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초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7초

해초 혼합 기능성 희비의 작물재배 효과 (Agronomic Effect of High Quality Compost mixed with Brown Seaweed for Environmentally Benign Organic Farming)

  • 손상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09
    • /
    • 2002
  • 유기농업 농가에서 사용하는 발효퇴비에 작물보호제와 생육촉진의 효과가 있다는 해초류를 0.05%, 0.25%, 1%, 5%혼합하여 그 기능성과 혼합비율을 구명하고자 배추(불암 3호)를 대상으로 작물재배 시험을 대형 lysimeter에서 실시하였다. 갈색해초를 혼합한 발효퇴비에 대한 작물생육, 수량 및 비타민 C함량, 당도 및 질산염 함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엽장은 해초를 혼합하지 많은 퇴비단독시용구에 비해 해초를 시용하였을 때 점차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 배추 생육촉진에 크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폭도 해초류 첨가구가 퇴비단독구에 비해 훨씬 크게 나타났다. 구폭도 해초 첨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해초 0.25%혼합구에서 2.07 cm을 나타내 가장 컸으며, 이후에는 해초 혼합비율이 높아도 구폭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엽수 역시 0.25%의 해초혼합구에서 가장 높았다. 2. 해초를 혼합한 퇴비시용은 배추 생체 중 증가에 크게 영향하여 해초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생체중이 증가하였고 외부엽의 중륵무게에도 긍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3. 엽록소 함량은 퇴비단독구에 비해 해초처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해초혼합비율 증가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증가폭은 14%내외에 그쳐 그리 크지 않았다. 해초류 첨가는 배추의 엽신의 당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중륵의 당도에는 해초 0.05%혼합구을 제외하고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4. 해초류 첨가는 비타민C 함량에서 엽신과 중륵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타민C 함량이 해초 1%혼합구 처리시 엽신에서 가장 많았고, 중륵의 비타민C 함량은 0.05%혼합구에서 가장 높았다. 5. 퇴비단독구의 질산염 함량은 중륵에서 5,138ppm이었다가, 해초 0.05%혼합구에서 2,765ppm으로 크게 낮아졌으며, 해초 1%혼합구에서 536ppm수준으로 크게 낮아져 해초류를 첨가 시비처리구에서의 질산염 저감효과가 뚜렷히 나타났다. 따라서 해초를 혼합한 퇴비는 향후 채소재배농가에게 질산염 저감용 기능성 퇴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남해 연수연안의 거머리말 해초지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징

  • 오현주;이상용;김정배;문성용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83-284
    • /
    • 2006
  • 해초지와 해초가 없는 수괴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해황과 해초지의 규모가 다른 가막만의 원포연안과 여자만의 백일도 주변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을 채집하고, 수온, 염분,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을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해초의 유무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거머리말 해초지와 조사 시기에 따른 수온, 염분,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원포의 수온은 백일도보다 낮았으나, 염분은 유의하게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종조성은 조사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현존량은 해초지에서 낮게 나타났다.

  • PDF

잘피(Zostera marina L.)에 부착하는 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 I. 현존량

  • 정미희;최청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36-237
    • /
    • 2002
  • 해초생태계는 해초 잎 및 지하경, 그리고 뿌리등 해초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여러 생물들: 조류와 무척추동물, 해초지를 산란장이나 생육장으로 삼고 있는 어류, 그리고, 식물 및 동물 플랑크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부착조류는 해초생태계 내에서 생산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일 뿐만이 아니라, 종 다양성을 증가시키며, 무척추동물의 먹이 공급의 기본적 요소이다 (McRoy and Helfferich, 1977; Coleman and Burkholder, 1995). (중략)

  • PDF

열대성 해초지의 어류군집 I. 종조성 및 양적변동

  • 곽석남;허성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49-550
    • /
    • 2001
  • 해초생태계는 해양의 생태계 중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해역 중의 하나로 최근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해초는 잘 발달되어 있는 뿌리를 지니고 있으며, 흔히, 온대와 열대의 연안해역에 밀생하여 무성한 해초지 (seagrass meadow)를 형성하고 있다. 본 조사해역인 호주 동북부, Magnetic Island주변에 위치한 Cockle Bay는 많은 종류의 열대성 해초가 연안을 따라서 많이 밀생하고 있어서 생산성이 매우 높고, 자치어를 비롯한 많은 해양생물들이 큰 생물들로부터 보호되고 있으며, 바다거북류 및 듀우공들의 좋은 먹이공급처의 역할을 하고 있다. (중략)

  • PDF

해초지와 주변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eiobenthic Faunal Communities in Seagrass Bed and Adjacent Bare Sediment)

  • 민원기;김동성;최청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03
  • 본 연구는 해초지(seagrass bed)와 그 주변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특성을 비교하고자 1999년 2월부터 7월까지 매월 남해안 돌산도 율림의 Zostera marina로 구성된 해초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고, 1999년 5월에 서해안 백령도 두무진의 Zostera caespitosa 해초지와 어청도 내항의 Zostera marina 해초지를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조사지역에서 해초지와 해초의 서식이 없는 비해초지(Non-seagrass bed)로 구분하여 채집하였다. 총 13개의 중형 저서동물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모든 정점에서 선충류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의 주요 우점 동물군은 저서유공충류, 환형동물류 그리고 저서성 요각류로 나타났다. 서식밀도는 6월에 돌산도 율림의 해초지 정점에서 7,244 개체/10 cm2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월에 백령도의 비해초지 정점에서 438개체/10$\textrm{cm}^2$로 가장 낮은 밀도를 보였다. 중형저서동 물의 퇴적물내 수직분포는 해초지 정점과 비해초지 정점 모두, 표층 2cm이내에서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냈으며. 그 이하에서는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전체 중형저서동물 크기별 분포는 해초지 정점과 비해초지 정점 모두, 0.125 mm-0.25 mm 크기의 개체가 가장 많았다. 퇴적불의 입도는 S(sand)에서 sM(sandy mud)까지 나타나며 , 평균 입도 조성은 해초지가 비해초지에 비해 더 세립한 경향을 나타냈다. 각 시기별 정점별로 총 개체 서식밀도, 정점별 출현분류군 수 그리고 주요 우점종의 해초지 선호성 등의 항목을 대상으로 ANOVA 검정을 실시한 결과, 해초지는 비해초지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P<0.05), 해초지가 중형저서동물의 서식지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바다대벌레류의 종조성

  • 윤성규;변성혜;곽석남;허성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89-490
    • /
    • 2001
  • 해초가 밀생하기에 알맞은 연안 환경을 지닌 우리나라의 경우, 해초생태계에 관한 연구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부진하였으나, 최근 들어 제주도와 광양만 잘피밭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해초의 형태 및 생활사 등에 관한 연구(Kong, 1981, 1982), 해초지 어류 군집에 관한 연구(Huh, 1986; Go and Cho, 1997a; Huh md Kwak, 1997d), 해초지에 서식하는 어류의 먹이습성에 관한 연구(Go et al., 1997b; Huh and Kwak,1997a, b, c,1998a, b, c, d, e, f), 저서생물에 관한 연구(Yun et al., 1997), 새우류에 관한 연구(Huh and An, 1997), 게류에 관한 연구(Huh and An, 1998), 부착해조류에 관한 연구(Huh et al., 1998)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중략)

  • PDF

Zostera속 해초에 부착하는 규조류의 부착 특성과 해초 종별 군집 변화 (Attaching Nature and Community Variation of Epiphytic Diatoms on Leaf of Zostera spp.)

  • 정미희;윤석현;윤원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84-191
    • /
    • 2010
  • 부착규조류는 초기 부착 생물로서 부착 천이과정에서 부착성 박테리아 층 위 해초 잎 표면 맨 아래 층에 부착함으로써 잎 표면의 미세 지형을 결정하고 다른 부착 생물에게 알맞은 부착환경을 제공해 주는 중요 생물로 부착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부착 생물 생태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부착규조류가 해초에 부착 서식하는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1) 해초 잎 세포에 평행하게 또는 세포 변형을 통한 부착 2) 해초 잎 끝부분에 주로 밀집하여 서식 3) 잎의 끝에서 2차 부착 규조류인 줄기를 이용한 규조류보다 1차 부착규조류인 타원형의 규조류 밀집 지역이 많은 것이었다. 또한, 해초의 종별 규조류의 부착 군집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길이와 너비의 차이가 많으나 세포의 모양이나 크기가 비슷한 Z. marina와 Z. japonica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의 차이가 컸던 반면 길이와 너비는 비슷하나 세포의 모양과 크기가 다른 Z. marina와 Z. caespitosa의 경우에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초의 미세지형이 될 수 있는 세포의 모양보다 해초의 길이와 너비 등 외형의 차이가 부착규조류 군집 변화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질비료와 토양미생물제제 및 해초추출물 시용이 배추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Microorganism and Swaweed extract Application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 조성현;박태헌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4호
    • /
    • pp.81-85
    • /
    • 2002
  • 유박을 원료로 한 유기질비료, 미생물제제 및 해초추출물의 시용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엇갈이배추를 공시작물로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하면서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유기질비료 처리구에 미생물제제를 혼용한 처리구에서 수량이 가장 좋았으며, 과량 처리구에서도 비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해초추출물의 엽면시비와 관주에 의한 수량증대는 관주처리구가 다소 높았으며, 또한 미생물제제의 경우 액상보다 분말처리구에서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즉, 미생물제제의 형태에 있어서는 분말이 해초추출물의 시용방법에 있어서는 관주에 의해 생육이 안정되었으며, 수량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유기질비료의 2배 과량처리구에서 비해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미생물제제와 해초추출물의 시용으로 생육 및 수량이 향상되었다.

  • PDF

해초류에 공생하는 한국산 요각류 3종 (Three Species of the Notodelphyid Copepods(Cyclopoida) Associated with the Solitary Ascidians(Tunicata) in Korea)

  • In-Soon Seo;Kyung-Sook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391-413
    • /
    • 1998
  • 해초류 (피낭류)로부터 채집된 한국산 요각류 3미기록종(Doropygus curvipes Gotto: Notodelphys agilis villosus Ooishi: Bonnierilla curvicaudata Ooishi)이 확인되어 재기재한다. 따라서 해초류에 공생하는 한국산 요각류는 11종이 보고 되어진다.

  • PDF

열대성 해초지의 어류군집 II. 주요 어종의 먹이습성

  • 곽석남;허성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51-552
    • /
    • 2001
  • 온대와 열대의 연안해역에 형성되어 있는 해초지는 해양생태계 중 생산성이 높고, 작은 크기의 해양동물들이 큰 동물들로부터 보호되고 있는 해양환경을 이루고 있다. 특히 본 조사해역인 호주 동북부 해역은 Cleat Barrier Reef과 더불어 열대성 해초가 많이 밀생되어 있어서 많은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어류의 먹이습성 연구는 그 어류가 속해 있는 생태계의 기능적인 면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