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추진전략잠수함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and SLBM Development (북한 SLBM 개발과 핵전략 : 해군력 건설 방향과 한미 해군협력)

  • Oh, Soon-Kun
    • Strategy21
    • /
    • s.41
    • /
    • pp.333-370
    • /
    • 2017
  • 북한의 SLBM 위협이 대한민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어 왔지만, 북의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이 보유한 진정한 위협에 대한 인식은 아직도 부족한 듯하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논의가 북 SLBM 기술의 성숙도와 완성시기 등 기술적 수준에 관심이 치우쳐져 있기 때문이다. 핵전략과 억제전략의 관점에서 본다면 북한의 SLBM 개발은 한미동맹의 제1격에 대한 완벽한 제2격 능력 보유에 그 핵심이 있다. 즉 향후 개발될 북한의 SLBM은 평양 김정은 정권의 생존을 보장할 직접적이고 핵심적인 전력이 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미 군사동맹과 북한의 현 군사력 균형을 깨뜨리고 앞으로 북의 군사도발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결과를 가지고 올 것이다. 북의 핵전략은 현재 확증보복(assured retaliation)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결국에는 전쟁에 사용될 전술적 핵무기 능력(war-fighting capability)을 갖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해군은 우리의 강점을 활용하여 적의 약점을 공략할 수 있는 상쇄전략(offset strategy)을 개발하여야 한다. 북한의 현 제한된 잠수함 기술력과 대잠작전 능력을 고려할 때 한국해군은 수중영역에서의 공세적 대잠전(offensive ASW) 개념을 보다 발전시켜야만 할 것이다. 이는 미 해군이 냉전기간 중 소련해군 핵추진전략잠수함(SSBN) 대응을 위해 발전시킨 전략대잠전(strategic ASW) 개념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미 해군은 소련 해군의 SSBN 을 억제하기 위해 공세적인 전략대잠전을 수행했고 그 결과 소련해군은 자국의 연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요새전략(bastion strategy)를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미 해군의 전략대잠전은 공격잠수함(SSN), 대잠초계기, 수중 탐지체계(SOSUS), 공격기뢰 등의 전력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북한 SLBM 에 대한 한국해군의 전략개념은 북의 핵전략(제 2 격능력)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해군력 건설은 대잠전 능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우리 해군은 장기적으로 핵추진잠수함을 비롯하여 성능이 향상된 대잠초계기, 한반도 해역을 중심으로 한 미 해군의 SOSUS 와 유사한 수중탐지장비 그리고 장시간 수중작전이 가능한 무인잠수정(UUV)을 도입해야만 한다. 단기적으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KAMD 체계에 SM-3 를 보유한 이지스함을 포함시켜, 북 SLBM 에 대한 요격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한미동맹은 북 핵전략의 핵심전력인 SLBM 개발에 대한 위협인식을 공유해야만 하다. 작전적 수준에서는 양국 해군 간 대잠전 및 대유도탄전 작전운용성 증대에 우선순위를 두고, 기존의 한미 간 연합작전능력 강화뿐 아니라 위기시를 대비하여 미일 간 구축되어 있는 대잠전 및 대유도탄전 능력도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Hypersonic Weapons and National Security (극초음속 무기체계의 개발 경쟁과 국가 안보의 함의)

  • Son, Hyun-Seung;Lee, Ho-il;Ko, Duk-Gon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1
    • /
    • pp.56-69
    • /
    • 2022
  • Various advanced countries are accelerating the competition in the development of hypersonic weapons. North Korea is on the verge of building a new submarine equipped with a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SLBM). A series of new guided missiles tests have continued due to political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Republic of Korea is planning to boost its military capabilities, which involves the development of nuclear-powered submarines, light aircraft carriers, and new guided missiles. The northeast Asian region continues to be tense amid military rivalr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Russia, and Japan. Accordingly, these countries' competition to develop weapons is also at the world's highest level.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functioning of a hypersonic weapons system conduct a technical analysis of its components. In addition, we analyze the direction of military development that the Korean military wants to pursue through the recently announced mid-term defense plan. We conclude by highlight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overcome the development of hypersonic weap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