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체

Search Result 1,66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Cost Items and the Identification of Cost Affecting Factors for the Decommissioning Cost Estimation of Nuclear Research Facilities (원자력연구시설 해체비용 산정을 위한 비용항목 구성 및 비용 영향인자 산출 방안)

  • Jeong Kwan-Seong;Lee Dong-Gyu;Lee Kune-Woo;Oh Won-Z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5-31
    • /
    • 2005
  • The decommissioning cost estimation is the very essential procedure to establish the decommissioning plans for Nuclear Research Facilities. The cost estimation must be made in accordance with activity phase and facility installations. This paper shows how to configuring the cost items and identifying the effecting cost factors. In the end, these methods will be utilized as a tool and technique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cost estimation and calculation program.

  • PDF

Design of a virtual dismantling facility for research reactor (연구로 가상 해체 시설 설계)

  • Park Hui-Seong;Kim Seong-Gyun;Lee Geun-U;O Won-Jin;Park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7-55
    • /
    • 2005
  • A design of a dismantling mock-up system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 that analyzed a characteristic of modules which need to design a virtual dismantling facility. A unit program composed of a various module such as a decommissioning database system. 3D dosimetric mapping that represents a distribution of a radionuclide contamination, a evaluation module for a dismantling schedule and cost A research of software architectur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tegrate these components that have been independently operated. The result was established an architecture that consis of a visualization module which could be visualized D&D activities and a simulation module which tan he evaluated a dismantling schedule and decommissioning cost.

  • PDF

Design of User Interface on Decommissioning DB (연구로 해체 DB User Interface 설계)

  • 박희성;정관성;이근우;백삼태;이규일;박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681-686
    • /
    • 2003
  • It has been designed GUI(graphic user interface) to consult the convenience of a input data and the flexibility that can be retrieved dismantling information relation to decommissioning DB of KRR1&2. The GUI can proceed an input materials and a search and output of a saved data in server based on a facility code and also have a function of explorer which can find the lower dismantling objects in each facilities. It has added the structure of the multimedia that could be showed a series of dismantling activities with a Mpeg and pictures into the GUI. In the future work, Decommissioning DB and User Interface are intend to contribute a functions that could be evaluate and analyze for a dismantling activities with a engineering theory.

  • PDF

Development of the draft guidelines of the decommissioning plan for a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국내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세부 작성지침(안) 개발)

  • Lee, Jungmin;Moon, Joohyu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1 no.3
    • /
    • pp.213-227
    • /
    • 2013
  • It is essential to prepare the decommissioning plan for a nuclear power plant (NPP) for the safe decommissioning of the NPP, minimization of the generation of decommissioning wastes, and protection of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Although Kori unit 1 and Wolsong unit 1 will be destined to their decommissioning in Korea in the near future. there is no provisons about preparing the decommissioning plan. In this paper, therefore, the draft guidelines of the decommissioning plan for a NPP wer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es of the regulatory guidelines of the decommissioning plan in U.S., U.K. and France. The draft guideline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modify the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on the decommissioning of the NPP, and to give a license holder in charge of decommissioning the detailed instructions for preparing it in advance.

동남아시아 해양플랜트 해체시장 진출전략

  • An, Yo-Han;Kim,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08-410
    • /
    • 2012
  • 동남아시아 지역의 해체대상 해양플랜트는 약 620기 이며 5년 이내에 반드시 해체되어야 할 물량은 400여기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체시장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해양플랜트 해체현황과 국내 기업의 진출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해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프로토타입 설계

  • 박희성;박승국;이근우;김영도;서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3-170
    • /
    • 2002
  • 해체 데이터베이스 구조 설계를 위하여 입력과 출력 항목 및 평가 대상 항목을 선정하였다. 해체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많은 해체 정보들을 코드화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설계 도구들을 검토한 후 20 여가지 설계 도구들 중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델링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부터 도출된 주요 해체 정보들간의 관계를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를 사용하여 규명하였으며, DFD(Data Flow Diagram)를 이용하여 해체 DB 시스템의 프로세스 흐름을 파악하였다. 해체 데이터베이스 구현의 원할한 진행을 위해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 PDF

해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프로토타입 설계

  • 박희성;박승국;이근우;김영도;서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3-170
    • /
    • 2002
  • 해체 데이터베이스 구조 설계를 위하여 입력과 출력 항목 및 평가 대상 항목을 선정하였다. 해체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많은 해체 정보들을 코드화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되는 설계 도구들을 검토한 후 20여가지 설계 도구들 중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델링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부터 도출된 주요 해체 정보들간의 관계를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를 사용하여 규명하였으며, DFD(Data Flow Diagram)를 이용하여 해체 DB 시스템의 프로세스 흐름을 파악하였다 해체 데이터베이스 구현의 원할 한 진행을 위해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doption of Cyclotron Decommissioning Plan Criteria by the Analysis of Domestic Relocation and Abroad Dismantling Practices (국내 사이클로트론 이전 및 해외 해체 사례 분석을 통한 해체 계획 기준 도입 연구)

  • Woo, Rina;Kim, Yongmin;Song, Minchul;Cho, Daehyung;Lee, Jaesung;Kim, Wanta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8 no.2
    • /
    • pp.91-99
    • /
    • 2013
  • There are many reasons for decommissioning of cyclotron such as not only age-related deficiency, any serious wear or damage but also relocation, upgrade and changing mission. Decommission of cyclotron in USA and EU give rise to a lot of low-level radioactive waste and costs. Various research on decommissioning of particle accelerator have been carried to reduce the cost of decommissioning in USA and EU. In USA, the NRC require DFP (Decommissioning Funding Plan) to authorized licenser by 10 CFR Part 30.35. To resolve radioactive waste problem and reduce the estimated cost of cyclotron decommissioning, we should consider technical aspects (decommissioning procedures, decontamination techniques, etc.) and safety aspects(residual radioactivity, the expected dose, etc) for decommission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decommissioning of cyclotron in ANL (Argonne National Laboratory) and Belgium (EU). And we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n the cyclotron relocation from SNUH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o SKKU (Sungkyunkwan University). From these results, we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of relevant standards on domestic cyclotron decommissioning.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DFP for safe and economic decommissioning and waste recycling. These result could be utilized for the establishment on the standards and useful requirements.

Rapid demolition of locally damaged steel truss bridge (국부손상 철골 교량 구조물의 긴급해체 사례)

  • Park, Hoon;Noh, You-Song;Suk, Ch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97-198
    • /
    • 2017
  • 인공재해와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 하중에 의해 국부손상이 발생된 철골 교량 구조물은 추가적인 2차 붕괴의 위험요소들을 내재하고 있어 신속한 전면 해체가 요구된다. 본 시공 사례는 건설실패와 태풍 및 지진으로 국부손상이 발생된 철골 트러스 구조의 교량의 긴급해체를 위해 발파해체 공법을 적용한 사례이다. 철골 부재의 절단을 위해 성형폭약이 필요하지만 현지에서 수급이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장약용기를 직접 제작하고 에멀젼 폭약을 충전하여 만든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발파해체에 적용하였다. 직접 제작한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발파해체한 결과 철골 부재가 정확히 절단되면서 교량의 중앙부가 수직자유낙하하고, 교량의 양 끝단은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낙하 하였다. 또한 존치 구조물 및 주변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발파 후 파쇄 상태는 매우 양호하였다. 이로 인해 직접 제작한 성형폭약의 절단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국부손상이 발생된 구조물을 해체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Demolition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anual (해체공사 위험성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 Hyung, Sung-Han;Jang, Won-Jun;Lee, Moon-Bae;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3-94
    • /
    • 2023
  • 해체공사는 작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해체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일용직 근로자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는 위험성 평가시 근로자를 참여토록 하고 있으나 해체현장의 특성상 근로자가 참여한다고 하여도 위험요소를 파악할 역량이 부족할 따름이다. 또한 기존의 해체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매뉴얼로 해체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매뉴얼은 없는 실정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의 해체 및 철거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체 및 철거 사고시 발생한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작업 공종별로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해체 현장 규모에 따라 대규모 현장은 빈도·강도법, 중·소규모 현장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관리카드를 만들어 해체공사 완료시까지 관리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