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위자 기반 모형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Proposition on Applying Agent-based Model for Analyzing Logistics System (물류시스템 분석을 위한 행위자 기반 모형 적용에 대한 제언)

  • Kim, Jun-Hyu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3
    • /
    • pp.130-14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pplying agent-based model(ABM) for analyzing logistics system. Logistics problems become more complex and multi-faceted. As a result, the behavior of the system becomes more and more difficult to predict, we se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top-down approach in handling complexity. The ABM, that is the bottom-up approach, provides new modeling framework in system modeling. The ABM focuses on the interactions of subsystem or agents in whole system. Then the macroscopic picture of the whole system behavior is emerged as the microscopic interactions of agents are aggregated. The ABM assumes that each agent acts based on simple rules learned from dynamic interactions among other agents or its surrounding environment. The ABM has a great advantage in understanding emergent phenomenon that cannot be explained only through considering individual attributes. The ABM is an extremely useful method to analyze complex system such as logistics system. Therefore, the great research efforts and applications on the ABM to logistics system are encouraged in future.

Study on Inhomogeneous Influence on Market using Agent-based Modeling (행위자 기반 모형을 이용한 행위자의 시장에 대한 불균일한 영향력에 대한 연구)

  • Yang, Jae-Suk
    • Journal of Integrative Natural Science
    • /
    • v.1 no.2
    • /
    • pp.67-75
    • /
    • 2008
  • 행위자 기초 모형을 이용하여 행위자의 시장에 대한 불균일한 영향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 가중치를 금융시장에서 행위자 간의 공유하는 정보의 영향력의 크기로 사용하였으며 가중치의 크기와 분포가 수익의 변동에 기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행위자들의 가중치의 크기가 평균적으로 클수록 가격의 변동의 크기도 같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가중치의 크기뿐만 아니라 가중치의 분포에 따라서도 수익의 분포가 변하게 된다. 이는 신흥시장과 성숙한 시장에서 관찰되는 분포의 차이와 관련하여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행위자의 정보의 영향력은 항상 일정하지 않고 그 영향력이 행위자의 시장 예측에 대한 적중률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렇게 변화하는 행위자들의 정보의 영향력의 분포는 결국 소수의 큰 영향력을 갖는 행위자와 다수의 영향을 거의 끼치지 못하는 행위자들로 분포되게 된다. 그 분포는 초기의 행위자들의 영향력 분포가 어떻게 되었든 간에 충분히 시간이 흐르면 모두 멱법칙을 따르는 분포를 갖게 된다.

  • PDF

An Agent Based Simul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Team Formation (팀 결성 분석을 위한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 Yee, So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4
    • /
    • pp.169-178
    • /
    • 2010
  • Agent based simulation is an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a system's long term behavior where the entities in the system behave independently by their own judgement and memory, but influence each other to cope with given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gent based simul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behavioral mechanism of team formation. In the process of team formation members' mutual preference is an important factor although each member can join up with one's own will. Also a team performance can vary by the member's own experience. We implemented the developed model using Netlogo 4.1, and verified the model by simulation. From the simulation results we found that the model successfully performed necessary functions using behavioral rules, judgments, and evolutionary processes by memory. As a further study we will be able to apply the model for analyzing various ecological behavior of team formation.

Development of a Game Model Based on Virtues Education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덕 교육 기반 게임 모형 개발)

  • Han, Ji-Hy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13-121
    • /
    • 2009
  • 정보화 사회에서의 일원으로 꼭 갖추어야 할 정보통신윤리 덕목들은 기존 산업화 사회에서의 교수-학습방법으로는 부적절하다. 덕 교육 (Virtues Education)은 행위자가 교육의 중심이 되어, 인지 정의 행동의 통합과 공동체주의를 중요시 여겨 학습자 스스로 윤리를 체득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덕 교육의 장점을 기반으로 학습자가 보다 재미있고 쉬운 학습을 통해 정보통신윤리의 능동적이고 자연스러운 체득이 가능하도록 게임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게임 모형은 문제 사태를 확인하고, 그에 관련된 규범을 찾고, 규범의 의미와 근거를 찾은 후, 판단을 예측하고, 판단하여 미션을 해결하는 모형이다. 본 모형의 장점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정보통신윤리 학습을 할 수 있다. 둘째, 게임을 진행하며 윤리의식을 교사가 전달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체득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정보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알맞은 가치관을 확립하여,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Land Use Change using Agent based Modelling Approach (행위자기반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분석)

  • Ko, Jin-Seok;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61-1364
    • /
    • 2009
  • 최근 몇 년동안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수자원 관리는 전체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사회와 경제발전과 생태계 보호 및 토지이용과 수자원 이용의 적절한 관리와 연결된 개념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역을 간단한 고정된 지역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전체로서의 유역 기능을 개선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와 경제발전으로 인해 도시화, 여가 관광지역 및 사회기반시설의 확장 그리고 자연환경의 변화가 발행하고 있다. 효과적인 토지이용 배분과 자연지역의 보호도 중요하지만 잠재적인 홍수피해 저감도 중요한 문제이다. 토지이용의 변화는 많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유발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관계자와 자연환경과의 연결과 상호작용 유형을 이해하고 다양한 정책선택과 자연환경 상태가 토지이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모의하기 위해서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 ABM)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ABM은 유역관리의 이해당사자간의 정책과정을 도출하고 다양한 유역관리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서 홍수위험, 자연개발 및 비용과 같은 유역관리의 영향을 설명하는 통합된 유역모델이다. 여기서 토지이용은 경제적, 지형학적 상황, 공간계획 및 홍수방어정책에 좌우되며, 토지의 속성과 규칙을 통해 토지이용이 선택되게 된다. 본 모형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포된 행위자의 운영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토지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 결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추정하여 통합홍수관리 목적에 맞는 관리 대책의 결정 및 설계를 가능토록 하였다.

  • PDF

Agent-Based Evacuation Simulations of Road Tunnels in the Event of a Fire (도로터널 화재 시의 행위자 기반 대피 시뮬레이션)

  • Kim, Byungil;Kim, Changyoon;Kim, Du Y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5
    • /
    • pp.1157-116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users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 on the evacuation time in a road tunnel in the event of a fire. An agent-based evacuation model was implemented using Netlogo following the ODD protocol. The proposed model illustrates how the evacuation behavior of one can hinder others across different evacuation environments. Simulations show that evacuation time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users when they are randomly located in a road tunnel.

An Agent-Based Modeling Approach for Estimating Inundation Areas over Time (행위자 기반 모델링을 활용한 시간에 따른 침수 지역 예상)

  • Kim, Byungil;Shin, Sha Chul;Jung, Jaeh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4
    • /
    • pp.20-27
    • /
    • 2016
  • Emergency and evacuation planning is critical to reduce potential loss of life from flooding. In order to develop evacuation plans, emergency managers and decision makers require estimates of probable inundation areas and times of inund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gent-based modeling approach that incorporates in a hydrodynamic model to estimate both of these properties. A case study is conducted modeling the failure of a dam located in Andong, South Korea. We estimate flood travel times for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and discharge using a coupling of the continuity equation and Manning's equation. Using the output from the hydrodynamic model and the flood travel times, the agent-based model produces flood inundation maps at each time interval. The model estimates that for two-thirds of the Andong region the time of inundation is estimated to be slightly less than three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and evacuation planning for the region.

An Agent-based Model for an Act of Expression or Silence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Behavior in Class (행위자 기반의 의견 표출 행동 모형 : 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 Yee, Soung R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99-109
    • /
    • 2019
  • This paper explores a way to solve students' silence problem in the class by studying dynamic behaviors in the class. In order to build a behavioral model,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s' behavior were extra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by performing a survey to the students. The paper also implemented the model into an agent-based computer model for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ed that the behavior of an individual depends on the neighboring students. The more students are expressing their opinion, and then the better motivation one can get to express an opinion. Other observations are that supportive atmosphere considerably reduces the silent ratio, and even the majority of silence phenomenon appears at critical atmosphere.

A Study on the Agent-based Model of Demand Diffusion for the Market Share of New Technology Product (신기술제품의 시장점유율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수요확산모형에 대한 연구)

  • Won, Dong Kyu;Lim, Jong Yeo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4 no.spc
    • /
    • pp.1256-1284
    • /
    • 2011
  • Although a existing consumer market have been studied in depth in the new technology product market, the market research on the overall level of value chain to consist of consumers, distributors, and manufacturers is weak. Therefore, in this paper consumers' purchase of new technology products were simulated and analyzed by a consumer selection model and a multi-agent model, which consist of consumers, distributors and manufacturers. Our research was focused on customer preference study in new technology product market by using conjoint analysis and discrete choice model. And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based on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and offering of incentives were analyzed by ABM (Agent-based Model). In conclusion, the market share of technology products was risen when provision of incentives corresponding to inventory level and demand for new technology products occurred at the same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