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 통합성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mmunocytochemical Studv of the Newe Growth Factor Receptor in the Neuron and its Organelles of the Adult Rat Basal Forebrain Nuclei (흰쥐 전뇌 기저부 핵의 신경세포와 그 세포내 소기관에서 신경성장인자 수용체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정영화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2
    • /
    • pp.245-263
    • /
    • 1993
  • 신경성장인자 수용체(nerve growth factor receptor, HGFr)의 소재를 휜쥐 전뇌 기저부 핵들의 신경세포와 그 세포내 소기 관에서 연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NGFr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들은 내측중격, 수직 및 수평대각선 브로카대, 거대세포 시삭전핵 그리고 Meynert 기저핵에는 다수 미상핵-피각과 복부담창구에는 소수 관찰 되었다 NGFr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들은 형태학적으로 3가지 형 즉, 1) 난형(또는 원형). 2) 방추형, 3) 삼각형(또는 다각형)으로 구분되었다 내측중격은 주로 난형의 세포로 구성되었으며(91.2%), 수직 및 수평대각선 브로카대, 거대세포 시삭전핵 및 Meynert 기저 핵에는 난형의 세포가 높은 율로 구성되었으나, 방추형과 삼각형 세포들도 내측중격에서보다는 많았다 특히 복부담창구에는 다른 핵들에 비하여 방추형세포(25%)들이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이들 세포의 크기는 삼각형세포가 제일 컸으며, 방추형세포가 그 다음, 그리고 난형 세포가 제일 작았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0.05% triton X-100을 처리한 조직중 Meynert 기저핵을 관찰한 결과. Golgi체, multivesicular body 및 소포체들이 N6Fr에 면역반응을 보였으며. trion X-100을 처리하지 않은 조직에서는 단지 수평대각선 브로카대의 신경세포 원형질 막에서만 약한 면역반응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NGFr은 조연소포체에서 합성되어. Golgi체에서 농축되고, multivesicular body를 통하여 원형질막에 위치하게 되며, 원형질막에서 NGFr은 외래성의 NGF와 복합체를 형성한후, 궁극적으로는 Iysosome의 형태로 세포체 안으로 들어 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omparative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Capacity by Interspecific Nuclear Transplantation (이종간의 핵치환에 의한 발생수행능력의 비교 연구)

  • 이자경;정해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1 no.1
    • /
    • pp.29-34
    • /
    • 198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nuclei and cytoplasm in early embryogenesis, interspecific nuclear transplantation was carried out Nuclei of one species of amphibian was transplanted into enucleated egg of another species. In interspecific hybrids between Rana species, development was arrested before or right after the dorsal lip formation. In intergenetic hybrids between Rana, Xenopus and axolod, developmental arrest took place at late blastula stage. Comparing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each nudeocytoplasmic hybrid, the more distantly related the species, the earlier does development arrest. The general rule is that nuclear transfers between any amphibian species will form a regulary cleaved late blastula. Two plausible factors relate to limitation of tite developmental capacity of nudeocytaplasmic hybrids. One is an irreversible change in grafted nuclei and another is tunctional incompatibility between the recipient cytoplasm and transplanted nucleus. The later is postulated a more possible cause of the arrestrnent.

  • PDF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Interpeduncular Nucleus and the Habenulo-Interpeduncular Projection in the Rat (흰쥐 뇌각간핵 및 고삐-각간로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 Park, W.B.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6 no.4
    • /
    • pp.253-270
    • /
    • 1983
  • Electron microscopic degener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on the rat's interpeduncular nucleus following lesion on both habenular nuclei to clarify the morphological nature of their presynaptic endings involved in the habenulo-interpeduncular pathway. Two distinct types of interpeduncular neurons were observed: 30% of large neurons and 70% of small ones. Four types of boutons with many characteristics could be differentiated; small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40%), large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18%), pleomorphic vesicle-containing boutons (33%), and elongated vesicle-containg boutons (9%). Vesicle containing dendrites were observed as dendro-dendritic synapses and axo-axonal synapses were also found, though rarely. Two to four days after the lesion on both habenular nuclei, the small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were found almost exclusively in the process of degeneration, while the other types were entirely free of degeneration.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habenural neurons terminate in the interpeduncular nucleus as small spherical vesicle-containing boutons. The neuronal origin of the other bouton types is discussed.

  • PDF

Localization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mGnRH, sGnRH and cGnRH II) in the Brain of three species of Frog, R. nigromaculata, R. dybowskii and R. rugosa (참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옴개구리 뇌에서 3가지 생식소 자극 호르몬 분비 호르몬(mGnRH, sGnRH, cGnRH II )의 분포)

  • 김정우;최완성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161-173
    • /
    • 1994
  • 면역효소법을 이용하여 3종의 한국산 개구리 참개구리(Rono nigromaculuto), 옴개구리(R. rugosa), 북방산개구리(R. 겨대bowskii)의 뇌에서 GnRH 뉴우런의 분포 부위와 GnRH의 종류 등을 연구하였다. 1차 항체로는 anti-rat GnRH, anti-salmon GnRH anti-chicken 11 GnRH 항체를 사용하였다. 3종의 개구리에서 mGnRH cGnRH 11와 sGnRH가 이둔 동정되었으나 3가지 항체에 대한 각 종의 면역 반응성은 종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mGnRH는 옴개구리와 참개구리에서, sGnRH는 북방산개구리에서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냈으며 cGnRH 11는 3종의 개구리에서 중간 정도의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각각의 GnRH의 상대적인 양에는 차이가 있으나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뇌의 동일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참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NMS), Broca band 핵(NDB)에 집단으로 분포하였다. 북방산개구리에서는 GnRH가 중격 내측핵, Broca bnad 핵에서 등쪽에서 배쪽으로 길게 선상으로 가장 협소하게 분포하였으며, 번식기와 직전(1월-3월)에만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 옴개구리의 뇌에서 가장 광범위한 지역, 즉 종뇌의 중격 내측핵, Broca band 핵, 아래 교차 지역(SCA)과 간뇌에 GnRH 신경세포가 분포하였으며. 제3뇌실 맥락얼기에서 mGnRH 신경세포가 처음으로 동정되었다. 3종에서 공통적으로 중격 내측핵과 Broca band 핵에서 유래한 신경섬유는 복측 시상하부를 거쳐 정중융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과는 GnRH가 뇌하수체에서 생식소 자극 호르몬의 분비 조절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뜻한다.

  • PDF

Groundwater level behavior analysis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비모수 핵밀도 함수를 이용한 지하수위 거동분석)

  • Jeong, Ji Hye;Kim, Jong Wook;Lee, Jeong Ju;Chun, Gun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1-381
    • /
    • 2017
  • 수자원 분야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은 홍수, 가뭄 등 극치 수문사상의 증가와 변동성 확대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예년에 비해 발생빈도 및 심도가 증가한 가뭄에 대한 모니터링 및 피해경감을 위해 정부에서는 국민안전처를 비롯한 관계기관 합동으로 생활 공업 농업용수 등 분야별 가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생활 및 공업용수 분야의 가뭄정보 제공을 위해 광역 지방 상수도를 이용하는 급수 지역과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 등 미급수지역의 용수수급 정보를 분석하여 가뭄 분석정보를 제공 중에 있다. 하지만, 미급수지역에 대한 가뭄 예?경보는 기준이 되는 수원정보의 부재로 기상 가뭄지수인 SPI6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기상학적 가뭄 상황과 물부족에 의한 체감 가뭄은 차이가 있으며, 미급수 지역의 경우 지하수를 주 수원으로 사용하는 지역이 대부분으로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6를 이용한 가뭄정보로 실제 물수급 상황을 반영하기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급수지역의 주요 수원인 지하수의 수위 상황을 반영한 가뭄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가용량 분석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지하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위 거동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가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국가지하수관측소 중 관측기간이 10년 이상이고 강우와의 상관성이 높은 관측소들을 선정한 후, 일수위 관측자료를 월별로 분리하여 1월~12월 각 월에 대해 핵밀도 함수 추정기법(kernel densitiy estimation)을 적용하여 월별 지하수위 분포 특성을 도출하였다. 각 관측소별 관측수위 분포에 대해 백분위수(percentile)를 이용하여, 25%~100% 사이는 정상, 10%~25% 사이는 주의단계, 5%~10% 사이는 심한가뭄, 5% 이하는 매우심함으로 가뭄의 단계를 구분하였다. 각 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수위 값은 추정된 Kernel Density와 Quantile Function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최근 10일 평균수위를 현재의 수위로 설정하여 가뭄의 정도를 분류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관측소를 기점으로 역거리가중법(inverse distance weighting)을 통해 공간 분포를 시켰으며, 수문학적, 지질학적 동질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유역도 및 수문지질도를 중첩한 공간연산을 통해 전국 지하수 가뭄상태를 나타내는 지하수위 등급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실제 가뭄상황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언론기사를 통해 확인된 가뭄시기와 백문위수 25%이하로 분석된 지하수 가뭄시기를 ROC(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분석을 통해 비교 검증하였다.

  • PDF

Ultrastructural Localization of GABAergic Neuronal Components in the Dog Basilar Pons (개의 교핵내 GABA성 신경세포 성분의 미세구조적 위치관찰)

  • Lee, Hyun-Sook
    • Applied Microscopy
    • /
    • v.25 no.1
    • /
    • pp.65-74
    • /
    • 1995
  • An immunocytochemical study of GABA-positive neuronal elements was performed at the electron microscopic level to examine subcellular distribution of the inhibitory neurotransmitter in the dog basilar pons. Electron-dense reaction product was observed in neuronal somata and dendritic processes. One or more unlabeled axon terminals made asymmetric synaptic contacts with these GABAergic somatic and dendritic profiles. A large number of GABA-positive axon terminals were also observed. They made symmetric as well as asymmetric synaptic contacts with unlabeled dendritic profiles. In axo-axonic synapses, postsynaptic axon-like processes were consistently GABA-immunoreactive.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inhibitory local circuit neurons in the dog basilar pons play a major role in cerebro-ponto-cerebellar circuitry by integrating various afferent inputs and conveying them into the cerebellar cortex and the deep cerebellar nuclei.

  • PDF

Attributes and Elements of the AMBIDEXTER Nuclear Energy System Design Concept (AMBIDEXTER 원자력 에너지시스템 설계개념)

  • 오세기;정근모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1
    • /
    • pp.59-66
    • /
    • 1999
  • 원자력발전의 고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집적폐회로형 AMBIDEXTER 원자력시스템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복합시스템은 일체형 원자로를 중심으로 열/에너지 변환회로와 방사선/물질 수송회로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하므로 최소 방사선 위험부담 아래서 원자력에너지의 잇점을 극대화하는 설계이다. 특히 방사선/물질 수송회로로부터 분리된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에서 고부가가치 동위원소나 방사선원을 선별적으로 용이하게 추출, 활용할 수 있다. 원자로 계통은 얇고 큰 Hastelloy 합금 원자로용기 내부를 노심, 침니, 열교환기, 다운캄어 및 입구플레넘 콤파트먼트로 분할하여 배관이나 벨브관이 없으므로 기기파손으로 인한 방사성물질의 대량 외부 누출은 불가능하다. Th/233U 용융염핵연료의 핵물리 및 열수력학적 특성을 살려 AMBIDEXTER 노심의 핵적 자활성 설계에 융통성을 부여하는 변성핵연료주기를 도입하면 핵연료자원의 공급 안정화나 핵확산방지의 투명성 제고에 큰 효과가 있다. AMBIDEXTER 설계연구에 관련된 핵심기술들은 일찍이 미국 ORNL에서 시작한 MSR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되어 이미 대부분 상용화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추진 중인 250 MWth급 원형로 모듈의 개념개발에서는 주로 시스템 통합에 관한 문제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 PDF

배추흰나비 후뇌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1. 신경세포의 종류와 그 미세구조

  • 최월봉;정진웅;안의태;이봉희;서지은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8 no.2
    • /
    • pp.85-98
    • /
    • 198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of the structures of the tritocerebral neurons in butterfly (Pieris rapae Linne) from Insecta. We have summarized our morphological analyses as follows: In insecta, tritocerebrum of butterfly shows tentatively classified 6 neuronal types without any arrangement of cell layers. Type I cells with long oval or spindle shape are the largest out of 6 kinds. The nucleus contains a small amount of chromatin. In the large volume of cytoplasm there contained rich cell organelles except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 Type II cells are smaller than type I neurons, but their ultrastructural features are similar to type I neuron. They have well-developed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 Type III cells are spherical or triangular and smaller than type I neuron with spherical nuclei. Cell organelles are mostly prominent, esp., mitochondria, ribosomes and fine fibrils which are arranged in periphery of the cytoplasm.

  • PDF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Lingual Papillae and the Taste Buds of the Pre-and Postnatal Mice (마우스의 출생전 .후 발생단계에서 설유두와 미뢰에 대한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 신보철;정영화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182-202
    • /
    • 1994
  • 마우스(ICR mouse)의 줄생전 ·후 발생에 따른 설점막에서 설유두와 미뢰의 발생, 미뢰를 구성하는 미각세포들의 각 형별 미세구조적인 특징 및 미각세포와 신경종말과의 관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유곽유두는 임신 17일 심상유두와 엽상유두는 출생 후 0일, 사상유두는 출생후 1일에 출현하였으며, 유곽유두와 심상유두에서의 미뢰는 출생 후 0일, 엽상유두에서의 미뢰는 출생후 1일에 관찰되었다. 유곽유두에서는 유두벽 상피 뿐만 아니라 유두 표면상피에서도 성체에서와는 다르게 미뢰가 출현하였다. 출생후 7일과 15일에서 유곽유두의 미뢰에 대한 미세구조적 관찰에서 미각세포는 중간형 세포. 암세포, 명세포, 기저세포 및 주변세포로 구분되었다 중간형 세포는 암세포와 명세포의 중간정도의 전자밀도를 보이는 세포로서 세포질에서는 활면 및 조면소포체가 다수 관찰되었고. 세포질 및 핵질내에서 다소포성소체와 유사한 구조물들이 관찰되었다. 암세포는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보였고. 핵막은 깊은 함입을 보였다 이 세포의 핵주변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섬유상 물질, 조면소포체 및 폴리솜들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첨부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보이는 과립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명세포는 전자밀도가 낮아 밝게 보였고, 크고 등근 핵을 갖고 있었으며. 세포질내에서 활면소포체, 폴리솜 그리고 크고 작은 공포들이 다수, 조면소포체들은 소수 관찰되었다. 기저세포는 핵질이 풍부한 난원형의 핵을 갖고 있었으며, 전자밀도가 낮아 밝게 보였고, 유리리보솜들은 많았으나, 활면 및 조면소포체들은 소수 관찰되었다 주변세포는 비교적 긴 방추형의 세포로 얕은 핵막 함입들을 보였고, 대부분의 세포소기 관들은 미약하였으나 유리리보솜들은 다소 많이 관찰되었다. 출생후 7일에는 명세포, 15일에는 중간형 세포들이 다른 세포에 비하여 다수 출현하였다 출생후 미각세포들의 형태적 특징 및 세포소기 관들의 분화들로 미루어 암세포 주변세포 및 기저세포는 미성숙세포, 중간형 세포는 미각기능이 활발한 성숙한 세포 그리고 명세포는 퇴행성 세포로 생각된다.

  • PDF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Cholinergic Nerve Cells in the Medial Septal Nucelus and Diagonal Band of Broca of the Postnatal and Adult Rats (흰쥐 출생후 발생단계에 따른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대각 Broca대에서 콜린성 신경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고찬영;정영화홍영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2
    • /
    • pp.248-268
    • /
    • 1995
  • 출생 후 0일, 7일, 14일, 21일 그리고 성체의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조직과 세포의 분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출생 후 초기와 성체에서 신경세포의 세포질과 수상돌기에서 고루 ChAT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뇌 기저부의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발생에 따른 뇌 크기의 증대와 뇌 조직의 분화에 따라 점차 수적 증가를 보였다. 이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세포의 모양과 세포제의 장 · 단축의 비에 따라 6가지 형 즉 1) 월형 2) 난형, 3) 세장형, 4) 방추형. 5) 삼각형, 6) 다각형으로 분류되었다 전뇌 기저 핵에서 원형과 난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 높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감소된 반면, 세장형. 방추형. 삼각형 그리고 다각형 신경세포들의 출현율은 출생 후 0일에서는 낮았으나 성체로 되면서 증가하였다. 모든 핵들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체의 부피는 출생 후 0일에 996-1,252 Um3로 제일 작았으며, 내측중격핵과 수직대각 Broca대 그리고 수평대각 Broca대에서는 출생 후 21일에 각각 5,061, 5.701, 5,820 um3로 최대치를 보였다. 그후 성체로 되면서 모든 핵에서1,897-2,704 roms로 다시 감소하였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출생 후 21일된 흰쥐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은 핵의 핵질 일부와 핵막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와 조면소포체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로 미루어 출생 후 초기 발생단계에서 흰쥐 전뇌 기저부의 내측중격핵과 수직 및 수평대각 Broca대에서 ChAT 면역반응 신경세포들은 축삭과 수상돌기의 형성에 따라 세포의 형과 그 출현율 및 세포제의 크기에서 현저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