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행렬복식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과 일본 축제의 백제복식 재현에 관한 연구: 백제문화제와 사천왕사왔소축제의 행렬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Baekje Costumes Exhibited in Korean and Japanese Festivals: Focusing on Parade Costumes from Baekje Cultural and Sacheonwangsawasso Festivals)

  • 마유리;김은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1-22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more appropriate and accurate festival costume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n various reproduced costumes and a period review of traditional festival costumes.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analysis examined festival costumes which appeared in Korean and Japanese festival parades during the Baekje Period. The Baekje Cultural and Sacheonwangsawasso Festivals were examined. A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field research and digital restorative techniques were used in the study.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Baekje costumes from both festivals were compared with original Baekje costumes, demonstrating several differences in the configuration, material, color, and shape of the costumes in addition to the way they were wor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aekje costumes used in Festival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King's Costume, Queen's Costume, and Government Official's Costume. Dress sketches and 3D illustrations also have been presented.

축제에서 재현된 백제행렬복식의 현황연구 - 한성백제문화제와 영암왕인문화축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Baekje Parade Costume Shown in Festivals - Focusing on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and Yeongam Wangin Cultural Festival -)

  • 마유리;김은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43
    • /
    • 2015
  • Festival costume shown in festival parades targeting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helps to understand the theme of festival and grants visual effects and at the same time, is an important factor to identify then-cultural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make a periodic review of traditional costumes used in parades for Hanseong Baekje Cultural Festival and Yeongam Wangin Cultural Festival which are both the festivals that backgrounded Baekje period,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rchetypes of reproduction costume vs Baekje costume, understand the problems of festival costume, and seek developmental directions. After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reproduction costume shown in festival parades, it was found that king costume, queen costume, governmental official costume, and humble class costume were all different from Baekje costume in terms of configuration, materials, color, shape, and creating method of costumes, and problems were drawn. When it comes to costume items, Pasul and Danryungpoh that didn't belong to Baekje period were worn. The problems in color research can be identified in governmental official costume. The problems in type of costume are shown in the length of po worn outside, margin of width, and degree of restoring accessories.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onvey and identify costume creating method by festival parade-related persons.

  • PDF

조선시대 상례행렬복식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nings of Funeral ceremony costumes in Chosun Dynasty)

  • 최해율;이순원
    • 복식
    • /
    • 제50권
    • /
    • pp.119-128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cuss the pattern of Confucian funeral ceremony and its costumes in Chosun dynasty thereby exploring the ideas and symbolic meanings expressed on them. 1. Male's official mourning dresses were composed of Choieui symbolizing sadness Choisang(최상), Dukun Sangkwan Sujil Yojil Kyodai and mourning stick Female's official mourning dresses consisted of Daersoojangkon and Kaedoo which were of simple kinds as compared to those of males. Duration of wearing mourning dreses was the longest to the death of father husband and eldest son The forms of mouring dresses were one and the same irrespective of the noble and the mean which expressed the sameness of the sorrow full of losting blood relative. Symbol expressed on funeral ceremony costumes were something like "eldestson-oriented" "male-centered" "distinction of the sexes" and "principle of yin and yang" to reinforce vitality to the costumes. 2. In the other funeral ceremony costumes in a royal fami8ly were those Euijangsu in red and blue colors Yeosakon in purple and white colors. Bandsman in Danryung and Guards in Kukonbok Changeui and Hoeui with five colors while the generally of people woere white dress in the ceremony Hoeui with five colors symbolized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costumes of military uniforms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white dresses grife symbolizing the dignity of a royal family and Confucian sorrow as well 3. Unlike the mouring dresses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relative to socio-ecpmpomic status in funeral goods for dercoration Soyeo and daeyeo Among the goods the instrument to drive out evil spirites symbolized shamanism the distinction of Soyeo and Daeyeo separation of body and soul; the sculpture of the Lord of Hades and messenger philosophy of buddhistic netherworld: the engraving of blue and yellow dragons in bier and Juksanma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 elaborate burial accesaries realistic viewpoint of the hereafter.

  • PDF

신묘사행(辛卯使行) "도중행렬도(道中行列圖)"에 나타난 통신사 편복 관모 연구 (A Study on the Headgear in the Painting of Tongshinsa Parade in 1711)

  • 박선희;홍나영
    • 복식
    • /
    • 제61권3호
    • /
    • pp.71-82
    • /
    • 2011
  •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everyday headgear, which is often found in many paintings of Tongshinsa, Joseon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in the 18th century. That resembles Yu-geon儒巾, but on the top of the headgear are lappets like a roof.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1) The painting of Tongshjnsa parade in 1711 was used to analyze wearers of everyday headgear because titles of position are shown for each one. 2) Personal records of Tongshinsa in the 18th century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ases of everyday headgear. 3) Cases of everyday headgear in literature around the 18th century were examined. Those researches revealed three findings: 1) The names of everyday headgear with a roof shaped top are Gohu-gwan高厚冠 and Yeonyeop-gwan蓮葉冠. 2) Among Tongshinsa, wearers of Gohu-gwan or Yeonyeop-gwan are medical staff, interpreters, painters, and secretaries. However, it doesn't seem to have been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ypes according to social class and position. 3) People wore everyday headgear, that resembled the two types in appearance, such as Mjnja-geon民字巾, Sunyang-geon純陽巾, Hwayang-geon華陽巾, Jeon-geon戰巾, or Jang-geon將巾 in China and Joseon around the 18th century. Among them, Sunyang-geon and Hwayang-geon seem to have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Gohu-gwan and Yeonyeop-gwan in terms of shape and character of wearer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two following conclusions: 1) Gohu-gwan and Yeonyeop-gwan were worn as one of everyday headgear to represent appearances of a scholar. 2) Gohu-gwan and Yeonyeop-gwan could be changed versions of the similar everyday headgear or different names of them.

카톨릭교 전례복에 관한 연구-독일 Paderborn 과 kevelaer의 전례복 회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urgical Vestments of Catholic-With reference to the Liturgical Vestments Firm of Paderborn and kevelaer in Germany)

  • 양리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133-162
    • /
    • 1995
  • 전례복의 전통을 고수하며 최상의 예술적 가치를 지닌 제의를 생산하는 Paderborn의 Wameling과 Cassau, 그리고 성모마리아 성지 순례지인 Kevelaer에 위치한 Kevelaerer Fahnen + Paramenten GmbH는 "Hidden Company"로 전유럽과 아프리카, 미국과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까지 널리 알려진 독일의 전례복기업으로 수 세기동안 종교적인 중심이 서 있던곳, 교회의 예식의 삶이 발전되어온 곳, 바로 그곳에서 계속해서 오늘날까지 예술의 수호자와 격려자로서의 모습을 굳건이 지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3개 회사를 통하여 알아본 카톨릭 전례복은 다양한 모양과 색채, 형태와 기법을 사용하여 단순한 종교적 상징성을 넘어 미적인 화려함과 조형적인 조화로 현대직물예술, 미술의상, 그리고 디자인 전반에 활용이 기대되며, 신자들에게는 전례복에 대한 상징의 미와 조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비신자들로 하여금은 종교예술에 대한 의식과 관심이 정식적인 사고나 신앙심을 유발시키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치리라 본다. 전례복은 성직자가 미사. 성사. 집행. 행렬. 강복등의 모든 의식때 교회규정에 따라 입는 예복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전례복은 무언의 언어로써 신성의 표현을 겉으로 드러낸것으로 세속인과 성직자를 구별해준다. 또 예식을 집행하는 사제의 몸짓과 동작, 언어를 뒷받침하여 전례의 뜻을 더욱 시각적으로 강하게 나타내 주고, 성직자로 하여금 성직의 직무에 더욱 충실할수 있도록 심리적영향도 준다. 이뿐만 아니라 전례복은 성직자의 지위와 권위를 나타내며 신자들로 하여금 성직자에 대한 위엄과 존경심을 불러 일으키고 전례복의 상징과 색체를 통해 전례의식의 기쁨과 슬픔을 심리적으로 공감하여 예식의 아름답고 신비스런 분위기를 창출하게 하므로 더 한층 신앙의 깊이를 부과시켜 준다. 전례복은 그리이스, 로마의 초상기 세속복이 종교적 경향을 띄면서 기독교 복식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313년 로마 Constantinus 황제에 의해 기독교가 공인되기 전까지는 세속인과 구별되는 특별한 제복은 없었다. 인간의 심리를 가장 잘 표현한 제의의 색채도 원래는 순수 흰색이었던 것이 12C 교황 Innocentius 3세에 의해 전례축일과 각 시기에 따라 특수한 색채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었으며, 현재의 전례복 색채의 상징적 의미는 교황 St. Pius (재위1566-1572)에 의해서 지니게 되었다. 장식과 소재도 초창기에는 대부분 모, 아마등이 사용되다가 4C부터 비단과 같은 특별한 소재가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12C에는 금실로 직조된 화려한 소재가 사용되었다. 장식으로는 상징 문양의 자수, 직조, 아프리케의 견고하고 아름다운 장식이 널리 사용된다. 또 형태는 전통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반원형의 풍성한 제의가 죄를 덮어주는 자비의 상징으로 오늘날 다시 유행하고 있다. 미래의 제의 형태도 결정적인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전례복의 발전은 계속해서 보수적인 교회의 명령에 의해 움직여질것이며 오늘날까지 변화해온 그 방식 그대로 각 시대의 문화와 시대정신, 복식의 유행에 따라 조금씩 변화의 과정을 거쳐 시대감각에 적합하도록 단순하고, 간편하게 변해갈 것이다. 사제의 수가 줄고 전례용품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지도 모르는 판매 부진의 시기가 곧 닥쳐오게 될지도 모르는 상황속에서도 전례복기업들은 각기업의 전례복 차별화와 예술적 진보를 위해 끊임없이 다양한 문양, 자수기술 개발, 창조적인 형태의 디자인 실현을 통하여 세계속에서 초 일류기업으로 당당하게 경쟁할 능력을 준비하고 있다. 또 각기업은 예술가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의식을 유도하고, 전시회와 전속예술가를 위한 Atelier를 마련하며, 다른 회사의 전례복과 구별되는 직물의 생산을 위해 자가 직물공장을 세우거나, 한 회사만을 위하여 직물을 생산토록 독점계약을 맺는등 소재의 독창화와 예술적 가치에 심혈을 쏟고 있다. 또한 외국신문에 기업광고를 내고, 영업사원을 활성화하며, 고객의 철저한 사후 A.S를 실시하여 기업의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또 각 교회에서는 전례복 자수협회를 창단하여 취미 자수가나 재봉인의 교류에도 힘쓰며 전례복 생산과 자수공예를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 이와 같은 기업, 예술가, 교회의 노력은 3회사의 미래가 밝을 것임을 충분히 알려준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업의 다양한 기술개발과 연구, 예술가의 종교미술의 참여, 교회의 관심을 통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례복 생산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