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정구역

Search Result 53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 Analysis of probable precipitation amount in Nakdong River Area for Predicting Flood Risk by Administrative Region (행정구역별 홍수위험전망을 위한 낙동강권역 확률강우량 분석)

  • Seong, Yeon-Jeong;Bastola, Shiksha;Lee, Sanghyup;Kim, Byoungwoo;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3-21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 패턴이 변화하고 있으며 강도가 큰 강우의 발생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홍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강우발생의 공간적 이질성이 더욱 증가하는 실정이며, 지역적 강우특성은 각 유역의 지형적 특성과 맞물려 홍수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은 보다 상세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홍수를 대처하는 방어 체계가 요구되며, 행정구역간 강우의 특성을 분석하여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권역에 강우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행정구역별 강우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거 기상청의 홍수 예 경보 기준을 분석하였으며, 낙동강권역에 해당되는 70개 행정구역(시,군,구)에 해당되는 기상청 및 국토교통부의 강우관측소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같은 빈도에서 행정구역별로 강우의 크기가 상당히 달랐으며 특정시기에 발효된 호우특보와 해당 행정구역에 100년 빈도의 강우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홍수위험전망 매트릭스를 구축하는데 있어 행정구역별 홍수 위험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본 연구 결과가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국가 홍수 재해 연구를 진행할 때 유역단위 및 행정구역별 홍수 방어방안을 활용함으로써 관련 연구들의 연구방안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Reconstructing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공간분석 및 모델링을 이용한 지방행정구역 재설정에 관한 연구)

  • Kim, Kam-Young;Lee, Gun-Hak;Shin, Jung-Yeo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6
    • /
    • pp.673-68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ization model for reconstructing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For this, literature related to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was critically reviewed and criteria for redistricting were extracted. An optimization model for reconstruc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was formulated based on these criteria. The model considered three criteria; homogeneity within a reconstructed district, equity among reconstructed districts, and spatial arrangement. Homogeneity for relieving spatial mismatch between administrative and living(economic) boundaries is measured by spatial interaction within a district. Equity among districts is evaluated using population, area, and financial independence. Finally, spatial arrangement is measured by compactness and contiguity. The developed optimization model was implemented using Automated Zoning Procedure(AZP) in GIS environment and applied to a problem aggregating Si-Gun administrative units into broader districts. Applic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del can provide optimal districts according to alternative objective functions.

  • PDF

A Study on the Territorial Reform of Local Government in West Germany (독일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 - 구서독을 중심으로 -)

  • Ahn, You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1
    • /
    • pp.147-161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rritorial reform of local governments in West Germany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 the 1960s and 70s. During this period the territorial structure and function of municipality (Gemeinde), county (Kreis) and county-free town (Kreisfreie Stadt) as local governments were fundamentally reformed. The territorial reform of local governments paid special attention to merge the small-sized municipalities and to create the joint authorities in order to build the system of central localities. There had been criticism on the uniform boundary delimitation, confusion of regional identity, erosion of local autonomy and emphasis on the regional planning. But the territorial reform of the period has contribu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to strengthen the service delivery and planning capacity.

  • PDF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ew Town (신도시지역 행정구역개편에 대한 연구)

  • Lee, Hyangsoo;Lee, Seo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9
    • /
    • pp.21-27
    • /
    • 2018
  •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ase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centered on the case of specific region C and try to clarify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The target city for the study is composed of two surface units and one town area. Is it right to integrate these areas into a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a huge megapolis, a new city? Or is it right to separate it? This study has begun with these question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theories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form and examined related issues in the new city area.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promoting administrative district reform are as follows. First,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stakeholders is needed. Second, the goals and vision of integration should be presented. Third, sufficient review is needed before integration. Fourth, it is important to respect community. Fifth, concession and coordination of interest groups are necessary. Sixth, the administrative reform process must be absolutely democratic and fair.

Building Knowledge Graph of the Korea Administrative District for Interlinking Public Open Data (공공데이터의 의미적 연계를 위한 행정구역 지식 그래프 구축)

  • Kim, Hakl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2
    • /
    • pp.1-10
    • /
    • 2017
  • Open data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making efforts to open government data. However, despite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public data, the lack of data is still pointed ou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data sharing and utilization by semantically linking public data. First, we propose a knowledge model for expressing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ir semantic relationships in Korea. An administrative district is an administrative unit that divides the territory of a nation, which is a unit of poli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e knowledge model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ines the structur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units based on the Local Autonomy Act. Second, a knowledge grap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s introduced. As a reference information to link public open data at a semantic level, some characteristics of a knowledge graph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methods for linking heterogeneous public open data and improving data quality are addressed. Finally, some use cases are addressed for interlinking between the knowledge grap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ublic open data. In particular, national administrative organisations are interlinked with the knowledge graph, and it demonstrates how the knowledge graph can be utilised for improving data identification and data quality.

Origin and territoriality of the French commune (프랑스 꼬뮌의 기원과 지역 정체성)

  • 정옥주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76-76
    • /
    • 2004
  • 우리나라나 프랑스와 같이 오랜 역사를 지닌 나라의 행정구역은 이미 지역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공간 단위를 기초로 구획되었거나, 일단 행정구역으로 구획된 후 점차 정체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밟아 왔다. 또한 오늘날 행정구역, 특히 지방자치 단체의 공간 규모와 성격은 참여 민주주의에 근거한 지방 분권의 실시, 국토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서도 점점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Guideline of Flood Risk Evaluation Standards by Local Authorities (행정구역 홍수위험 판단기준 설정 방안 연구)

  • Choi, Cheon Kyu;Kim, Kyung Tak;Choi, Yun Seok;Kim, Gil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6-366
    • /
    • 2019
  • 홍수피해가 발생하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홍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상청은 예상되는 강우량을 수치예보를 활용하여 기상특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홍수통제소는 하천에서 예상되는 홍수위를 기준으로 홍수특보를 발령하고 있다. 그러나 기상특보는 전국을 동일한 기준으로 홍수위험을 전망하여 각 행정구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홍수특보는 주요 하천이 없는 행정구역은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홍수피해 현상 조사를 통해 제시된 각 행정구역별 강우기준과 수치예보 자료 중 하나인 국지규모 앙상블예측시스템(LENS, 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홍수위험 대응단계설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행정구역별 홍수위험 매트릭스는 향후 추가적으로 자료 수집을 통해 매트릭스 적용 및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bates on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on District and Use of Maps in the Early Stage of French Revolution (프랑스 혁명 초기의 행정구역 개편을 위한 논의와 지도의 활용)

  • Jung, In-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5
    • /
    • pp.750-76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debates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maps in this debate during the early stage of French Revolution. For this, firstly, we examined the argument of reformers who attempted to change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Old Regime. We found that physiocrats proposed map use for their attempt to reform this system. Secondly, we considered the debate on the theme of the new division of the kingdom on the basis of speeches or interventions delivered to the National Assembly. Robert de Hesseln's map, itself influenced by the geometric spirit shown by the map of Cassini, played an crucial role in the utopian ideas of revolutionaries who would divide France in administrative units of equal size geometric grid. Thirdly, the deputies decided the number and boundary of department on the basis of Hennequin's map. The final cut which resulted in very tense negotiations with local leaders was irregular polygons modeled on patterns of economic relations, and elements of relief and historical tradition. Fourthly, new administrative divisions are plotted on the map of Cassini and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it was declared as a new administrative division of France.

  • PDF

A Study on a Suggestion of Rainfall Criterion using Flood Damage (홍수피해 현상을 활용한 강우기준 제시 방안 연구)

  • Choi, Choen Kyu;Choi, Yun Seok;Kim, Kyung Tak;Ho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2-392
    • /
    • 2018
  • 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치게 됨에 따라 각 행정구역은 기상특보 및 홍수특보를 기준으로 자연재난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홍수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행정구역별 홍수피해에 대한 특성이 지역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으로 홍수위험을 전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홍수피해 현상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활용하여 각 행정구역별 강우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홍수피해 현상표(flood impact table)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홍수피해 현상표를 현상별로 단계를 나누어 피해 규모를 구분하였다. 또한 각 행정구역별 피해규모를 구분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12년도까지 발생한 과거 홍수피해 현상과 지속시간별 강우량 조사하였다. 각 행정구역별로 조사된 과거 홍수피해 현상을 제시된 홍수피해 현상표와 매칭을 통해 과거 홍수피해 사례를 단계로 구분하고, 수집된 지속시간별 강우량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강우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강우기준은 각 행정구역별 홍수위험 판단기준 제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정과정의 비교 분석: 민·관 정책중개자를 중심으로

  • Lee, Dan-Bi;Gu, Min-Gy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8 no.3
    • /
    • pp.413-436
    • /
    • 2014
  • 본 논문은 청주·청원과 전주·완주의 행정구역 통합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2009년 두 지역의 통합은 모두 무산되었다. 그러나 2010년부터 이루어진 재시도에서 청주·청원은 통합에 성공한 반면 전주·완주의 통합은 또다시 무산되었다. 행정구역 통합을 설명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구조 및 환경 등 외생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어 역사적 배경, 지리적 조건, 통합의 시기 등에서 여러 유사점이 있는 두 지역의 비교연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특히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과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로 정책중개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인 통합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통합절차를 5단계로 나누어 그 충족 정도를 분석하였다. 정책중개자는 그 정책선호와 지위를 기준으로 (1)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 (2)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3)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4) 선호 없음의 네 가지 역할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1기(2009년~2010년)에는 두 지역 모두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가 나타났다. 그 결과 전주·완주에서는 여론조사에서, 청주·청원에서는 의회의결단계에서 그 통합시도가 무산되었다. 제2기(2010년~2013년)에는 전주·완주에서는 정책중개자 유형이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유형으로 바뀌어 주민투표단계까지 도달하는 데 그쳤으나, 청주·청원에서는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로 바뀌어 최종 통합시 설치법 단계까지 도달해 통합이 완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