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행위규제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시장지배력(市場支配力)의 경제적(經濟的) 의미(意味)와 규제(規制)

  • Lee, Gyu-Eok;Choe, Hui-S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1
    • /
    • pp.117-156
    • /
    • 1993
  • 시장지배력(市場支配力) 개념은 독점금지사건(獨店禁止事件)을 경제적(經濟的)으로 분석(分析)하여 위법성(違法性)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시장지배력(市場支配力)은 어떤 시장구조(市場構造)가 경쟁제한(競爭制限)으로 인해 소비자(消費者)의 후생(厚生)을 침해할 수 있는 잠재력(潛在力)을 갖는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답변해 준다. 시장지배력(市場支配力) 중심의 경쟁정책체계(競爭政策體系)는 시장지배력(市場支配力)을 보유하는 기업의 경쟁제한행위(競爭制限行爲)는 상대적으로 큰 후생감소효과(厚生減少效果)를 초래한다는 관점에서, 그들의 경쟁제한행위(競爭制限行爲)를 집중적으로 규제한다. 이 체계는 소비자후생(消費者厚生)과 효율(效率)을 높일 뿐만 아니라 중소생산자(中小生産者)를 보호(保護)하고 지배력분산(支配力分散)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체계에서는 규제범위(規制範圍)가 간명(簡明)해지기 때문에, 정책당국(政策當局)이 그것을 쉽게 관리(管理)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가능성(管理可能性)의 향상은 행정력(行政力)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기업활동(企業活動)의 자유(自由)를 확대(擴大)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부당공동행위 추정에 대한 소고

  • Lee, In-Gwon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135
    • /
    • pp.2-14
    • /
    • 2007
  • 공정거래법은 공법으로 원칙적으로 주무부처인 공정위가 부당한 공동행위의 합의에 대한 추정을 실질적인 경쟁을 제한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정황사실을 통해서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다. 개정된 법조문 내용은 입증 책임을 법집행당국인 공정위가 맡는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기존 독점규제법 제19조 제5항의 법률적 성격을 법률상의 추정규정으로 해석할 경우 부당한 공동행위의 경우 형사소추 대상이 되는 범죄행위로 간주되어 기존 법 제19조 제5항의 법률상의 추정규정이 형사사법체계와 부조화되거나 혹은 실질적 죄형법정주의에 반하는 문제도 금번 법 개정으로 상당히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공정거래위원회, 입찰질서 공정화에 관한 지침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59
    • /
    • pp.34-37
    • /
    • 1995
  • 이 지침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ulcorner$$\lrcorner$또는 $\ulcorner$공정거래법$\lrcorner$이라 한다) 제19조에 의한 사업자간의 부당한 공동행위(이하 법 제26조 제1항에 의한 사업자단체의 금지행위를 포함한다)로서 입찰행위에 있어서의 부당한 공동행위(이하 $\ulcorner$담합$\lrcorner$이라 한다)에 적용되는 것으로 입찰담합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유형과 처리지침을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이다. 입찰담합으로 추정되는 사항으로 이 지침에 내용이 설명되어 있지 않은 활동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 정신에 비추어 개별사안별로 판단되어질 것이다. 이 지침은 사업자 및 사업자 단체의 공적, 사적입찰과 관련된 활동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

  • PDF

본협회, '98 "공정거래제도의 운용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세미나 개최

  • 한국공정경쟁연합회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39
    • /
    • pp.30-37
    • /
    • 1998
  • 본 협회는 지난 ''98년 10월 28일(수)부터 29일(목)까지 양지파인리조트에서 ''98년도 공정거래세미나를 개최하였다. $\lceil$공정거래제도의 운용현황과 개선방향$\rfloor$을 주제로 개최된 이번 세미나에는 공정거래법 총론, 경제력집중 및 기업결합규제재도, 불공정거래행위와 부당한 공동행위의 규제 및 불공정하도급거래행위의 규제 등 공정거래법 및 제도 운영상의 주요쟁점사항에 대하여 공정거래위원회 총괄정책과장, 기업결합과장, 경쟁촉진과장 및 하도급기획과장의 주제발표와 고려대학교 이기수 교수의 특별강연이 있었으며, 회원사 및 비회원사 임직원 65명이 참여하였다.

  • PDF

A Critical Review on Platform Business and Government Regulation Alignment (디지털경제 시대의 플랫폼비즈니스와 정부규제에 관한 리뷰: 디지털플랫폼 속성과 정부규제 유형을 중심으로)

  • Sungsoo Hwang;Sung-Geun Kim;Junghyun Yoo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30 no.1
    • /
    • pp.3-22
    • /
    • 2023
  • This review article summarizes the issues around platform business with government regulation. We illustrat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latform business. We examined the current policy tools and government activities for regulating platform business in a digital economy. Policy tools of government regulation for platform business are not suitable or fit at times. We suggest an approach to look at the fit of platform business types and regulation policy tools. We also offer a policy recommendation to define situations whether to focus on minimizing conflicts among stakeholder or invite them to participate in anticipatory decision making process for new technology market.

Dilemma of Data Driven Technology Regulation : Applying Principal-agent Model on Tracking and Profiling Cases in Korea (데이터 기반 기술규제의 딜레마 : 국내 트래킹·프로파일링 사례에 대한 주인-대리인 모델의 적용)

  • Lee, Youhyun;Jung, Il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6
    • /
    • pp.17-32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the regulatory issues of stakeholders, the firm, the government, and the individual, in the data industry using the principal-agent theory. While the importance of data driven economy is increasing rapidly, policy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to use data impede the growth of data industry. We applied descriptive case analysis methodology using principal-agent theory. From our analysis, we found several meaningful results. First, key policy actors in data industry are data firms and the government among stakeholders. Second, two major concerns are that firms frequently invade personal privacy and the global companies obtain monopolistic power in data industry. This paper finally suggests policy and strategy in response to regulatory issues. The government should activate the domestic agent system for the supervision of global companies and increase data protection. Companies need to address discriminatory regulatory environments and expand legal data usage standards. Finally, individuals must embody an active behavior of consent.

Regulation Trends of Strategic Alliance in Telecommunication Market (통신시장에서의 전략적 제휴에 관한 규제동향)

  • Cha, S.M.;Kim, J.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5 s.77
    • /
    • pp.157-168
    • /
    • 2002
  • 전략적 제휴는 이제 흔히 볼 수 있는 기업의 경영전략이 되었다. 기존의 규제당국의 전통적 입장에 의하면 전략적 제휴는 관련시장에서의 경쟁을 제한할 우려가 있는 부당한 공동행위로 간주될 가능성이 많았다. 그러나 전략적 제휴의 장점들이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규제당국의 입장이 변화되고 있다. 본 고는 이러한 변화 추세를 규범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The Impact of Regulatory Approaches on Entrepreneurship and Iinnovation: In the Context of the Growth of Entrepreneurship in South Korea (규제방식이 창업기업의 진입 및 혁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Kim, Yuj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4
    • /
    • pp.1-16
    • /
    • 2022
  • This paper studies the impact of regulatory approaches on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As technological progress and environmental changes avail new business opportunities to innovative startups, many governments find it difficult to regulate new and unprecedented businesses promoted by the innovative firms. In order to provide academic and practitional implications on the regulatory design with which to support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this paper aims to review classical theories on the demand and supply of regulation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on the impact of regulation on market entry and incentives for innov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 recent controversies around the regulatory approaches on new businesses pursued by startups, which are as known as the "positive regulatory approach" vs. "negative regulatory approaches" among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in Korea. This paper claims that the Korean context provides an useful opportunity to investigate how the ongoing transition of the once "fast follower" economy into a pacesetter one changes the nature of businesses pursued by firms, investors, and related market players and, accordingly, calls for the changes in the way the government intervenes in markets to regulate businesses of firms. By doing so,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establishing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where innovative ideas of startups can be tested and nurtu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