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정구역

Search Result 5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Water Balance Analysis for Securing Flexible River Flow at Geumho River Basin (탄력적 하천수량 확보를 위한 금호강유역의 물수지 분석)

  • Jeon, Kyeong Soo;Hwang, Ju Ha;Kim, Hyung San;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8-588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6 ~ 7년 주기로 가뭄의 정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과잉취수로 인해 하천 상류 수원이 부족하여 지속적으로 하천 건천화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부족 지역의 경우 지하수와 같은 고갈되기 쉬운 물을 사용하므로 발생빈도가 높으며, 진행속도가 다른 자연재해와 달리 느리므로 시 공간적으로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워 해결이 장기화 되고 있다. 우리나라 물수급 지역이 급격하게 증감함에 따라 수량 확보와 탄력전인 하천수량 관리 기술이 사회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이를 위한 수자원계획 도구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들 중 국내 실정에 맞도록 개선된 수자원평가계획모형인 K-WEAP(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을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금호강유역을 대상으로 중권역 내 행정구역별로 생활, 공업, 농업용수의 수요처와 공급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각 하천의 자연유출량은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에서 개발한 강우-유출 모형인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에 의하여 산정된 결과를 적용하였다. 행정구역을 고려한 물수급 분석을 통해 물수급 전망이 세분화되어 있으나 실제 발생하는 물수급 평가의 어려움은 여전히 존재한다. 생공용수는 공급시설을 고려하여 물수급 분석을 수행하고, 농업용수는 월별로 수요량과 공급량을 검토하는 물수급 분석을 통해 국가수자원공급 계획을 반영한 광역, 기초자치단체의 수자원 확보 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Flood risk assessment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hourly precipitation (시강우량 자료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홍수위험 평가)

  • Park, Chang Eon;Kim, Cha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4-264
    • /
    • 2016
  • 홍수위험의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많은 지역에 수리 및 수문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위험을 평가하기에는 매개변수 보정이나 모형의 검정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많은 지역에 대하여 행정구역별로 홍수위험을 평가한다던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험 변화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는 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위관측소에서 관측되어진 유량 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시강우량과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구축하고 홍수위험을 평가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홍수피해는 하천의 유량 증가가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비교적 하천정비가 잘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경우는 하천정비 시 설정한 계획홍수량과 호우에 따라 발생되는 첨두유량을 비교하여 홍수피해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천의 첨두유량 값은 복잡한 유역특성이나 수문특성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결국은 시간별 순간 최대강우량의 조합에 의하여 크게 좌우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일부 행정구역별 대표 수위관측소를 정하고, 각 지점의 최근 10년 동안의 하천유량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단일 호우사상의 1시간, 2시간, 3시간, 5시간, 10시간, 1일, 2일, 3일, 5일, 10일 순간최대강우량과 첨두유량 사이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통계값을 보이는 자료끼리 회귀방정식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각 하천 지점별로 해당 하천의 수리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진 기간 동안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유량자료 가운데 각 지점에서 관심수위 이상으로 유량이 크게 증가하였던 호우사상만을 사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매우 의미 있는 회귀방정식의 도출이 가능하였는데, 의정부시 신곡교의 경우는 1시간, 10시간, 1일 강우량으로부터, 광주시 경안교 지점의 경우는 3시간, 1일, 10일 강우량으로부터, 양평군 흑천교 지점의 경우는 10시간, 3일 강우량으로부터 각각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이 높은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유역면적이나 도달시간 등의 유역특성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회귀방정식이 도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회귀방정식에 의하여 예상되어지는 시간별 강우량 자료를 적용하면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기존 계획홍수량과 비교하여 홍수위험 정도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ediatric Dental Clinic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을 활용한 소아 전문 치과의 공간적 접근성 평가)

  • Seung-Eun, Lee;Jiyoung, Ra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9 no.4
    • /
    • pp.453-46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pediatric dental clinics and quantitatively compare the regions with the best and worst accessibility to pediatric dental clinics in South Korea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eoul city showed the highest density of pediatric dental clinics, while Gyeongbuk and Jeonbuk provinces showed the lowest density. Seoul city had a service area ratio of 100% in all districts on a 10 km basis. In Gyeongbuk and Jeonbuk provinces, more than half of the districts had a service area ratio of 0%. In Seoul, the average distance from elementary school to the nearest pediatric dental clinic was 3.45 km. The average distance values were 43.66 km and 40.57 km in Gyeongbuk and Jeonbuk provinces, respectively, which were 12.66 times and 11.76 times longer than the average distance in Seoul city.

Analysis of Land Use Change within Four Major River Areas Using High-Resolution Air-Photographs: The Case of the Nakdong River Basin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이용한 4대강 하천구역 내 토지이용변화 분석 - 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 Park, Soo-Kuk;Kim, Jin;Lee, Kil-Jae;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6 no.4
    • /
    • pp.171-188
    • /
    • 2013
  • Landuse changes and cadastral information error categories in the four major river areas were analyzed for the use of policy data as cadastral re-arrangement of national and public lands would be required, using high-resolution air-photographs and cadastral maps before and after the river development. The study sites were the river areas of 40km around four dams of the Nakdong river where their landuses were changed most. As the results, national and public lands reached 79.9% of land parcels and 93.3% of land areas of the study sites similar with those of the four river areas, 84.3% of land parcels and 85.5% of land areas. The landuse classification of the study sites before the four river development was consisted most of 'river'(71.6%) and 'rice field'(12.3%), but after the development the 'river' was reduced to 42.7% and 'park area'(19.6%) including sport fields and 'mixed lots'(20.8%) were increased. Also, 86.7% of land parcels before the development could be reduced after the development i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land ownerships were not considered. Cadastral information error categories can be found as cadastral polygon missing, polygon overlap, location and boundary non-coincidence, small polygon generation, and non-coincidence between cadastral boundary and river boundary. Landuse change monitoring method using air-photographs will be useful to analyze landuse state through fast information aquisition and to manage properties of national and public lands such as river areas.

On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s and Legislations in Russia (러시아의 도서관 행정.법제에 관한 고찰)

  • Yoon Hee-Yo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3
    • /
    • pp.23-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the administrative system and legislation of Russia's libraries with priority given to public library. After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in 1991, Russia began to set up a new political, legal, and economic system. Russia has about 51,000 public libraries. Most towns and large villages have a public library As a rule, public libraries are unified in centralized systems coincident in their location with administrative regions. The great majority of public libraries are part of a network subordinated to the Ministry of Culture of the Russian Federation. Library legislation is an important guarantee of the success of library service. Two definitive federal laws were enacted in 1994, Library Law and Legal Deposit Copy Law. In 2001, the Russian Library Association adopted the Model Standard for Public Library. It has a recommendatory character and it is addressed to both librarians and local authorities.

  • PDF

미국 CATV 업계동향과 일본의 대응방향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77
    • /
    • pp.36-39
    • /
    • 1994
  • 공보처가 지난 1월 14일 전국 50개 구역의 CATV사업자를 발표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영상산업의 꽃으로 불리우는 CATV 사업이 본격됐다. 이에 일본 정보통신저널 3월호에 게제된 일본 우정성 방송행정국에서 발표한 "미국 CATV 업계동향"과 "일본 NEW BUSINESS의 전개 CATV발전을 위한 진흥시책"을 긴급 입수해 요약 발췌했다.

  • PDF

The Growth of Ginseng Industry and the Activities of Ginseng Cultivators in the 1930s: Focusing on Non-Government-Contract Cultivation Areas (1930년대 인삼업의 성장과 삼포민의 활동 -특별경작구역 이외 지역을 중심으로-)

  • Jeongpil Yang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5
    • /
    • pp.52-76
    • /
    • 2023
  • This article focuses on changes in the ginseng industry in the 1930s in areas other than the Government Contract Cultivation (GCC) zones. A major characteristic of the ginseng industry in the 1930s was the rapid increase in the area covered by ginseng gardens: the area was about 212 ha in 1929 and 252 ha in 1930 and 1931 but soared to around 441 ha in 1938. This occurred because the non-GCC area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is period. Until the early 1930s, the ratio of GCC to non-GCC areas was 70:30. By the late 1930s, however, the ratio had changed to 53:47. The reason for this change was that the area of the newly established ginseng gardens in the GCC zones had decreased, while that of the non-GCC ginseng gardens had steadily increased.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China boycotted red ginseng, and exports were sluggish, so the GCC areas were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non-GCC ginseng gardens were not affected, and the area they covered steadily increased. As a result, in the 1930s, the ginseng industry outside of the GCC areas grew rapidly. The region that led the growth of the ginseng industry outside of the GCC zone was Jeonbuk. By the late 1930s, Jeonbuk dominated the other provinces and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non-GCC farming zone. Gyeongbuk and Gangwon-do followed Jeonbuk in terms of ginseng cultivation areas. While Gyeonggi-do, Gyeongnam, and Chungbuk were also active in ginseng cultivation, Jeonnam and Chungnam were not active. In the 1930s, the growth of the ginseng industry outside of the GCC zones was driven by the efforts of ginseng farmers and the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An examination of Yecheon-gun in Gyeongbuk, Ganghwa-gun in Gyeonggi, and Jecheon-gun in Chungcheongbuk-do showed that ginseng farmers organized cooperatives as the ginseng industry steadily developed in these regions, and these cooperatives worked systematically to cultivate and sell ginseng. In the case of Ganghwa-gu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o incorporate the GCC zone. The Deoksan Ginseng Association in Jecheon-gun determined that financing for cultivation was key and requested subsidies from the provincial government. Administrative authorities also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ginseng farmers. The activities of the farmers and the support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gether led to the growth of the ginseng industry during this period.

A Study on Development of Downstream Flood Damage Prediction Model by Dam-Break of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소규모 저수지의 붕괴에 따른 하류부 피해예측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ong-Yoon;Jung, Wan-Sue;Lee, Joo-Heon;Kang, Boo-Sik;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32-1835
    • /
    • 2010
  • 본 연구는 이상홍수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설계 및 축조 당시의 수문, 기상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해마다 증가하는 저수지관련 홍수피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국내 농업용 저수지 17,649개 중 14,154개(80.2%)에 해당하는 30만$m^3$ 이하의 소규모 저수지를 대상으로 댐 붕괴에 의한 저수지 하류의 피해 규모 및 피해양상을 정량화 할 수 있는 피해예측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저수지 하류하천 위험기준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창리저수지(20.0만$m^3$)를 대상으로 댐 붕괴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빈도별홍수량 및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을 산정하여 HEC-HMS 모형을 이용한 댐 붕괴 모의를 실시하였다. 하류부 홍수해석은 창리저수지 직하류 화곡천(1.12km) 구간에 대해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댐 붕괴 홍수파 수문곡선에 따른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홍수범람구역에 해당되는 행정구역의 자산DB를 구축하고 홍수피해산정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 다차원법(Multi - 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MD-FDA)과 기존 간편법의 장점을 살려 댐 붕괴에 따른 하류부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다.

  • PDF

Improving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for Water Supply and Demand Assessment (물수급 평가를 위한 물수지 분석 방법 개선)

  • Jeon, Kyeong Soo;Hwang, Ju Ha;Muhammad, Azam;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2-262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의 이유로 홍수 및 이상가뭄이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상변화에 의한 물순환의 변동은 미래 가용수자원량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장래 용수공급역량을 예측하고 다양한 물수요에 대해 충족 가능여부를 파악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중 물수급 분석은 장기수자원계획 수립의 핵심요소이자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기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권역단위 물수지 분석을 행정구역단위로 세분화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사용했던 물수급 네트워크 모형인 K-WEAP 모형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권역 단위 물수지 결과와 행정구역단위 물수지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 기본 유역 단위에 따른 물수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적용 결과, 생공용수의 경우 최대갈수기에도 물부족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농업용수의 경우는 포항시에서 시나리오별 2016년에는 $548,000m^3$, 2020년에는 $547,000m^3$, 2525년에는 $497,000m^3$ 물부족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선행 물수급 전망 방법론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는 다른 산정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미래의 수자원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stream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near Hwangguji stream (황구지천 주변 지역 지하수 양수 영향 분석)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Moon;Hong, S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5-385
    • /
    • 2017
  • 지하수 관정의 위치에 따라 대수층과 인근 하천의 수리특성이 다양하여 하천수량에 미치는 지하수 양수의 영향이 공간적으로 다르게 발생하며, 그 영향을 지도(map)상에 표출한 것을 가칭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국토교통부, 2014)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황구지천 하류유역에 대해 하천주변 천부대수층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을 Hunt(1999, 2009)의 해석해로 산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작성하였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 작성에 필요한 입력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직접 양수시험을 수행하여 대수층 수리상수를 산정하고 기존 문헌값을 함께 이용하여 수리상수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양수시험공에 인접한 하천의 바닥에 피조미터 및 시피지미터를 설치하여 하상수리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하천주변 및 하상의 수리상수값을 Hunt 해석해에 대입하여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율을 30m 크기의 셀 단위로 산정하고 이를 구글어스상에 공간적으로 표출하였다. 하천구역에서 300m 이내 지역에서 지하수를 양수할 경우에는 양수기간 5년동안 평균적으로 양수량의 70%를 초과하는 하천수량의 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 양수 영향구역도를 활용하면 지하수 개발 이용자 및 허가 관련 행정기관이 지하수 관정의 공간적인 위치에 따른 하천수 감소 정도를 정량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