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핵가족화현상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pecial theme 1 - 2014년 주택시장 전망과 시사점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201
    • /
    • pp.6-10
    • /
    • 2014
  • 2014년 주택시장은 초반에는 소폭 상승 하락을 거듭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역별, 규모별 차별화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초과공급이 상대적으로 심한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의 강세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규모별로는 핵가족화,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가구의 다운사이징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중소형 강세, 대형 약세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14년에는 매매시장 불안과 연관된 전세수요가 지속되면서 전세시장 불안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는 현대경제연구원의 '2014년 주택시장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주택시장 흐름과 주택 시장 주요 수급여건을 분석한 뒤 2014년 주택시장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Planning of Korean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Focused on Segwon Jeong's Improved Hanok Planning-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문화 계획 연구 -정세권의 개량한옥 계획을 대상으로-)

  • Choi, Ho-S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123-130
    • /
    • 2019
  • The Study aims at carrying out basic research on the future housing culture plan by the aging and low fertility phenomenon which is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Korean society faces today. In the future, the housing culture will be transformed into a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that can be coexisted with households with various members, rather than a housing type represented by apartments today, due to the phenomenon of nuclear family and the increase of one resid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the housing complex culture of Korea. It is not that the hosing complex culture has been imported from the western society today, but the Korean traditional housing complex's culture proposed by Korean first developer Segwon Jeong has already existed in Korea urban and architectural perspective. In the early 20th century, Segwon's improved Hanok planned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hanok and the modernization of hanok such as the standardization of hanok, moreo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e beginning of the Korean style housing complex by modernization of the inner space of hanok.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for Segwon's housing complex of improved hanok will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Korean-style convergence residential culture plan needed for our society in the future.

Problems of Family Education in an Industrialized Society and Alternatives(The case of Modern Korean Society) (산업사회(産業社會)에 있어서 가정교육상(家庭敎育上)의 문제(問題)와 그 대책방안(對策方案) (현대(現代) 한국사회(韓國社會)를 중심(中心)으로))

  • Lee, Kyung-June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6 no.2
    • /
    • pp.183-189
    • /
    • 1994
  • 1970년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로 인하여 사회구조와 가정구조가 크게 변화 되었다. 도시집중화로 인한 각종 공해 발생, 교통난, 인구이동의 문제를 비롯하여 그리고 핵가족화로 인한 가부장적 권위상실 및 가정교육부재, 청소년 비행등 수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히 핵가족화로 발생된 심각한 사회문제는 전통윤리의 붕괴와 가정교육의 부재현상을 발생 시켰다. 이와같은 문제발생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첫째, 핵가족화로 인해 발생한 가족규모의 축소현상으로 자녀들의 다면적 인격형성에 결손을 초래하여 성장후 독립심과 의지가 약하고 고집이 세며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되어 사회생활에 부적응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다면적 인간관계의 결여로 상호 협조하고 사랑을 교환한 경험 부족과 외동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자녀의 욕구에만 집중되어 자녀종속적인 태도가 크게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둘째는 산업화 사회에서의 부부동시 사회참여가 자녀양육에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이 결여되어 모성실조를 겪게 된 문제를 들 수 있다. 어머니와 자녀간의 애착형성이 결여 됨으로 발생되는 문제는 지적 정체현상과 정서발달의 장애가 주 원인이 되어 감정 통제력이 약해서 공격적 행동이나 반 사회적 행동으로 확대되어 청소년문제 발생의 원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있다. 세째로 산업화사회와 경쟁력 조장을 들 수 있다. 산업사회를 개방사회, 경재력사회 혹은 능력사회라하여 고학력위주의 선발형태가 입시경쟁을 부추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청소년들과 학부모들이 상위 지향적인 심리가 작용하여 자녀들의 입시경쟁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인간교육 즉 가정교육을 외면하여 반도덕적, 반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게 하였다. 특히 전통적 가정윤리가 붕괴되어 부모에 대한 효관의 약화, 부부간의 애정약화 및 물질지향적인 사고가 이혼률을 증가시켜 가정붕괴를 가져왔다. 이상에서 논의된 자녀교육의 부재가 자녀들의 지적 정서적 문제로 확대되어 산업화사회의 모순점을 노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연구자가 제시하는 방안은 훌륭한 가정교육을 위해서 우선되어야 하는것은 부모자신의 인격적 개인완성을 제안하였다. 인격의 완성은 양심과 행동이 일체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다음은 서로 위하여 사는 삶을 영위하는 인격체가 되어 양심의 법에 따르는 삶, 타인을 위하여 사는 삶을 자녀들에게 보여줌으로서 반두라의 모델링 교육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과 같은 암기위주의 경쟁교육이 아니라 타고난 잠재성 개발에 주력하는 교육으로,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는 창조적 산 교육장을 마련하여 주고 또한 그것을 뒷바침하는 가정윤리교육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이 시대가 절실히 요구하는 바람직한 교육이라 하겠다.

  • PDF

Estimating water demand in apartment buildings for the economic design of water supply system (아파트 급수설비의 적정설계를 위한 급수량 산정)

  • 김성식;김지현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7 no.5
    • /
    • pp.444-455
    • /
    • 1998
  • 1960년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에 따라 도시의 인구 집중과 핵가족화 현상으로 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공동주택을 짧은 기간에 대량으로 공급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 결과 1995년 국내 통계에 의하면 도시주택 유형 중 아파트가 48.1%를 차지할 만큼 대표적인 공동주거 형태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가용택지의 부족은 이후로도 단독주택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건설의 중대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f Family Relationship Maximizing Strategy using Ubiquitous Virtual Space (유비쿼터스 가상공간을 이용한 가족유대감 극대화 방안 연구)

  • Lee, Gee-Won;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156-158
    • /
    • 2011
  • 최근 핵가족 및 1인 가구 형태의 주거문화 가속화로 인해 독거노인 건강 및 복지문제, 맞벌이자녀의 양육문제 등이 자연스럽게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원격지에 떨어져 사는 가족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 기회 상실로 가족 유대감이 점차 저하되면서 뿌리 깊게 이어진 우리나라의 가족 중심문화의 해체현상이 급속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문제 해소를 위해 광대역 통신망 및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원격지 사이의 공간을 하나로 연결하는 가상공간을 구축하여 장소, 시간에 구애 없이 멀리 떨어져 사는 가족 간에 실제 대면하듯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정서적 교감을 나눌 수 있는 방안 연구하고 제안하였다. 유비쿼터스 환경은 인간사회에 큰 영향을 줄 것이며, 다양한 기술이 발전하여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3차원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3차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가족 간의 의사소통과 유대감을 높일 수 있도록 가상공간을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of the funeral culture according to an aging society between Korea and Japan (고령화 사회에 따른 한일 장례문화 비교 연구)

  • Hwang, Kyu-Sung;Bae, Ho-Jung;Choi, Young-Eun;Kim, Jeong-La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 no.1
    • /
    • pp.69-72
    • /
    • 2015
  • Abstract Social pathologic phenomenon such as low fertility, nuclear family and one person households seems to be on the rise as Korea moves towards being an aging society. We think many trouble is expected to be exit as aging society progresses, but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an aging society, especially funeral culture. Appearance of the aging society in Korea similarly follows the course of Japan. So we studied about similar funeral culture of aging society in Japan and prepared for the funeral culture in Korea. This study will suggest a gaze on realistic objective point of view, through the way to illustrate exactly the concept of "funeral for family (家族葬)" among Japanese funeral culture(Syukacheu(終活), Chyokusou(直葬) and funeral for family(家族葬)) and will be expected to be an important guide for leading the funeral culture in Korea occur due to aging in future. And this study will give a chance to ruminate on our's funeral attitude about the deceased's dignity.

Design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ing Home Robot (홈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도우미 시스템 설계)

  • Choi, Jae-Seong;Kim, Dong-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81-388
    • /
    • 2004
  • 가까운 미래의 가정에서는 여러 기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하여 사람과 늘기도 하고 집도 지키는 방범활동도 수행하는 등 공상과학영화 속의 일들이 현실로 다가올 것이다.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어린이들이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졌으며 이에 불안을 느낀 학부모들은 자녀들을 학원 등의 사설교육기관에 맡겨 사교육비의 증가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부모와 떨어져 있는 동안의 어린이의 생활을 보여주거나 학습을 도와주는 로봇이 가정에 있다면 부모들은 안심하고 직장생활에 더욱 충실하게 될 것이며 사교육비의 감소현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로봇이 서비스하게 될 기능들 중에 초등학교 어린이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설문을 통해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홈 로봇과 사용자간의 메뉴를 크게 일정관리, 학습관리, 학습, 메신저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로 세부 서비스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로봇을 활용한 학습 도우미 시스템의 설계는 앞으로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조하게 될 로봇산업의 발달과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 PDF

Healing Interior Design for Health of Everyone (건강한 삶을 위한 힐링 실내디자인)

  • Kim, S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
    • v.13 no.2
    • /
    • pp.53-60
    • /
    • 2013
  • 세계 경제가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갖게 되었고, 의학기술의 발달로 건강한 고령자의 증가가 나타나는 사회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65세 이상의 건강한 고령인구의 증가 추세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현실화 되고 있다. 또 급속한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가족 내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 단독세대가 급증함에 따라 해당 관련 복지의 구체적인 정책 실천방향에 대한 요구와 신체적, 사회 심리적 특성에 따른 힐링 환경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개념 및 고찰을 통해 힐링 환경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건강한 주거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 있어서의 공간에 의한 인류 건강증진은 1.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스펙트럼 상에 놓여 있으며, 한편은 최상의 건강 상태이며 다른 한편은 질병에 의한 사망이라는 개념에 의미를 둔다. 2. 병, 의학 전문가 관점에서 건강을 증진시키는 과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새로운 치료적 환경에 대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주지하는 입장에서, 안녕(healing)을 양성하는 공간 특성을 도출 개념이다. 3.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역동적 건강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건강은 단순히 무 질병의 개념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문화적 에다가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는 개념을 적용한다. 4. 특히, 병, 의학 전문가 관점으로 인해 간과되었던 대상자의 공간으로부터 얻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요구들을 반영하는 안녕(healing) 개념의 힐링 철학의 개념을 갖는다.

A study on the Rasing-Anxiety of Parenting of children in school age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낮은 자기분화수준을 가진 학령기 아동 어머니의 양육불안 경험에 관한 연구)

  • Lee, Won-Seon;Hong, Sang-Uk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7 no.2
    • /
    • pp.31-42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examinations by selecting mothers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and experiencing anxiety about parenting among mothers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and analyzed them around categories and analyzed them into general structural techniques. As a current period task, it is the cause of the rasing-anxiety of parenthood in school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due to nuclear familyization, and by generalizing the family's problems and experiences of parenting insolvency into categories, it is the reason for recognizing problems such as the child's social response and emotional support and the cause of the mother's low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and anxiety, and setting the correct direction for parenting.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of Balconies on Flame Acceleration in Multi-unit Dwellings (공동주택의 발코니 유·무가 화염분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ang, Youn-G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2
    • /
    • pp.1-6
    • /
    • 2016
  • We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a new era of high-technology. Due to movements in population towards certain preferred areas, caused by material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growth has occurredn beyond the metropoli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alleda "megalopolis." This development has changed the culture of housing, notably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e buildings, and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shopping centers), and has generally enlarged the scale of the faciliti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family households, - notably ones including only the nuclear family, there has been a growing overpopulation problem, with apartments and urban housing developments expanding at rates beyond institutional safety regula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henomenon of fire spreading in apartment buildings through actual apartment fire case studies, including that of the MunjonPonpuri apartment building. It was found that the speed at which the fire spreads is lower in apartments without than in those with an extended balcony. Based on the findings from case studies and the test results, we propose a series of safety countermeasures and responses for apartment f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