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충 관리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ethods for Pest Control of Tropical Plants in the Greenhouse: Application of Natural and Auxiliary Plants Mix (온실 내 천적을 통한 해충 관리연구 - Acalypha hispida 등 8종의 관상식물을 중심으로)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9-49
    • /
    • 2019
  • 국립수목원은 열대유용식물의 BT산업 원천소재 확보 제공을 목적으로 열대자원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열대 및 아열대 전시원을 관리하고 있다. 온실의 특성상 일반 재배환경과는 다르게 여러 종류의 식물의 혼합 식재되어 있는 특성이 있어서 농업환경과 달리 해충의 급격한 돌발에 의한 온실 전체적인 피해의 위험성이 적은 반면에 안정된 환경으로 인해서 해충의 취약한 몇몇 수목의 경우 해충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 본 실험은 여러 종류의 식물이 혼재되어 있는 수목 온실 내에서 생물적 방제를 이용하여 주요 해충류인 진딧물류 및 가루 깍지벌레, 잎응애류 방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되었다. 진딧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열대식물 5종(Acalypha hispida, Justicia gendarussa, Hamelia patens, Ficus petersii, Hibiscus rosa-sinensis)을 중심으로 천적 방사 및 Banker plant 설치를 진행했다. 최초 조사일인 2015년 3월 10일, Tropical 1에 진딧물류의 발생이 많이 확인되어 포식성 천적인 미끌애꽃노린재를 투입했다. Tropical 2는 2015년 3월 17일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선발된 Banker plant를 적용하여 방제 되었다. 철모깍지벌레가 발견된 열대식물 3종(Sanchezia parvibracteata, Brillantaisia lamium, Pseuderanthemum atropurpureum)을 중심으로 적용 천적으로 어리줄풀잠자리, 애홍점박이 무당벌레와 깍지무당벌레를 선별했다. 천적을 대상으로 철모깍지벌레에 대한 포식능력을 조사했으며 애홍점박이 무당벌레가 어리줄풀잠자리 보다 2.8배, 깍지무당벌레보다 2.9배 포식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잎응애류가 발견된 열대식물 2종(Acalypha wilkesiana, Erythrina caffra)은 천적으로 사막이리응애와 칠레이리응애를 적용하였다. 괭이밥응애 성충과 알의 포식력을 검증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괭이밥응애를 먹이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괭이밥, 괭이밥응애, 사막이리응애를 효과적으로 조합한 응애류 방제를 위한 새로운 Banker plant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열대온실의 열대식물 관리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 방제의 관리 자료로 이용되어 새로이 온실을 조성하는 경우 식재기반조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추후 열대식물의 자원 식물로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튼튼한 모를 기릅시다! - 5월의 벼농사 관리대책

  • 최귀문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5 no.5
    • /
    • pp.26-35
    • /
    • 1984
  • 풍년을 맞이하기 위하여는 모 기르기부터 시작된다. $\ulcorner$모 농사가 반농사$\lrcorner 라는 말이 있듯이 안전 다수확을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모를 튼튼히 기르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므로 모 기르기 작업중 한 가지라도 소홀함이 없이 정성을 다해서 비닐 벗기기, 모 굳히기, 못자리 거름주기, 제때 모내기 및 모도열병, 뜸묘와 모잘록병, 못자리 말기부터 본논초기의 저온성해충, 바이러스병을 옮기는 해충 등을 철저히 방제하여 튼튼한 모를 본논에 심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 PDF

도태품종 고집은 손해만 초래

  • 문종열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8 no.1
    • /
    • pp.61-67
    • /
    • 1987
  • 과수농사를 잘 하려면 식물생리, 토양의 이$\cdot$화학적 성질, 비료의 성질과 작용, 병$\cdot$해충의 생활사, 농약, 유통등의 지식을 갖추어 조화있게 조절할 수 있어야 최소의 경비로 최대의 소득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지식이 없이 다른 사람들을 따라서 농사를 짓다보면 너무나 몰라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수농사에 성공을 하려면 수시로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실물을 가지고 농촌지도소, 농촌진흥청 또는 농과대학에 가서 완전한 해답을 얻고 그 해답을 기록하여 두는 습관을 길러 지식을 축적한다면 실패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과수농사 성공의 비결은 과종과 품종의 선택, 병$\cdot$해충방지, 알맞은 토양관리, 알맞은 전정, 생산물의 상품화 적기판매 등이 잘 되어야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

  • PDF

Studies on the Insect Pests of Barley in Korea (한국(韓國)의 보리해충(害虫)에 관(關)한 연구(硏究))

  • Kwon, Yong Jung;An, Seung Lak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3
    • /
    • pp.129-150
    • /
    • 1985
  •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provide a systematic approach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insect pest management program of barley in Korea. Some ecological surveys on insect pests of barley have been undertaken at the field of Experimental Station, Ky$\check{o}$ngbuk Provincial Office of Rural Development as a fixed point survey area, and at 23 localities for round survey throughout southern and central Korea from 1983 to 1984. Previously known insects injurious to barley in Korea were revised and the population dynamics of 10 dominant harmful spec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ither 24 localities or 25 cultivars respectively by using several sampling methods of net sweeping, black light traps, yellow water pan traps and visual counting. As the results, a total of 94 species belonging to 77 genera under 32 families are known to be injurious to barley, among them 20 species are newly added here. In the population density level, the dominant species were disclosed as Laodelphax striatellus (43.1 %), Macrosiphum avenae(27.0 %), Rhopalosiphum padi(6.5 %), R. maidis(5.4 %), Psammolettix strialus(2.7 %), Chlorops oryzae(2.2 %), Agromyza albipennis(2.1 %) Phyllotreta nemorum(1.4 %), Chaetoenema cylindrica(1.0 %), Dolycoris baccarum(1.0 %) in order. For the general abundance of major insect pests, it was highest in the cultivar P'aldal whereas lowest in Milyang #22. There were tendencies that Psammotettix striatus, Dolycoris baccarum, Phyllotreta nemorum and Chaetocnema cylindrica represented a maximum increase in the beginning of June, while Chlorops oryzae and Agromyza albipennis showed in the middle of May but aphids were in the end of May. In the dominance of natural enemies, Nabis stenoferus occupied 21.4 % and Propylaea japonica 9.6 %.

  • PDF

Exotic Pest, Hunting Billbug, 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 (Coleoptera, Dryophthoridae) in Korea (외래해충 잔디왕바구미(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의 발생 보고)

  • Yang, Seung-Weon;Shim, Gyu-Yul;Kim, Jeong-Ho;Hong, Ki-Jeong;Jeong, Young-Gi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3 no.2
    • /
    • pp.265-270
    • /
    • 2009
  • In October 2009, hunting billbug, Sphenophorus venatus vestitus Chittenden, was first found on zoysiagrass at Yongweon country club in Jinhae. The adult was 6~11mm long and dark brown to black color. The pronotum is coarsely punctate except for a "Y"-shaped area in the center and a parenthesis-like marking on each side. This pattern is characteristic of the species. This billbug feeds on warm-season grasses like zoysiagrass and Burmudagrass. As the hunting billbug is one of the plant quarantine pests in Korea, the National Plant Quarantine Service surveyed additional occurrence for neighboring golf courses and some turfgrass farms, but not found yet.

농업기술 - 벼 이화명나방 피해양상과 관리요령

  • Baek, Chae-Hun
    • 농업기술회보
    • /
    • v.49 no.3
    • /
    • pp.36-36
    • /
    • 2012
  • 최근 벼 재배지역의 일부 품종에서 이화명나방에 의한 피해양상 및 피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발생량과 피해가 적었던 이화명나방이 벼 품종 및 재배환경의 변화로 일부지역에서 발생량 및 피해가 많아 문제해충으로 대두되고 있어 각별한 관리대책이 요구된다.

  • PDF

Effects of Biodiversity and Pests Insects Occurrence on Surface Management Methods in Persimmon Orchards (지표면 관리방법이 감 해충 발생과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 Choi, Duck-Soo;Kim, Do-Ik;Ko, Sug-Ju;Kang, Beom-Ryong;Park, Jong-Dae;Choi, Kyeong-Ju;Kim, Sang-Soo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1 no.4
    • /
    • pp.669-684
    • /
    • 201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odiversity and pest insect occurrence by soil surface management methods such as green manure crop, grass planting and clean-tilled crops on persimmon orchards. Green manure crop pests was investigated 7 species including Hypera postica, Laodephax striatellus, Megoura crassicauda, Aphis craccivora, Nephotettix cincticeps, Liriomyza sp., black spot and the most dangerous pest was H. postica but it did not damaged persimmon tree. Amount of pests and natural enemies dwelling soil covering plant was not difference between organic farming (hairy vetch planting) and conventional farming (natural weed). Homona magnanima occurred three times a year but it rarely damaged leaf of persimmon. Total adult moth catched by pheromone trap was 1,261 organic farm, 1,003 conventional farm and 621 clean-tilled farm. Grapholita molesta occurred four times a year but it also rarely damaged twig of persimmon. Number of collected invertebrate species and individuals on soil sample was follow as : 838 individuals of 22 species at organic farm, 421 individuals of 17 species at conventional farm and 381 individuals of 15 species at clean-tilled farm. The richness index was lined up by organic farm 3.12> conventional farm 2.65> clean-tilled farm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