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킹 대응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35초

클라우드 환경의 서버 워크로드 보안 동향

  • 박문형;김대협;한현상;이용준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44
    • /
    • 2021
  • 재택근무 확대와 온라인 수업 증가로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과 달리 클라우드의 환경은 자원의 확장 및 재구성이 신속하기 때문에 복잡도가 증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급격히 전환되고 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과 이를 대응하기 위한 최근 위협관리 방안에 대해 분석하고, 특히 데브옵스와 같은 컨테이너 환경에서의 서버 워크로드 보안 동향과 수명주기 및 대응 자동화 등에 대한 구축 방향 관련 클라우드 환경 보안 동향을 연구한다.

메모리 해킹 공격에 강건한 사용자 인증수단 고찰

  • 이한욱;신휴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7-75
    • /
    • 2013
  • 최근 인터넷뱅킹 해킹 기술과 악성코드 배포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공격형태도 더 정교해짐에 따라 사용자 PC에 설치된 보안 도구만으로는 더 이상 전자금융 서비스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메모리 해킹 악성코드에 의한 불법 계좌이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개정된 전자금융 거래법에서는 고객의 PC가 해킹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로 인해 발생한 금융 사고에 대한 손해 배상을 금융회사가 우선 책임지게 되어 있어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은 기 발생한 메모리 해킹 악성코드에 의한 인터넷뱅킹 사고로부터 파생될 수 있는 공격유형을 도출하고 사용자 인증수단이 해당 공격유형에 어떤 취약점을 노출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사용자 PC에 메모리 해킹 악성코드가 감염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안전하게 전자금융 서비스를 완료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수단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사이버전 피해 평가를 위한 사이버 공격의 분류 체계 제시 (A Proposal of Classification System on Cyber Attack for Damage Assessment of Cyber Warfare)

  • 박진호;김용현;김동화;신동규;신동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35-238
    • /
    • 2017
  • 최근에는 랜섬웨어의 일종인 '워너크라이' 등의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그 수법도 사용자가 파일에 접근하면 감염되던 형태에서 인터넷에 접속되기만 하면 감염되는 형태로 진화하면서 사이버전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는 방어 및 회복 방책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증폭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방어, 회복 등의 대응 과정은 공격의 피해를 평가하여 결과로 산출된 피해 정도를 전제 조건으로 가지기 때문에 먼저 해킹 공격의 피해를 평가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전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해킹 공격 및 위협의 피해를 공격의 종류별로 평가하기 위해, 피해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지의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하여 총 3가지 Interruption, Modification, Interception로 구성된 해킹 공격의 분류 체계를 제시한다.

네트워크 보안 정책 정보 모델을 위한 패킷 헤더 필드의 변수 정의 (The Variable Definition of Packet Header Fields for Network Security Policy Information Model)

  • 김건량;김숙연;김기영;장종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021-1024
    • /
    • 2001
  • 침입 및 해킹의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 침입 탐지 및 해킹 대응을 위한 네트워크 보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책 서버를 구축하는 솔루션이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인 정책 정보 모델은 IETF의 정책 프레임워크 워킹 그룹과 DMTF의 CIM 활동을 통해 활발히 표준화가 되고 있다. 이러한 표준들은 그 동안 QoS를 위해 대부분 사용되었으나 우리는 이러한 표준을 네트워크 보안 정책 시스템에 맞게 확장하여 네트워크 보안 정책 정보 모델을 구축한다. 본 논문은 패킷 헤더 필드들을 변수화하고 네트워크 보안 정책 정보 모델에서 침입 탐지 및 해킹 대응에 대한 정책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네트워크 해킹 공격 대응을 위한 IP Traceback 기술

  • 이형우
    • 정보와 통신
    • /
    • 제21권9호
    • /
    • pp.120-13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DDoS/DRDoS 공격과 같이 Zombie 및 Reflector 기반의 네트워크 기반 해킹 공격에 대해 스푸핑된 공격 패킷의 근원지 IP를 역추적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제시된 IP 역추적 기법은 크게 패킷을 중심으로 마킹 방법론을 사용한 기법과 ICMP 프로토콜과 같은 프로토콜 등에 대한 변형을 통해 근원지 패킷의 전달 경로 정보를 관리하는 기법 및 네트워크 망 구조 측면에서의 관리 프로토콜을 응용한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기법은 현재의 인터넷 환경에서 적용하였을 경우 DDoS 공격에 대해 장단점을 보이고 있으며 적용 방법 및 해킹 공격의 특성에 따라서 각기 다른 성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IP 역추적 방법론에 대해 고찰과 함께 각 기법을 비교하고 시뮬레이션 방법 등에 대해 제시하며 앞으로 급속도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IPv6 기반의 네트워크 공격에 대응하는 방법 등 새로운 역추적 기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기종간 침입탐지 정보에 대한 웹기반 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rusion Detection Data Web-based Management System on Heterogeneous Environments)

  • 김은수;김석훈;송정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65-74
    • /
    • 2005
  • 최근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해킹사고도 급증하고 있으며 그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기업이 각종 보안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해킹에 대응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보안장비가 독자적인 이기종간의 기술을 적용해 제품간의 연동과 보안요소만으로 대처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이를 운용하는데 엄청난 조직, 장비, 인력 소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기종간 침입탐지 정보에 대한 보안요소를 통합하여 해킹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웹 기반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IP 카메라 보안의 문제점 분석 및 보완 방안 연구 (A Study on IP Camera Security Issues and Mitigation Strategies)

  • 신승진;박정흠;이상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3호
    • /
    • pp.111-118
    • /
    • 2023
  • 세계적으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으며 CCTV, IP 카메라 해킹과 같은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공격도 증가하고 있다. 유튜브나 SNS, 다크웹과 같은 공간에서 IP 카메라 해킹 방법에 대해 검색해보면 손쉽게 자료를 구할 수 있고, 해킹 프로그램 또한 판매되고 있다. 해킹 프로그램이 이용하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IP 카메라를 사용하면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거나 특수문자와 영어 대소문자, 숫자를 포함한 복잡한 암호를 사용하더라도 쉽게 해킹 피해를 본다. 뉴스나 언론 매체를 통해 IP 카메라 보안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으나 해킹 사건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해킹 피해를 막기 위하여 해킹 사건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먼저 IP 카메라 해킹 사건의 원인으로 취약한 계정 설정과 IP 카메라의 웹 서버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킹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으로 IP 카메라에 접속하면 알림이 오도록 하는 기능과 접속 기록을 저장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이 있다면 피해 사실을 즉각 알아차릴 수 있고, 범인을 검거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P 카메라에 접속 알림 기능과 로깅 기능을 사용하여 해킹으로부터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응방안 (The countermeasure against recent cyber terrors)

  • 정기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9-96
    • /
    • 2012
  •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도래한 정보사회는 국민생활에 질적인 향상을 가져다주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순기능 이면에는 해킹 바이러스유포 등을 이용한 사이버테러와 같은 역기능 또한 심각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들어 대규모 해킹사건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인터넷업체의 대규모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금융전산망이 마비돼 고객들이 큰 피해를 입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또 북한에 의한 해킹도 빈번하다. 북한에 의한 해킹은 우리 사회를 큰 혼란에 빠뜨릴 수 있으며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져오는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사이버테러 동향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네트워크 침입자 대응을 위한 ICMP 기반의 역추적 시스템 (Traceback System based on ICMP for Network Intruder Response)

  • 이직수;이성현;이재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93-897
    • /
    • 2005
  • 최근의 정보보호 환경에서는 자신의 관리 도메인 내로 침입하게 되는 공격을 어떻게 잘 탐지 할 것인가와 탐지된 공격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자신의 도메인을 잘 보호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 있다. 따라서 탐지된 침입의 공격자에 대한 대응도 자신의 도메인 경계에서 해당 트래픽을 차단하는 수동적인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상태이고, 이 경우 자신의 도메인에서 파악한 침입자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도메인 입구에서만 해당 트래픽을 차단함으로써 침입자는 자유로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공격 기술이나 공격 루트를 이용한 제2, 제3의 공격이 이루어 질수 있다. 반면 인터넷을 이용한 경제 활동 및 그 액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공격으로 입게 되는 피해는 점차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해킹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며, 능동적인 해킹 방어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술로 해커의 실제 위치를 추적하는 역추적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역추적 기술들은 인터넷이 보유한 다양성을 극복하지 못하여 현재의 인터넷 환경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킹으로 판단되는 침입에 대하여 라우터의 구조적 변경 없이 효율적으로 역추적 하기 위해서 ICMP 역추적 메시지(ICMP Traceback Message)를 이용한 ICMP 기반의 역추적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실시간 침입자 행동양식 파악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Real Time Honeypot System for Collecting the Information of Hacker Activity)

  • 서동일;최양서;이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941-1944
    • /
    • 2003
  • 인터넷이 생활의 한 부분이 되면서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각종 사이버 범죄의 발생 건수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사이버 범죄에 대응함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는 해커가 어떤 기술을 이용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해킹을 진행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해커들은 해킹에 성공하기 위해 고도의 해킹 기법과 새로운 취약점을 이용하고 있는 반면, 해킹 방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보안 강화 시스템들은 새로운 방식을 이용하는 해킹 시도를 효율적으로 방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해커의 행동 양식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침입유도 시스템(Honeypot)이다. 그러나 기존의 침입유도 시스템은 해커의 행동 양식 파악에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여 실시간 정보분석이 용이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커의 행동양식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허니넷(Honeynet) 형태의 침입자 행동양식 파악 시스템(Honeypot)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