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과 일조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9초

아파트단지의 입지유형별 주동향에 따른 일조분석 (An Analysis of Sunshine According to the Blocks Direction by Location Type in Apartment Complex)

  • 장승재;박민용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1-17
    • /
    • 2003
  •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on the sunshine according to the blocks direction by location type of apartment complex in Busan, to propose a planning on the decision of blocks direction and the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law in sunshin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n the basis of winter solstice in "□ block type", the average of ratio of shadow area in flat site is 51 % in apartment with a southern exposure, 39% in apartment with a south-eastern exposure. The average of ratio of shadow area in the descended site toward the north is 49% in apartment with a southern exposure, 34% in apartment with a south-eastern exposure. The average of ratio of shadow area in the descended site toward the south is 66% in apartment with a southern exposure, 53% in apartment with a south-eastern exposure.

황색종 잎담배 품질과 기상요인과의 관계분석 I. 부엽의 등급별 수량분포와 기상요인 (Statistical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with the Leaf Quality of Flue-cured Tobacco I. The Proportion of the Respective Grades of the Thin Leaf and Meteorological Factors)

  • 김정환;한원식;이용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3-169
    • /
    • 1989
  • 잎담배품질(등급별 수량분포비율)에 관여하는 개별 기상환경요인의 영향도 및 관계를 시기별로 분석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엽 고품질인 1∼2등엽의 수량분포비율은 34.6%이고 저품질인 4∼5등엽은 40.4%이었다. 2. 품질등급별 수량분포비율의 년차변이는 5등엽에서 가장 높았고 2등엽에서 낮은 변이를 나타냈다. 3. 기상환경요인중 시기별 년차변이는 강수량과 일조시수에서 높았으며 최고기온에서 가장 낮았다. 4. 강수량은 6월 상순 > 5월 하순 > 6월 하순순으로 년차변이계수가 높았다. 5. 일조시수는 7월 하순 > 6월 하순순으로 년차변이계수가 높았다. 6. 고품질엽의 수량분포비율에 미치는 시기별 기상요인의 영향도를 보면, 가) 평균기온 : 정방향으로는 5월 하순과 중순에서 영향도가 크고 부방향으로는 5월 하순과 6월 상순에 크게 나타났다. 나) 일조시수 : 정방향으로는 6월 중순 > 6월 하순 > 5월 하순순으로 영향도가 크고 부방향으 영향도순은 5월 상순> 5월 중순이었다. 다) 강수량 : 정방향의 영향도순위는 5월 상순 > 5월 하순 > 5월 중순이고 부방향은 6월 중순과 6월 상순에서 영향도가 크게 나타았다.

  • PDF

수치지형도 데이터를 활용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건축외피의 최적향 산정 프로세스 (A Process of Optimization for the Best Orientation of Building Façades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by Utilizing Digital Topographic Map Data)

  • 최승주;한승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3-129
    • /
    • 2022
  • 건축물의 친환경성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는 건축물의 LCC를 비롯하여 다양한 가치판단에 직결된다. 그러나 전통적 설계방식은 친환경성이 최적화된 건축물 대안을 제시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계획 단계에서 기후, 도시와 같은 미시적 측면의 지역조건을 계획에 반영하여 친환경성이 최적화된 건축물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의사결정 보조도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기관인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 건물,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건축대지 인근 지역의 3차원 모델링 작성 및 태양환경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작했고,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축 건축물 입면 방향과의 일사량 및 일조시간을 비교하여 최적향 산출 가능 여부를 검토했다. 그 결과, 도출된 최적향이 기축 건축물의 정면향 대비 더 높은 일사량 및 일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비교분석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발 알고리즘이 태양입사 환경관점에서 유효한 입면 방향을 산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정형 공동주택의 공간계획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urt Housing Design in Korea)

  • 강인호;박소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8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urt housing. In spite of changes of housing design condition, especially density, there have been changes only in the height of housing block, not in the housing types, layout system and other design properties. Due to the situation, housing design in Korea has been criticised as too routine and monotonous one.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respond to the criticism,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ourt housing type, and suggested the design strategies throughout the analysis of 8 entries in the design competition of EunPyeong NewTown, which attempted to overcome the negative problems - mainly the daylighting, orientation, and privacy- of this housing type. Throughout the analysis, there suggested design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problems of court housing type, which can be the basis for the court housing design in Korea.

  • PDF

황색종 잎담배 품질과 기상요인과의 관계분석 II. 추엽 등급별 수량분포와 기상요인 (Statistical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with the Leaf Quality of Flue-cured Tobacco II. The Proportion of the Respective Grades of the Thick Leaf and Meteorological Factors)

  • 김정환;한원식;이용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34
    • /
    • 1989
  • 황색종잎담배의 추엽 품질등급별 수량 비율과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평균기온의 경우 1,2 등엽 수량비율은 4월 하순 및 7월상순의 특성치와 5%, 5월하순의 특성치와는 1% 수준의 부상관을 나타냈다. 2. 최고기온의 경우 1,2등엽 수량비율은 5월 하순에서부터 7월상순까지의 순별 특성치와 부상관을 나타냈다. 3. 최저기온의 경우는 1,2등엽 수량비율은 4,5하순의 특성치와 1% 수준의 부상관, 5월상순, 6월상순, 7월중순의 특성치와는 1% 수준의 정상관을 나타냈다. 4. 평균기온의 영향도순위는 4,5 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정방향은 7월하순 > 5월상순이고 부방향은 5월하순과 7월상순이였다. 5. 최저기온의 부방향 영향도순위는 4, 5 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5월상순 > 6월상순 > 6월하순이였다. 6. 일조시수는 1, 2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4월중순과 7월중순을 제외한 전생육시기의 순별 특성치와 유의상관을 나타냈다. 7. 일조시수의 정방향 영향도순위는 5월하순 > 4월하순 > 7월하순 > 7월중순이였고 부방향 영향도순위는 6월하순 > 5월상순 > 6월중순 > 5월중순이였다. 8. 강수량은 1, 2등엽 수량비율의 경우 정방향 영향도순위는 6월하순 > 7월중순 > 7월하순이고 부방향 영향도 순위는 4, 5월하순이였다.

  • PDF

중정형 공동주택의 공간계획 특성 연구 - 은평 뉴타운 현상설계공모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urt Housing in Korea Case Study on the Competition Entries of Eunpyung Newtown)

  • 강인호;박소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07-116
    • /
    • 2006
  •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urt housing type for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the housing design in Korea. In spite of changes of housing design condition in Korea, especially steep increase in density, there have been changes only in the height of housing block, not in the housing types, layout, spatial organization and other design properties. Due to such a situation, housing in Korea has been criticised as too high, monotonous one - especially types of housing block tend to be fixed into a slab block and a point block.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respond to the criticism,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ourt housing type, and suggested the design direction throughout the analysis of 8 entries in the design competition of EunPyeong New Town, which attempted to overcome the negative problems - mainly the daylighting, orientation, and privacy - and tried to maximize the positive properties of this type of housing.

KDC 5판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on the 5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김자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26
    • /
    • 2009
  • 이 연구는, KDC 5판에서 문제점들이 다수 발견되어 시스템으로서의 문헌분류법에 부합하는 표준적인 조건을 제시한 다음, KDC 5판을 대상으로 각종 표준적인 조건에의 부합 여부를 자세하게 진단하여 발견된 구체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합당한 처방을 마련 제시함으로써 향 후 KDC 발전에 일조하기 위한 것이다. 고찰대상으로는 기본적인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제외된 것들(내부보조표, 우선순위표, 해설, 신 구대비표 등)을 비롯하여 본표, 조기표(공통보조표), 주기, 색인, 양자택일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나아가 오류, 표기부적절, 누락, 표현일관성결여 및 삭제해야 할 부분 등도 바로 잡고자 한다.

  • PDF

아파트 동남향·서남향 배치에 따른 물리적 주거환경에 대한 비교연구 - 강남 H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s of Apartment facing Southeast and Southwest aspect Arrangement - Focus on the Case Study of Gangnam H Apartment -)

  • 조장현;현은미;김용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272-279
    • /
    • 2012
  • Apartments with a southern exposure are often thought to have advantages in receiving winter sunlights and summer natural ventilation. However, as due-south-apartments increase recently, the consideratio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for households with no southern exposure is necessary. In case of due-south-apartments, residents prefer east-sided apartments than west facing apartments which might receive more hot sunlight in the afternoon; however in case of west-oriented apartments with active ventilation, the interior area is bright until late afternoon without unpleasant heat and has advantage in light environment aspect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merits and demerits of air flow and sunlighted environment of buildings through sunshine duration simulation using CFD simulation ad sunlights about southeast-sided and southwest-sided apartments based on general opinions for apartment directions. As results of the interior natural ventilation analysis, as the average air flow speed in southwest-sided apartments was 1m/s faster than that of southeast-sided, it has effects of lowering sensory temperature of residents in summer, and for sunlighted environment, southwest-sided apartments are advantageous for sunlighted area for duration time insid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alculation of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of apartment residential space should be reached through integrated evaluation of natural ventilation and sunlighted time from placement and facing direction of the building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each apartment, not based on general opinions.

  • PDF

댐·보 방류량 자료를 활용한 분포형 수문모형 기반 하천 갈수량 추적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stream low flow routing algorithm using a grid-based continuous hydrological model considering dam and weir operation data)

  • 이용관;정충길;김원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29
    • /
    • 2019
  •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적인 물순환 구조의 변화는 기존 수자원 이용 경향을 변화시키며 하천건천화 현상을 유발하고 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하천건천화 평가 및 예측이 가능한 영향 평가 기술이 필요하며, 국내에서는 GIS 기반의 분포형 수문 모형인 Drying Stream Assessment Tool and Water Flow Tracking (DrySAT-WFT)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격자기반의 물수지 모형은 단위 cell 안의 수직적인 물의 거동은 파악하기 용이하나, 모형의 특성상 저수지, 댐, 보와 같은 수리 시설물의 방류량에 따른 하도의 흐름 추적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rySAT-WFT 모형에 댐?보 방류량 자료와 연계한 하도추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모형의 유출 모의 성능을 개선하고, 1976년부터 2015년까지의 유출 모의를 통해 전국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각 유역에 대한 하천건천화 원인 추적 및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하천건천화영향요소를 고려하기 위한 모형의 입력 자료로 산림높이, 도로망, 지하수 이용량, 토지이용, 토심, 기상 변화에 대해 1976년부터 2015년까지 구축한 시계열 전국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일별 강우량, 상대습도, 평균풍속, 평균 및 최고, 최저 기온, 일조시간의 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개선된 DrySAT-WFT 유출 모의 결과는 선행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모의 개선점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