 110,120,130,140,15$0^{\circ}C$의 온도에서 20분 및 30분 동안 행하였고 상법의 경우는 14$0^{\circ}C$에서 30분간 roasting하였다. Roasting한 시료를 연속수증기증류추출법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후 GC와 GC/MS로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마이크로파 roasting의 경우 5분만에 14$0^{\circ}C$에 도달한 후 그 온도를 잘 유지하였으나, 상법의 경우 25분이 경과되어서야 14$0^{\circ}C$에 도달되었다. Roasting 한 시료의 향기성분으로 2,6-dimethyl pyrazine, 2,3,5-trimethyl pyrazine, 2,3,5,6-teramethyl pyrazine, 5-methyl fufural, 2-methyl-6-propyl pyrazine 등이 확인되었다. Roasting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dimethyl-, trimethyl-, tetramethyl pyrazine류가 증가하였고, tetramethyl pyrazine은 15$0^{\circ}C$ 20분 roasting의 경우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30분 동안 roasting한 경우 14$0^{\circ}C$에서 증가하였다가 15$0^{\circ}C$일 때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적정 roasting 지표인 di/tri, di/tetra pyrazine의 비율은 1 이하를 보임으로써 마이크로파 roasting이 cocoa mass의 향기 발현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입 냉장육의 이화학적 성질과 저장성에 관한 연구

  • Jeong, Jae-Hyeong;Park, Jin-Gwan;Byeon, Jang-Won;Lee, Chi-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33-240
    • /
    • 2006
  • 식육의 독특한 맛 성분과 향기성분의 전구물질은 각각 적육과 지방 조직의 수용성 물질이라고 보고되어 있으며(도변(渡邊) 과 좌등(佐藤), 1974), 가열육의 기호성에 관여하는 향미는 복합적인 전구물질들이 열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반응에 의하여 많은 휘발성 물질들이 생성되면서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육향에 관여하는 휘발성 성분들은 약 600개 이상이 동정되어 있고, 식육의 종류, 품종, 연령, 성별, 사료 등이 이러한 향기에 영향을 주며, 또한 도살 후 저장되는 동안에 휘발성 성분들의 변화 양상은 가열육의 향기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냉장육의 경우는 자기 소화에 의한 숙성 효과로 연도와 풍미가 향상되게 되며 숙성된 육은 비숙성육보다 기호성이 우수하다. 우육의 기호성은 향기, 맛 및 조직감이 상호작용하여 결정되는데 우육에 함유되어 있는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은 우육의 맛과 풍미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Waldam 등, 1968). 도변(渡邊) 과 좌등(佐藤)(1974)은 지질이나 유리지방산 등에서 생성되는 화합물들과 지방산의 불포화도, 지방산의 자동 산화 정도 등이 우육 향기에 관여하고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김 등(1996)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 PDF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Umbelliferous Herbs (미나리과 허브식물의 향기성분)

  • 홍철운;김명곤;김철생;김남균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1
    • /
    • pp.10-14
    • /
    • 2001
  • The volatile components of umbelliferous herbs having a characteristic spicy aroma were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s of herbs were isola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nd the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capillary GC and GC/MS. Forty-nine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the herbs. The major compounds of chervil (Anthricus cerefolium) leaf oil were methyl chavicol, 1-allyl-2,4-dimethoxy benzene, and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eaf oil were ${\beta}$-sesquiphellan drene, germacrene B, nerolidol, selinene-4-ol, and of coriander seed oil were linalool, decanal, ${\gamma}$-terpinene, $\rho$-cymene.

  • PDF

Aroma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ushrooms Collected from Eleven Major Sites in Korea (한국(韓國)의 11개(個) 주요(主要) 산지(産地)에서 채집(採集)한 송이(松栮)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Cho, Duck Hyun;Lee, Kyung Joon;Han, Sim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8 no.4
    • /
    • pp.490-497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roma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S. Ito et Imai) Sing. growing in different geograghic ranges in South Korea. Mushrooms were collected from 11 major sites which included four sites(Bonghwa, Uljin, Goryung and Chungdo) in Kyongbuk Province, three sites(Changnyung, Hadong and Hamyang) in Kyongnam Province, two sites(Yangyang and Inje) in Kangwon Province, one site(Goisan) in Choongbuk Province, and one site(Namwon) in Chonbuk Province. One of three mushrooms from each site were used for measurements of aromatic characteristics. Aromatic compounds were identified using a dynamic headspace trap method at $40^{\circ}C$ and GC-MSD(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ic detector) method. A total of 25 aromatic compounds were identified. Large variations in the composition and amount of aromatic compounds were noticed. Major aroma compound was 1-octen-3-ol, while methyl cinnamate known as the major aroma compound in matsutake was not detected at all. The total amount of aromatic compounds was highest in Bonghwa, and decreased in the order of Chungdo, Inje, Hamyang, Uljin, and Yangyang. Based on the total amount, kinds and amounts of individual aromatic compounds, the mushrooms from 11 major sites were grouped into following four types : 1) Bongwha Type : the total amount of aromatic compounds was highest, with major compound being 3-methyl 1-butanol. 2) Hamyang Type including Chungdo, Yangyang and Inje : 1-octen-3-of comprised 2/3 of total aromatic compounds, with second major being 3-methyl butanal. 3) Uljin Type : 1-octen-3-ol comprised 94% of total aromatic compounds, with other compounds being almost nothing. 4) Goisan Type including Goryung, Namwon, Changnyung, and Hadong : the total amount of aromatic compounds was lower than other three types.

  • PDF

고진공 수산물 조미통조림의 향기성분 분석

  • 김동수;류재상;조진호;허우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18-119
    • /
    • 2001
  •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통조림 제품은 조미액, 시럽, 물 등의 액즙을 함유하고 있어 이로 인해 제품의 중량의 증가, 가용성 성분의 희석, 액즙의 흡수와 팽윤으로 인한 조직감의 연화, 원료의 고유의 향기성분 손실 등과 조미액은 대부분 버리게 되므로 제품의 경제적 손실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종래의 통조림보다 가볍고, 조직감이 있으며 원료 고유의 향미를 살린 제품을 만들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packing medium이 없는 고진공 통조림제품을 제조하여 일반통조림 제품과의 향기성분을 비교분석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