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정개혁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7초

중국의 지역별 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1952-2004)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1952~2004))

  • 최성일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449-465
    • /
    • 2008
  • 본 논문은 1952-2004년 걸쳐 중국의 수출과 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를 지역별(동부, 중부, 서부), 시대별(개혁개방 전후)로 고찰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변수들의 안정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단위근 검정을 실시했으며, 다음으로 변수간 장기적인 안정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공적분 검정을 수행했고, 마지막으로 오차수정모형을 추정함으로써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전체기간에서 동부지역은 수출이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서부지역에서는 그 정도가 약하게 나타났다. 동부지역의 경우 개방정책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혁개방 이전에는 수출과 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개혁개방 이후에는 수출이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개방을 전후하여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던 중서부 지역의 경우, 중부지역은 개혁개방 이전에는 무역과 경제성장 간에 인과관계가 보이지 않았으나 개혁개방 이후에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서부지역의 경우에는 오히려 개혁개방 이전에 무역이 경제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혁개방 이후에는 반대로 경제성장이 무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 - 구서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rritorial Reform of Local Government in West Germany)

  • 안영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7-161
    • /
    • 2013
  • 이 연구는 1960~70년대에 걸쳐 구서독에서 추진된 지방 행정구역 개편 배경과 과정 그리고 특성 및 평가를 고찰한 것이다. 독일의 하위 지방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게마인데(Gemeinde)와 군(Kreis)과 자치시(Kreisfreie Stadt) 차원의 개편이 대대적으로 추진되었다. 구서독의 지방 행정구역의 개편은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시대의 제반 요구를 수용하여 거점 도시망의 구성을 통한 소규모 행정구역의 통폐합으로 진행되었다. 구서독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은 획일적인 구역설정, 지역 정체성의 혼란, 지방 자치권의 침해, 지역 계획적 관점의 우선 등에서 비판받고 있으나, 공공 행정의 수행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공공 서비스의 공급이 원활해지고 계획 역량이 제고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PDF

상해 상하수도 민영화 및 한국 상하수도 민영화 시사점 연구

  • 이승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 보고서
    • /
    • pp.331-348
    • /
    • 2004
  • 본고의 연구목적은 상해 상하수도 민영화를 위한 상해시정부의 1990년대 후반부터의 제도, 조직 및 행정개혁 그리고 민영화 과정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다국적기업 및 중국기업들의 활동에 대한 분석 및 정부와 기업, 두 주요역할자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고자 함이다. 더불어 상해 민영화과정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 다국적기업의 90년대 이후 한국진출 현황과 이와 맞물려 진행되고 있는 한국 상하수도계의 민영화 과정을 상해민영화 과정과 비교하여 그 시사점을 연구하고자 함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OECD 국가의 보건의료개혁 : 역사적 전망과 정책적 과제 (Health Care Reform in OECD Countries : A Comparative Policy Analysis)

  • 이종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8
    • /
    • 1996
  • The paper analyzes OECD health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Criticizing the dependence of Korea's national health program on Pacific countries such as Japan and the U.S., it suggests that European experiences of national health programs can be a model of the Korean health system in the future. Based on an inquiry into Italian and British cases of national health systems, the author emphasizes (1) the role of local governemts in national health programs, and (2) the integration of a national health program with public health programs.

  • PDF

'공평한' 언어를 위하여 -독일어 개혁의 페미니즘적 노력- ($F\"{u}r$ eine 'gerechte' Sprache -Zu den feministischen $Bem\"{u}chungen$ um eine Reform des Deutschen)

  • 페터 슈미터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3집
    • /
    • pp.5-34
    • /
    • 2001
  • 최근 구직광고, 시청, 정치 정당, 행정부처나 특정 일간지와 시사잡지의 최근 정보 팜플렛을 1981년 이전에 나온 관련 출판물들과 비교해보면 지난 20년 동안 현대 독일어 체계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났으며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음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언어의 실천 분야에서 1981년에 처음 나타난 이런 변화(vgl. Guentherodt, Ingrid / Hellinger, Marlis/Pusch, Luise F./Tromel-Plotz, Senta: Richtliruen 2ur Vermeidung sexistischen Sprachgebrauchs. In: Linguistische Berichte H. 71, 1981, 1-7)는 특히 어휘와 대명사 체계뿐 아니라 관사체계와 명사곡용과 관련된 변화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런 언어변화는 계몽적 논문 그리고 '신 여성운동'과 그 결과로 나타난 '페미니즘 언어학'의 부단한 요구가 결정적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요구란 전통적인 언어체계에 머물러 있던 '성차별'을 없애고 독일어를 개혁함으로써 어휘와 문법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남성적-가부장적 관점의 지배적인 면을 없애고 '공평한 언어'를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궁극적으로 사람들은 이런 언어개혁을 통하여 여성의 사회적인 권리평등의 길을 마련하고 싶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런 복잡한 문제를 좀 더 알기 쉽게 밝혀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사회 정치적인 맥락에서 언어 개혁을 위한 노력을 살피고 언어 이론적인 토대를 질문하였다. 두 번째로 독일 페미니즘 언어학의 구체적인 역사적 기원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개혁안을 자세히 논의하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로는 개혁안과 그의 언어학적 기초에 대한 비판의 핵심 쟁점을 살피고, 찬반주장이 또 다른 분야로, 즉 한편으로 언어정책(찬성 주장) 분야로 다른 한편으로 체계언어학(반대 주장) 분야로 확대되기 때문에 언어개혁에 대한 페미니즘적 노력의 지지자와 반대자간의 논쟁에서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문제를 테제로 제시하였다.

  • PDF

에너지부문 규제완화에 관한 일본경단연의 건의서

  • 대한석유협회
    • 석유와에너지
    • /
    • 6호통권88호
    • /
    • pp.112-114
    • /
    • 1988
  • 최근 일본 경제단체연합회는 임시행정 개혁 추진심의회 공적규제의 실태에 관한 소위원회에서 에너지 부문 등 11개 부문에 걸친 규제완화에 관한 요망(중간보고)의견을 발표하였다. 이 자료는 이중간보고서 중 에너지 부문에 관한 사항을 번역한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국방외자조달 업무개선 추진 현황과 발전방향

  • 권영효
    • 국방과기술
    • /
    • 1호통권239호
    • /
    • pp.52-64
    • /
    • 1999
  • 국방 외자조달분야와 관련된 수차의 언론보도를 접하면서 일부 정확하게 전달 되지 못한 점에 아쉬움을 금치 못하면서도, 군수조달의 책임자로서 많은 반성과 각오를 다지게 된다. 이것은 우리 군을 사랑하는 국민의 채찍이며 IMF시대에 한 푼의 외화라도 헛되이 낭비해서는 안된다는 준엄한 경고로 알고 끊임없는 개혁과 발전을 추구해 나갈 것이며 보다 적극적인 공개행정을 취하여 업무의 투명성과 업체의 참여의욕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 PDF

일본의 최근 교육개혁 정책의 특징과 평가 - 문부과학성과 중앙교육심의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Policy in Japan's recent Reform of Education - Focus on the MEXT and CCE -)

  • 고전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73-198
    • /
    • 2016
  • 이 연구는 그동안 일본의 교육개혁 동향에 관한 국책연구기관의 연구가 미흡하고, 개인 연구들이 다소 지엽적인 과제에 대한 소개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최근 일본교육개혁 정책들을 문부과학성 및 중앙교육심의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전제로 개별 정책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정책과정에 있어서 특징 분석은 체제분석방법을 원용하였다. 즉, '개혁정책의 배경 및 목표'를 통하여 투입측면을, '문부과학성과 중앙교육심의회를 거치는 정책의 수립과정'을 통하여는 과정측면을, '정책의 실효성 검증 및 반응'에서는 산출측면을, 그리고 환류 및 환경측면에서는 '정책 이해관계자와 사회의 합의 및 이해' 상황을 준거로 하여 진단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문부성 보고서 및 단행본, 논문)과 일본 현지를 방문하여 핵심관계자를 면담(중앙교육심의회 부회장등)하였고, 주제별 논객과의 대담과 현장 교사와의 면담도 실시하였다. 일본 교육개혁의 배경은 고도화와 경쟁력 가치에 두나 여유교육이라는 일본적 가치가 강조되었고 학력논쟁으로 이어졌다. 정책의 수립과정은 문부성에서 내각 등 정치권으로 옮겨가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정책의 결과는 실효성 측면에서 현장으로부터 외면받는 경우가 적지 않았는데 현실에 대한 진단이 불충분한 정치적 실험과정이었다는 것이 원인이었다. 정책의 환류 면에서 결정과정이 공개되고 의견수렴 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나 객관적인 평가환류 시스템을 갖추지는 못했다. 교육개혁 정책에 대한 개별적 평가는 최근의 교육진흥기본계획, 교육기본법 개정, 수장의 교육개혁, 지방교육행정개혁, 교원개혁 정책 등에 걸쳐 살펴보았다.

도서관 경영패러다임과 기법의 변화 (Change of Paradigm and Techniques in Library Management)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23
    • /
    • 2007
  • 도서관은 지식기반의 경제시대에도 지식정보의 유통과 확장을 선도해야 한다. 그것은 최적의 도서관경영이 중요하고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함축하므로, 수직적 및 수평적 스펙트럼을 통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경영 및 행정패러다임의 부상에 따른 신공공경영론의 등장과 선진국의 행정개혁에 주목하여 도서관 경영환경의 복잡화, 경영패러다임의 다양화, 경영기법의 다원화를 분석하고 최근 동향을 논급하였다.

  • PDF

일본 나라문화재연구소의 독립행정법인 이행과 관련된 제문제

  • 타나베이쿠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160-173
    • /
    • 2012
  • 일본 문화청 소속의 정부조직이었던 나라국립문화재연구소가 국가조직의 행정개혁에 따라 현재의 독립행정법인 나라문화재연구소로 변혁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나분켄은 동아시아에서도 잘 알려진 국보 호류지금당벽화의 소실이 문화재 분야의 큰 문제로 부각되면서 종합적이고 학술적인 문화재의 연구 보호 종합기관의 설립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진 기관이었다. 연구분야에서 보면 초기에는 역사, 건축, 미술공예, 정원, 유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출발했으나 나라지역의 헤이조큐 유적보존 문제가 주요 이슈로 떠오르면서 매장문화재의 발굴 중심으로 그 역할이 강화되는 변화를 겪에 되었다. 그러나 선사고고학이 아닌 역사고고학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건축사나 정원사, 보존과학 등 서로 다른 학문이 융합하여 연구할 수 있는 강점이 강화되어 설립목적은 견지하면서 변모하였다. 독립행정법인으로의 변화는 1999년의 제145차 통상국회에서 "독립행정법인통칙법"이 성립되면서 부터였다. 독립행정법인의 취지는 독립 운영하는 쪽이 효율적인 부분을 분리시켜 법인격을 가진 기관으로 바꾸면서 운영교부금을 주무관청으로부터 받아 사용처를 독자적 재량에 맡기면서 이윤을 올릴 수도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조직과 인사의 자율성을 보장받는 장점도 있으나 평가시스템이 되입되는 정신적 부담도 공존하게 된다. 즉, 민간 방법의 도입에 따라 국가의 부담을 경감하고자하는 의미가 내재되어있다. 나분켄의 독립행정법인화는 동시에 도쿄문화재연구소의 통합을 수반하게 되었다. 도분켄은 원래 미술공예품을 중심으로한 동산문화재 연구와 보존과학부분에 충실한 조직이었으므로 부동산문화재 중심의 나분켄과 통합에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 그러나 불행중 다행으로 다카마쓰즈카 고분벽화의 열화문제와 키토라 고분 벽화의 보존문제로 인하여 전무후무한 협업연구가 진행되고 양 연구소의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독립행정법인화는 매년 예산을 중기계획이나 연도계획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독자적인 판단을 통해 편성하는 등 극히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문화재 보존을 위한 연구라는 공공적인 목적을 가진 조직이 정부의 의도대로 독자적으로 이윤을 올리는 사업을 확립하여 국가의 부담을 경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라는 부분에서는 의심할 여지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