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운시황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해운이슈 - 2008년 3/4분기 해운시황 전반적으로 보합세 유지예상 - KMI '2008년 3/4분기 해운시황 동향 및 전망' 발표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7 s.53
    • /
    • pp.15-28
    • /
    • 2008
  • 2008년 3/4분기 해운시황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정기선시황은 운임이 전분기에 비해 소폭 상승하나, 유가상승에 따른 연료비 부담증가와 물동량 증가세 둔화에 따른 공급과잉으로 인해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정기선화물선시황도 전분기에 비해 하락한 뒤 4/4분기에 다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유조선시황은 비교적 강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음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KMI)이 최근 발표 한 '2008년 3/4분기 해운시황 전망'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 PDF

2005년 2/4분기 해운시황 활황세 예상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4 s.15
    • /
    • pp.21-30
    • /
    • 2005
  • 2005년 2/4분기 해운시황은 선복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송수요의 증가폭이 두드러져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다음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4월1일 한국선주협회 회의실에서 발표한 2005년도 2/4분기 해운시황 전망을 요약하여 정리한 것이다.(편집자 주)

  • PDF

향후 해운시황 전망 불안정한 시장변수로 불투명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10 s.21
    • /
    • pp.20-24
    • /
    • 2005
  • 최근 세계해운시장은 조그만 변수에도 급격한 등락을 되풀이하는 등 매우 불안정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금년4/4분기 정기선시황은 약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부정기선시황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음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10월14일 한국선주협회 회의실에서 발표한 2005년도 4/4분기 해운시황전망을 요약하여 정리한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세계해운시황 2004년에도 호황세 유지전망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2 s.1
    • /
    • pp.10-15
    • /
    • 2004
  • 2004년도 세계해운시황은 세계경제의 회복과 중국특수의 지속으로 매우 밝은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정기선시장은 신조선의 인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역내항로를 제외한 대부분의 항로에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으며, 건화물선시장 역시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유조선시장은 신조선 인도량의 급증으로 전반적인 운임수준이 하락하여 WS 70 내외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다음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2004년도 해운시황 전망 보고서를 요약정리한 것이다.(편집자 주)

  • PDF

최근 해운시황의 이상급등현상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12 s.11
    • /
    • pp.48-50
    • /
    • 2004
  • 최근 해운시황의 초강세 현상에 대해 시장조작의 냄새가 짙다는 음모론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시장조작의 주범으로는 정보화의 진전과 해운선물거래가 의심받고 있다. 다음은 에비하라 켄지 트램프 데이터 서비스(TDS:Tramp Data Service) 사장이 일본해사신문에 기고한 글을 번역하여 정리한 것으로 상, 하 2회에 걸쳐 게재한다.(편집자 주)

  • PDF

해운이슈 - KDB산업은행경제연(硏), '컨테이너선 시장의 변화요인 점검 및 향후 전망' 발표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s.102
    • /
    • pp.8-19
    • /
    • 2013
  • 현재 해운시장은 유럽 재정위기 장기화 신흥국 실물경기 둔화 확대 등으로 인해 회복이 지연되고 있으며, 주요 해운시황 예측기관들은 시장 회복시기를 2014년~2015년 이후로 예상되고 있다. 2013년 해운시황은 전년에 비해 소폭 개선될 전망이나 공급과잉 부담으로 2015년 이후 L자형의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또한, 시황 회복 시 선종별 상위선사들을 중심으로 수익이 집중화될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으며, 상위 선사들을 중심으로 승자독식 체제가 형성이 우려되고 있다. 다음은 KDB산업은행 경제연구소에서 발표한 "컨테이너선 시장의 변화요인 점검 및 향후 전망"의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 PDF

해운이슈 - 해운시황 침체로 중소신조선 시황 어려움 지속 예상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s.86
    • /
    • pp.9-13
    • /
    • 2011
  • 2011년도 3분기까지 전 세계 수주량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였으나 고부가 선박 시장의 활성화로 수주액을 증가하였다. 전세계 수주량은 전녕동기 대비 22.3% 감소한 2,356만CGT로 집계되었고 3분기 신조선가는 전분기 2point 하락하는 등 전반적인 약세를 나타냈다. 국내 중소 조선산업의 3분기까지 수주는 전년 동기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중대형 조선소 위주의 수주에 그쳤다. 국내 중소 조선산업의 3분기말 수주잔량은 전분기 대비 10.5% 감소하였으며 건조톤수는 전년동기 대비 10.8% 감소하였다. 3분기 벌크선 운임, 용선료, 탱커 운임 및 용선료 등 관련 해운지표들이 대부분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인 해운시황 침체로 중소 신조선 시황도 어려움이 지속될 전망이며, 어려운 시기일수록 연비 고효율화 등 신기술이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에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은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산업투자조사실에서 발표한 "중소조선산업 2011년도 3분기 동향"의 주요 내용을 정리 요약한 것이다.

  • PDF

해운이슈 - 한국기업평가, 해운업계 실적 전망과 유동성 점검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s.97
    • /
    • pp.11-24
    • /
    • 2013
  • 저조한 해운시황과 고유가가 지속되고 이들 변수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두 변수가 해운업체의 영업수익성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급감한 해운 수요는 유럽 재정위기가 겹치며 쉽사리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호황기에 발주된 선박들이 대거 인도되어 선복량 공급은 꾸준히 증가하면서 선복량 수급 불균형이 시황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또한, 해운 운임과 유가의 변동성 확대는 해운시황 침체와 함께 불확실성을 증대시켰고, 그에 따라 해운업체 영업실적의 불확실성도 확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 변수의 움직임에 의해 영업수익성이 좌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해운 운임 및 연료유 가격과 해운업체 영업수익성의 상관관계를 분석적 관점에서 살며보고 이를 바탕으로 2013년 해운업체의 실적에 대해 전망해 보는 동시에 유동성 상황을 점검해 보았다. 다음은 한국기업평가에서 발표한 "해운업계 실적 전망과 유동성 점검"의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 PDF

Analysis of Co-movement and Causality between Supply-Demand Factors and the Shipping Market: Evidence from Wavelet Approach (웨이블릿 분석을 통한 수요-공급요인과 해운시황의 연관성 분석)

  • Jeong, Hoejin;Yun, Heesung;Lee, Keehwa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8 no.3
    • /
    • pp.87-104
    • /
    • 2022
  • Considering the complex structure and high volatility in the shipping market,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connectedness amongst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explore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upply-demand factors and shipping freight indices. We choose Capesize and Panamax in the bulk carrier market and use quarterly data of GDP, world fleet, BCI, and BPI from 1999 to 2021. Applying the wavelet analysis and wavelet Granger causality test, the simultaneous examination of co-movement and causality between two factors and the shipping market in both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s is achieved. We find that co-movement and causality vary across time and frequencies, thereby existing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econd, compared to multiple coherencies using demand and supply factors together, partial coherencies indicate noticeable causalities. It implies that analyzing demand and supply factors separately is essential. Finally, shipping freight indices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the demand factor in a good market and with the supply factor in a bad market. Generally, GDP positively leads shipping freights in the recovery phase while the world fleet negatively leads shipping freights in the downtur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rarely-applied wavelet analysis is adopted in the shipping market and that it gives a reasonable ground to explain the role of supply and/or demand factors in different phases of the market cy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