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위 정보

Search Result 2,88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llegal User Identification Using Trace Mechanism (미행에 의한 부정 행위자 신분확인)

  • 김상욱;박보석;장희진;김건우;박정현;임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327-329
    • /
    • 1999
  • 미래의 정보전에서는 자신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침해 방지, 복구 등의 수동적인 형태의 보호뿐 아니라 상대방의 정보 하부 구조(Information Infrastructure)에 대한 공격같은 적극적인 형태의 보호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행에 의한 부정 행위자 신분 확인 시스템을 제시한다. 신분 확인 시스템은 부정행위자에 대한 신분정보를 생성, 유지함으로써 침해 사고를 예방하고 부정시스템은 부정 행위자에 대한 역공격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부정 행위자의 접속 경로에 따른 미행을 통하여 침입자의 행위를 실시간으로 분석, 보고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신분 확인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the Malpractice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정보전문가의 과오행위에 관한 연구)

  • 홍명자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3 no.4
    • /
    • pp.179-207
    • /
    • 2002
  • This study outlined the malpractice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including librarians and information brokers, providing inaccurate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to the users, which was derived from the lack of reasonable care in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duties and caused actual damage to the users. The author analysed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the charge of information malpractice and suggested the method of safeguard against it.

  • PDF

Relation between Locutionary Act and Illocutionary Act in Restricted Domain Natural Language Dialogues (제한 영역 대화에 나타난 언표적 행위와 언표내적 행위의 상관관계 연구)

  • Song, Do-Gyu;Cha, Keon-Hoe;Park, Jay-Duk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370-37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화행처리를 기반으로 한 중고자동차 매매 영역 대화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활용한 자연언어 대화체 발화의 언표적 행위와 언표내적 행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의 언표적 행위는 여러 상이한 언표내적 행위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 역으로 여러 언표적 행위가 동일한 언표내적 행위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처럼 언표적 행위와 언표내적 행위 간에는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상관관계를 설정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화에 나타나는 발화들은 어떤 행위를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고 이 행위들은 각 발화의 언표내적 행위로 결정되며 단일 발화들이 모여서 이루는 대화에는 화행의 흐름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우리는 본 논문에서 대화시스템의 효율적인 대화관리를 위해서 실제 자연언어 발화와 그에 따른 언표적 행위, 언표내적 행위를 올바로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여 대화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s Based upo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Behaviors (정보행위 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Hyun-Joo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89-103
    • /
    • 2010
  • Study on users which was done centering information approach, acquisition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systems need to be studied in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behavior including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haring behavior in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analyze users'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haring behavior's demands, motives and processes in libraries and internet environments, integrated approach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were tried by applying Wilson's information behavior concept.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integrative analysis.

Study on Inhomogeneous Influence on Market using Agent-based Modeling (행위자 기반 모형을 이용한 행위자의 시장에 대한 불균일한 영향력에 대한 연구)

  • Yang, Jae-Suk
    • Journal of Integrative Natural Science
    • /
    • v.1 no.2
    • /
    • pp.67-75
    • /
    • 2008
  • 행위자 기초 모형을 이용하여 행위자의 시장에 대한 불균일한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 가중치를 금융시장에서 행위자 간의 공유하는 정보의 영향력의 크기로 사용하였으며 가중치의 크기와 분포가 수익의 변동에 기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행위자들의 가중치의 크기가 평균적으로 클수록 가격의 변동의 크기도 같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가중치의 크기뿐만 아니라 가중치의 분포에 따라서도 수익의 분포가 변하게 된다. 이는 신흥시장과 성숙한 시장에서 관찰되는 분포의 차이와 관련하여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행위자의 정보의 영향력은 항상 일정하지 않고 그 영향력이 행위자의 시장 예측에 대한 적중률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렇게 변화하는 행위자들의 정보의 영향력의 분포는 결국 소수의 큰 영향력을 갖는 행위자와 다수의 영향을 거의 끼치지 못하는 행위자들로 분포되게 된다. 그 분포는 초기의 행위자들의 영향력 분포가 어떻게 되었든 간에 충분히 시간이 흐르면 모두 멱법칙을 따르는 분포를 갖게 된다.

  • PDF

An Activity Recognition Algorithm using a Distributed Inference based on the Hidden Markov Mode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환경에서 은닉 마코프 모텔 기반의 분산추론 기법 적용한 행위인지 알고리즘)

  • Kim, Hong-Sop;Han, Man-Hyung;Yim, Geo-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231-2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집이나 사무실과 같은 일상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간의 일상생활행위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들을 인지하는 분산 모델을 제시한다. 사용자의 환경 정보, 위치 정보 및 행위 정보를 간단한 센서들이 부착된 가정용 기기들과 가구, 식기들을 통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며 분석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양한 기기의 활용과 충분히 분석되어지지 않은 데이터들은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일상 환경에서 고차원의 ADL 모델을 구축하기 어렵게 한다. 그러나 ADL들이 생성하는 센서 데이터들과 센서 데이터들의 순서들은 어떤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이 센서 데이터들의 순서를 특정 행위 패턴을 분석하는 데 활용하고, 이를 통해 분산 선형 시간 추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소규모 시스템에서 행위를 인지하는 데 적절하다.

  • PDF

An Empirical Study of Employee's Deviant Behavior for Improving Efficiency of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정보보호 거버넌스 효율성 제고를 위한 조직원의 정보보호 행위에 관한 실증 연구)

  • Kim, Hye Jung;Ahn, Joong H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1
    • /
    • pp.147-164
    • /
    • 2013
  • For the continuous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we have to focus on not just technical aspects like access control and DRM, but informal level management like information security(IS) behavior, culture, and personal value. But there are few informal level studies, while many formal level studies of IS governance or technical means. This study is an empirical test that how IS culture, normal beliefs, personal behavior and value affect employee's deviant behavior. And we define a lack of an awareness of value and importance on IS regulations in organizations as "Information Security Anomie" with the concept of anomie, a viewpoint on social organization.

Semantic based Activity Pattern Similarity Measure (시멘틱 기반 행위 패턴 유사도 측정 기법)

  • Kim, Geonhee;Park, Kisung;Lee, You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96-1198
    • /
    • 2013
  • 행위 패턴은 사람의 행위들이 수행되는 양식으로 성향, 습관, 건강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생활양식이다. 헬스케어, 마케팅, 정책 결정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의 행위패턴을 활용하고 있다. 행위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위 패턴들을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행위 패턴 비교 기법은 구조적 정보만을 반영하여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행위 그래프를 효과적으로 유사도를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하여 구조적 정보와 행위 간의 의미적 유사성을 동시에 반영한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기법보다 약 4% 정확도가 향상됨을 보인다.

Malicious Object Prevention Technique Through Relation Between User And Object (사용자와 객체의 관계를 고려한 악성객체 방지 기법)

  • 이희대;임영환;예홍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05-807
    • /
    • 2002
  • 악성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악성 오브젝트(또는 프로그램)들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서 오브젝트의 정상 행위를 정의해 놓고 정상행위에서 벗어나면 악성으로 판단하는 Sandbax, MAPBox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 모두 오브젝트의 정상행위가 무엇인가를 정의하고, 정상행위에 맞는 자원을 할당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정상행위로 정의된 행위의 범위 안에서도 악성행위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상행위의 범위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성행위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와 오브젝트와의 관계를 고려한 강화된 악성 객체 방지 기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An Architecture of Realtime Agent Based on Behavior Categorization (행위 범주에 기초한 실시간 에이전트 구조)

  • 김하빈;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46-254
    • /
    • 2003
  • 행위범주를 이용한 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두가지는 첫째 행위의 계층을 주종이며 정적인 계층으로 구분하지 않고 행위 범주별 구분을 하여 복잡한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둘째, 모든 행위를 객체화 하여 처리한다. 객체화 된 행위는 스스로의 문제점을 감시하고 처리하거나 보고하여 전체 구조의 간편화를 가져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행위를 범주 구분을 위하여 필요한 행위 설계 방식을 제시하고 행위 객체를 위한 구성요소를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