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 수질

Search Result 59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easonal Variations of Marine Water Quality and Eutorphication Index in Mokpo Harbour (목포항의 수질 및 부영양도의 계절 변화)

  • Kim Kwang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3
    • /
    • pp.3-15
    • /
    • 2001
  • The in situ observations and the seawate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3 years from August 1996 to August 1999 in order to elucidate and evaluate seasonal variations of marine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in Mokpo harbour of Korea. Compared the seasonal seawater qualities of Mokpo harbour with the OECD standards of trophic classification in parameters such as Secchi depth,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and chlorophyll-a, the trophic level of seawater in Mokpo harbour was evaluated to be in mesotrophic or eutrophic state through all 4 seasons and to be in eutrophic state, particularly In summer. The estimation of pollution index by eutrophication showed the sea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to deteriorate and fall under the regular grades through all 4 seasons, although the sea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was evaluated to be equivalent to the second or third class of the Korean seawater quality standards in view of COD values. The results of eutrophication index estimation showed the high potentiality of red tide occurrence In Mokpo harbour, particularly in summer or fall. In the light of the average atomic ratio of N/P in seawater, the limiting nutrient factor against the growth of phytoplankton was concluded to be phosphorus rather than nitrogen in Mokpo Harbour.

  • PDF

제주도 중문해역의 수질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 최영찬;장승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62-163
    • /
    • 2000
  • 연안역은 물리ㆍ화학적 변화가 매우 큰 해역이며 육상으로 부터의 유기물, 영양염 등 물질이 여러 경로를 통하여 유입되기 때문에 수질환경의 변화가 크고 유지관리하기 어렵다. 조사해역인 중문 연안역은 주변에 화력발전소와 하수종말처리장이 있으며 해상국립공원의 추진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가 예상되는 해역이다. 이 해역에 대한 수질환경 연구는 방(방ㆍ홍, 1998), 김(김ㆍ최, 1998)둥이 있으며 최등(최ㆍ이ㆍ고, 1994), 문등(문ㆍ최, 1991)등에 의해 주변해역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중략)

  • PDF

갯벌생태계의 수질정화기능 -여과식성 저서동물군집에 의한 입자성 유기물의 제거-

  • 이창근;홍재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01-502
    • /
    • 2001
  • 갯벌의 수질정화기능에 대하여 다양한 정의를 내릴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갯벌의 여과식성 저서생물에 의해 수중의 동ㆍ식물 플랑크톤과 데트리터스를 포함하는 입자성 유기물 (POM)이 포집되어 제거되는 기능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갯벌생태계에서 수질정화기능의 핵심적 역할은 단연 이매패류가 담당하고 있다. 이들은 탁월한 여과능력으로 먹이 섭식과정에서 많은 양의 해수를 아가미로 걸러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층의 입자성 유기물을 물리적으로 제거시키는 자연 여과시스템에 견주어진다. (중략)

  • PDF

통영연안 해역의 물리화학적 특성

  • 박병수;김정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9-70
    • /
    • 2001
  • 통영 인근해역은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많은 섬들이 산재하여 복잡한 해수유동의 양상을 보인다. 해역 내에는 각종 양식어장과 정치망 등이 조밀하게 배치되어있어 해수유동을 저해하고 자가오염으로 인하여 수질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륵도 주변에 5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계절별 수질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해수유동과 수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점별로 유속관측을 병행하였으며 수온, 염분과 유속을 연속 측정하여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marine environment of Busan Port (부산항 해양환경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Ha, Shin-Young;Kim, In-Soo;Kim, Dong-Geun;Lee, Eo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40-141
    • /
    • 2011
  • 부산항은 대한민국의 제1의 항만인 동시에 세계 5위의 대형 항만이기에 향후 세계적인 항만분야 녹색성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녹색항만 조성을 위한 저탄소 에너지 고효율 항만, 친환경 및 자원 순환형 항만, 녹색으로 지속발전가능 항만 등 전방위적인 녹색항만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의 부산항은 수질환경의 오염도가 평균 2등급이나 하절기의 경우 육상기인오염원이 강우로 인하여 항만으로 대량 유입되어 3등급 이상의 오염된 수질을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의 해양환경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각 항만(북항, 감천항, 신항)별 특성을 살려 향후 부산항 GreenPort구축을 위한 해양환경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Transport of Microplastics in Urban Watershed (한강유역의 미세플라스틱 거동)

  • Lee, Juseong;Jeong,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6-486
    • /
    • 2022
  •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육상, 담수 및 대기환경에서 광범위하게 검출되고 있고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담수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이동, 분포, 축척에 대한 연구는 해양환경에 비해 한정적으로 이루어지며, 하천은 종종 내륙에서 해양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운반하는 경로로만 고려된다. 추후의 미세플라스틱의 저감정책 수립이나 이행에 있어서 미세플라스틱의 거동파악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오염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역의 작용을 가장 잘 표현하고, 단순히 전체의 상태를 설명하기보다는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에는 모델이 적합하다. 기후, 표면 유출, 토양이나 영양물질을 비롯한 오염물질의 부하 등을 잘 표현하고 수체 내부에서의 수질까지 동시에 시뮬레이션 가능한 기존의 잘 개발된 유역 모델의 주요 변수들은 미세플라스틱의 하천에서의 거동을 모의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본 연구에서 HSPF의 유사(Sediment) 컴포넌트를 수정하여, 유역모델을 활용한 미세플라스틱 거동 모의 가능성을 입증하려고 한다.

  • PDF

Simulating Water Quality Changes in Estuarine Reservoir Using SWAT Plus-EFDC Linkage Model (SWAT Plus 모형과 EFDC 모형을 연계한 담수호 수질 모의)

  • Hwang, Soonho;Jun, Sang Min;Kim, Seok Hyeo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2-292
    • /
    • 2019
  • 하구에 조성된 담수호 (estuarine reservoir)는 하천 출구점이 해양과 만나는 지점에 방조제 건설을 통해 형성되는 인공 호수이다. 방조제 건설과 함께 간척을 실시함에 따라 생성되는 토지를 농업용지로 활용하는 경우, 담수호는 농업수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담수호의 수질 문제는 영농 활동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담수호의 수질을 관리는 크게 유역 대책과 호내 대책으로 나누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담수호 수질 관리 계획 수립에 앞서 담수호 수질 관리 방안에 따른 담수호 수질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다양한 유역 대책과 호내 대책을 적용하면서 그 효과를 검증하기에는 시간 및 경제적 한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유역 및 호소 수질 모델링을 통한 수질 관리 시나리오별 담수호 수질 모의가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목표수질인 IV등급을 상회하여 수질 관리를 위한 대책이 시급한 담수호를 대상으로 유역 및 호소 모의 모델을 연계하여 다양한 수질 관리 시나리오에 따른 호내 수질 모의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역 모델은 최근에 개발된 SWAT Plus 모델로 기존의 SWAT 모델의 수문 해석 요소 중 일부를 알고리즘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호소 모의 모델로는 3차원 수리 및 수질 해석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두 모형을 연계 운영하여 모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매개변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질 개선대책의 평가 및 추진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정량적인 농업용수 수질 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담수호 수질 최적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Test Phase of Offshore Wind Farm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Yellow Sea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해역의 해양 환경 특성)

  • Seo, Jinsung;Maeng, Junho;Lim, Eunpyo;Jin, Seungjoo;Kim, Hyunmin;Kim, Taey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5
    • /
    • pp.457-47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physics, water quality, and sediment quality around offshore wind farm near the Gochang and Buan sea areas through the analysis of monitoring data. The relationships between suspended solid and wave height as well as suspended solid and flow velocity were analyzed. We foun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of 0.61~0.69 between wave height and suspended solid, and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reaches 75 mg/L or higher when wave height of more than 1m occurred in the spring (1 month). The water quality index (WQI) was us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Most of the measured points were rated first grade (very good). The variation of chlorophyll-a was relatively hight compared to the other criteria, indicating that it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index. In the sediment column, all heavy metals were detected below the Threshold Effects Level(TEL), and ignition loss and grain size show a positive correlation.

General Oceanographic Factors In Yeongil Bay Of Korea, Late October 1973 (가을철 영일만수괴의 일반해양학적 특성)

  • Kwak, Hi-Sa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11 no.2
    • /
    • pp.89-95
    • /
    • 1976
  • Some factors of seawater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dissolved oxygen and asturation of dissolved oxygen were determined in 5 meters intervals from surface to bottom at 11 stations in Yeongil Bay of Korea during late October 1973.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masses in Yeongil Bay during the period seemed to be heterogeneous as dividing into two parts of surface and bottom.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 and saturation of dissolved oxygen of surface water mass showed higher values and salinity of the mass showed lower values than those factors of bottom water mass. Surface water mass might be originated from Tsushima current during summer season and bottom water mass from cold body of East Sea of Korea which seemed to extend to coastal zone during winter season. Land water discharge from Hyeongsan River into the Bay is considered as a minor factor playing slight role in the water mass composition of the area.

  • PDF

Prediction of Environmental Change and Mitigation plan for large scale reclamation (대규모 매립에 대한 환경영향예측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Bum-Shick;Kim, Kyu-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2
    • /
    • pp.95-100
    • /
    • 2010
  • In this study we predicted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on the ocean ecosystem and water quality, caused by a coastal reclamation project in semi-closed bay that makes it extremely difficult to be purified by natural process. In order to predict change of water quality triggered by coastal reclamation, the 3D hydrodynamic model and material cycle model are used. And we suggested new ecological park, an artificial beach and eco-friendly revetments on the reclamation area to mitigate the environmental impacts affecting this area using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nd observatio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