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조

검색결과 1,040건 처리시간 0.026초

효모 Pichia stipitis를 이용한 구멍갈파래 가수분해 추출물로 부터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using a Yeast Pichia stipitis from the Hydrolysate of Ulva pertusa Kjellman)

  • 이지은;이상은;최운용;강도형;이현용;정경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3-248
    • /
    • 2011
  • 6탄당과 5탄당을 이용할 수 있는 효모 Picha stipitis를 이용하여 해조류인 구멍갈파래 가수분해 추출물의 단당류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는 반복 회분식 공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공정이 180시간 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약 30 g/L의 총환원당으로 부터 최고 평균 11.9 g/L의 바이오 에탄올이 생산됨을 확인하였다. 이 때 바이오 에탄올 수율은 0.40 (DNS 방법 기준)과 0.37 (TLC 방법 기준)이었으며, 이는 이론치의 78.4%와 72.5%에 해당하는 바이오 에탄올 수율에 해당한다. 이 결과를 다른 측면에서 분석하면,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반복 회분식공정에서 건조 구멍갈파래 1 kg에서 39.67 g의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멍갈파래의 가수분해 추출물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고, 상업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정기술로서 반복 회분식 방법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각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collagen 함량 및 collagen 가교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dium Fragile Extract on Collagen Content and Collagen Cross-link Formation in Ovariectomized Rats)

  • 박미화;강성림;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31-936
    • /
    • 2007
  •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의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과 골 손실의 증가로 인한 골다공증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쉽게 섭취 할 수 있으며,부작용이 없는 해조류인 청각 추출물을 난소제거술을 통한 갱년기 유도 흰쥐에 투여하여 결합조직 중의 collagen과 pyridinoline함량, 혈 중 ALP활성 변화를 통해 갱년기 장애 질환의 개선효과를 알아보았다. 청각 추출물이 골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한 결과 난소 절제에 의한 골 손실에 의해 결합조직의 collagen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청각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청각 추출물이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저하되는 collagen 합성능을 회복 시켜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골 및 연골조직에서 collagen 성숙가교인 pyridinoline 함량을 HPLC에 의해 측정한 결과, 연골 중 pyridinoline함량은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청각 추출물 투여로 인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여 pyridinoline 생성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갱년기 장애 시 유발되는 골 노화에 청각 추출물이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매생이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필수아미노산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Essential Amino Acids Absorption in Rats)

  • 김효영;김인혜;남택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91-1597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해조류 중 특히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매생이 열수 추출물(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CFE) 5%를 첨가한 식이를 급이 시켜 흰쥐에게 10일간의 단백질 소화율, 혈중 필수 아미노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료의 품질 및 필수 아미노산 대사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본 실험을 하였다. CFE의 급이에 따른 단백질 소화율을 살펴 본 결과, casein 그룹의 경우 단백질 소화율이 약 97%인 반면 CFE가 포함된 그룹의 경우 87%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식이에 CFE 첨가 시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문맥 혈청 중의 아미노산에서 특히 필수 아미노산의 혈중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식이 후 30, 60, 90, 120분별로 살펴보았다. 총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농도는 두개의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BCAA에 속하는 Leu, Ile, Val은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증가하였으며 AAA에 속하는 Phe 또한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간문맥 혈중의 Lys, Thr, Met의 경우,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을 통해 식이섬유인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섭취함으로서 간이나 뇌, 조직 등으로 흡수되는 혈중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지연시킴으로서 단백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단백질 식이에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혈중 아미노산 흡수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였으며 이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감태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분석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cklonia cava Extracted with the Ultrasonic Wave Method)

  • 김소정;김동균;박종범;이택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13-918
    • /
    • 2013
  • 해조류 유래 유용성분 추출을 위한 초음파 추출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동결건조한 감태 분말로부터 열수($65^{\circ}C$), 물($24^{\circ}C$), 50% 에탄올 및 100% 에탄올 뿐만 아니라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분석하고, 초음파 추출과 전통적인 추출법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초음파 추출에 의한 감태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142.80 mg/g)은 열수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10.03 mg/g)의 약 14배 이상 높았다. 열수 추출물에 비해 초음파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약 4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약 1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에서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tyrosinase 저해 활성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각각 $R^2$=99.47 및 99.99)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전통적인 용매 추출법보다 초음파 추출법이 감태의 유용성분 추출에 더 적합함을 의미한다.

매생이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s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 이가화;최민자;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1-389
    • /
    • 2010
  • 본 연구는 매생이 분말의 첨가량을 3~7%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쿠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저장기간 중 지질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반죽의 밀도는 대조군과 매생이 첨가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반죽의 pH는 매생이 분말의 첨가량에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쿠키의 퍼짐성은 대조군에 비해 3%군과 5%군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7%군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손실율은 대조군과 7%군은 차이가 없었으나 3%와 5%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팽창율은 매생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쿠키의 조직감은 대조군과 3%군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5%와 7%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는 매생이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녹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매생이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황색도 역시 대조군에 비해 매생이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쿠키의 관능평가 결과 색은 대조군에 비해 3%군과 7%군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촉촉함 정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7%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쿠키의 무기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매생이 첨가 쿠키에서 측정한 모든 무기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매생이 분말 첨가 쿠키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대조군에 비해 매생이 첨가군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5%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해조류인 매생이를 이용하여 쿠키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매생이 분말 5% 첨가군이 산패 억제에 효과가 있으므로 적절한 양의 매생이 분말을 첨가한 쿠키가 일반 쿠키에 비하여 저장기간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식물성 식품중 식이섬유 함량의 분석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in Korean Vegetable Foods)

  • 이경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5-231
    • /
    • 1993
  • 국내산 식물성 식품중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 54가지 시료에 대하여 섬유질 함량을 AOAC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신선물 기준시 식이섬유 및 조섬유 함량은 각각 곡류 $1.19{\sim}10.35%,\;0.19{\sim}1.28%$, 감자류 $1.12{\sim}1.81%,\;0.29{\sim}0.64%$, 두류 $2.05{\sim}18.14%,\;0.38{\sim}11.05%$, 신선채소류$0.99{\sim}7.42%,\;0.35{\sim}2.61%$, 가공채소류 $2.28{\sim}41.14%,\;0.97{\sim}20.96%$, 과일류 $0.19{\sim}2.91%,\;0.10{\sim}0.79%$, 견과종실류 $4.27{\sim}10.83%,\;0.96{\sim}4.62%$, 버섯류 $1.62{\sim}3.94%,\;0.79{\sim}0.89%$, 해조류 $28.70{\sim}38.19%,\;2.17{\sim}6.41%$, 조미료류 $4.65{\sim}6.67%,\;2.49{\sim}3.44%$였다. 식이섬유/조섬유 비율은 $2{\sim}13$으로서 식품 종류만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개개 식품에 대한 식이섬유 함량의 분석을 필요로 한다.

  • PDF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어린 시기의 성장 및 체성분 조성에 미치는 미역첨가 사료의 생리적 효과 (Physiological Effects of Seamustard Supplement Diet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Young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영호;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9-82
    • /
    • 1994
  • 해조류를 첨가한 사료가 조피볼락의 어린 시기에 미치는 생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2.99{\pm}0.23\;cm$, 체중 $1.03{\pm}0.18\;g$의 인공종묘에게 미역분말을 각각 $3\%,\;5\%,\;7\%$ 첨가한 사료와 비첨가 사료를 주면서 140일간 사육하여 전장$18.52{\pm}1.07\;cm$, 체중 $120.64{\pm}19.32\;g$이 될 때까지의 어체 성장, 생존율, 체조성, 혈액조성을 서로 비교하고, 저산소 및 기아 내성에 관한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1. 전장과 체중의 성장은 $5\%$의 미역 첨가시 가장 좋았으며, $3\%,\;7\%$, 대조구인 $0\%$ 순이었다. 2. 실험구별 사료효율은 $3\%,\;5\%,\;7\%,\;0\%$구의 순으로 높았으며, 생존율은 $7\%,\;5\%,\;3\%,\;0\%$구 순이었다. 3. 사육종료시의 체조성에 있어 등 근육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실험구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내장의 조지방 함량은 미역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다. 4. 미역 첨가구는 $0\%$구 보다 헤마토크릿트값이 크고, 평균적혈구수도 많았다. 5. 실험종료시 사료별 어체의 저산소내성은 미역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강했다. 6. 사육실험 종료후 31일간의 기아 실험에서 미역 첨가구의 어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적게 감소하였다. 7. 조피볼락 양식에서 사료에 미역을 첨가해 줄 경우, 그 비율은 $5\%$가 가장 적합하며 어체의 생리조건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국내산 홍조류의 구성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emical Composition of Red Algae)

  • 도정룡;남윤주;박진희;조진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8-431
    • /
    • 1997
  • 국내연안에 자생하는 13종류의 홍조류를 남해안의 다대포, 광안리 그리고 송도에서 채취하여 구성성분 및 수용성 성분의 수율과 해조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황산기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회분함량은 꼬시래기의 경우 $8.57\%$로 가장 낮았으며 송도에서 채취한 붉은잎은 $30.23\%$로 종류에 따른 함량 차가 클 뿐만 아니라 같은 종류일지라도 채취장소에 따른 차이도 많았다. 단백질 함량은 광안리 풀가사리의 경우 $18.11\%$로 가장 낮았고 송도 붉은까막살의 경우 $33.90\%$로 가장 높았다. 지방은 $0.11\~0.90\%$로 모든 홍조류에서 함량이 $1\%$미만이었다. 수용성 성분의 수율은 남해안의 송도에서 채취한 붉은 까막살의 경우 $4.32\%$로 가장 적었고 광안리 깃꼴진두발은 $55.78\%$로 수율이 가장 많았다. 수용성 성분중의 황산기 함량은 1.65 (다대포 우뭇가사리) 가 $19.48\%$ (송도 돌가사리)로 종류에 따른 황산기 함량의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홍조류에서 추출한 수용성 성분의 구성당은 3,6-anhydrogalactose (An-Gal), galactose (Gal), 6-methyl-galactose (6-Me-Gal), rhamnose (Rha), fucose, ribose (Rib), arabiose (Ara), xylose (Xyl), manose (Man) 그리고 glucose (Glu)였다. 그리고 구성당을 GC로 분석한 결과 함량이 가장 높은 당은 Gal였으며, 다음으로는 An-Gal, Glu, Xyl 순이었다.

  • PDF

진두발, 김 및 굴의 지질에 있어서 광증감 산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otosensitized Oxidation in the Lipids of Irish moss, Laver and Oyster)

  • 김귀식;소천천추;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5-360
    • /
    • 1997
  • 김, 미역, 다시마, 톳 등의 해조류는 chlorophyll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굴은 소화관 내에는 미분해의 chlorophyll이 축적되어 있다. chlorophyll은 일중항 산소에 의한 광증감 산화를 촉매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홍조류인 김과 진두발의 천일건조 및 굴의 자외선 조사시 광증감 산화가 지질산화에 어느정도 기여하는가를 밝히기 위해 광증감 산화 시킨시료의 총 지질의 과산화물가를 비교, 검토 하였고 과산화물의 위치이성체의 조성을 측정하였다. 굴의 총 지질 함량은 $2.7\%$였고, 또한 진두 발과 김의 총 지질 함량은 각각 $0.1\%$였다. 굴의 과산화물가는 생시료의 경우 56.7 meq/kg 이던 것이 4시간동안 자외선 조사 후에는 100.9 meq/kg으로 증가하였다. 진두발의 경우 원조의 140.2 meq/kg에서 3일간 천일건조후에는 213.4 meq/kg으로 증가 하였고, 김은 원조의 63.3 meq/kg에서 3일간 천일건조후에는 118.8 meq/kg으로 증가하여 산화가 진행되었음을 예측할수 있었다. 각 시료의 광증감 산화에 의해 생성한 과산화물의 위치 이성체의 조성을 GC-MS로 측정 한 결과 18:1 (n-9)와 18:2 (n-6)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 이성체를 분리하였다. 또한 9-OOH와 13-OOH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18:1(n-9)와 18:2(n-6)이외의 지방산으로부터 생성될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이성체는 분리 확인할수 없었다.

  • PDF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Development of Jelly Fortified with Lactic Acid Fermented Prickly Pear Extract)

  • 손민정;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8-413
    • /
    • 2005
  • Glucomannan과 κ-carrageenan을 혼합하여 액상과당, 해조칼슘, 유기산,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액을 첨가한 젤리를 제조하였다. 백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발효액은 pH 3.12, 적성산도 1.15%(lactic acid, v/v), 2.7×10/sup 9/CFU/mL의 젖산균을 포함하며 L값 19.6, a값 12.3, b값 1.4를 나타내었다. 젤리 제조시에 백년초 발효액을 4%첨가하였을 때, 견고성은 약간 낮지만 탄력성이 높은 부드러운 젤리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젤리의 색과 맛에서도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유기산 중 citr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 견고성과 탄력성이 좋은 젤리를 형성한 반면, ascorbic acid를 0.25%(v/v) 첨가했을 때는 푸딩과 같은 부드러운 젤리가 형성되었다. κ-carageenan농도에 따른 젤리의 제조에서 0.75%의 κ-carrageenan을 첨가했을 때 젤리의 견고성과 brittleness가 높았고, 0.9% 첨가시에는 오히려 젤리의 견고성이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0.25%의 citric acid와 30%의 액상과당을 함유하며 0.15%의 glucomannan과 0.6% 또는 0.75%의 κ-carrageenan을 혼합한 젤리의 전반적인 선호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