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 수질

Search Result 59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ies on the Water Quality of the Han River Water, and Water Quality Standards (한강의 수질과 수질규준에 관한 고찰)

  • Choe, Sa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3 no.2
    • /
    • pp.47-54
    • /
    • 1968
  • Monthly mean values for EDTA hardness in the Han River water were determined for March 1966 through May 1967. The hardness was retained a range of 22-59 mg/L the maximum value of 59 mg/L was approached in the months of mid-winter, indicating a seasonal variation. The annual ranges of Ca and Mg were 3.7-9.1 mg/L, 1.5-10.4 mg/L, respectively. The annual range of Mg:Ca ratio was 0.18-2.60. And the hardness correlated closely with Mg volume. In Korea, fortunately, most river waters are not yet suffering from damaging pollution. We must try to establish our water quality criteria based on scientific data, and make research recommendations for the following water uses; public water supplies, aquatic life and wildlife, industry, recreation and aesthetics.

  • PDF

Status of Water Quality and Future Plans in the Philippines (필리핀의 수질현황 및 미래 관리계획)

  • Gorme, Joan B.;Maniquiz, Marla C.;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89-103
    • /
    • 2009
  • The Philippines is abundant with rich natural resources such as water. Because of rapid urbanization in the country, most of the water bodies are polluted as a result of domestic,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ctivities.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Bureau (EMB) is the main government arm responsible for monitoring and inspection of affected water bodies. Only water bodies with at least four sampling events during dry and wet seasons were included in the assessment of water bodies that passed the DAO 90-34 water quality criteria. Water bodies were monitored for dissolved oxygen (DO),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otal suspended solids (TSS), and total dissolved solids (TDS), heavy metals, fecal coliform contamination and nitrates. High pollutant concentrations from domestic, agricultural, industrial and nonpoint sources were observed from monitoring events due to inadequate sewage services and treatment facilities in the countr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and evaluate the quality of the water bodies in the Philippines.

  • PDF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considering Water Quality Parameters of Nakdong River basin (하천수질인자를 고려한 원격탐사기술의 적용 ;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 Lim, Ji Sang;Lee, Eul Rae;Kang, Sin Uk;Choi, Hyun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6-286
    • /
    • 2015
  • 하천과 해양에서 발생한 수질오염은 특성상 유속의 흐름에 따라 광범위하며 급속도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오염인자들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한다.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측정은 대규모지역으로 분포해있는 수질농도의 변화양상을 시 공간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는 직접취수를 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수질측정방법들에 비해 편의성을 높여 시간적,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질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낙동강유역을 대상으로 인공위성 이미지영상을 이용하여 수질인자들의 농도측정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인공위성은 NASA와 USGS가 공동으로 운용중인 Landsat 8 인공위성이다. Landsat 8의 11개 band 중 band2(Blue), band3(Green), band4(Red), band5(Near Infrared)를 사용하여 실제로 측정된 지점자료와 인공위성자료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사용된 인공위성자료는 지점자료 날짜를 포함하는 총 4개의 연구날짜(2013/10/27, 2013/11/12, 2014/04/14, 2014/05/16)에 해당하는 위성이미지영상이다. Pearson상관계수를 통한 밴드와 수질인자간의 상관 결과, 본 연구지역에서는 $0.85-0.88{\mu}m$(band5)의 파장영역에서 클로로필-a와 부유물질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두 수질인자들은 band2, band3, band4에서도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를 근거로 band combination, band ratio를 통해 클로로필-a와 부유물질의 회귀모델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회귀모델식은 실제 측정된 데이터들과 비교 검증을 통해 4개의 연구기간 중 2013년 10월 27일, 2014년 5월 16일에 대해서 클로로필-a와 부유물질의 공간적인 분포양상을 시각적으로 도시화하였다.

  • PDF

Prediction of Water Quality Change in Downstream of the River by Dongjin Gate Operation (동진강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하류 수질변화 예측)

  • Chung, Mahn;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3-443
    • /
    • 2018
  • 새만금유역의 동진강유역에 위치한 동진강제수문은 서해 바닷물 역류에 따른 농경지의 염분피해를 예방하고 고부천과 연계된 부안지역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설치되었다. 동진제수문은 그간 정읍시 신태인읍, 김제시 부량면, 부안군 백산면의 약 770 ha 농경지에 대해 염분피해를 예방하였고 영농과 한발 시에는 부안군 일대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새만금 간척사업등 대규모 국토개발로 주변 자연환경이 크게 변화하여 제수문은 염해방지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현재는 농업용수 공급원으로써의 기능만 남아 있다. 현재 동진강제수문은 관개기에 농업용수 취수를 위해 수문을 닫아 본류의 유량을 저류시키고 있으며, 비관개기에도 대부분 제수문을 닫아놓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갑문폐쇄로 인해 하류의 유입유량이 차단되고 상류 체류시간이 증가되어 수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농업용수사용을 위해 저류되어있는 유량을 효율적으로 방류한다면, 외부수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유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새만금호의 유입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진강 하류의 수질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제수문의 내용적을 산정하여 용수공급능력을 파악하였고,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였다.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새만금호의 유입부인 동진강 하류의 수질을 모의하였으며, 구성한 모형의 결과와 용수공급능력을 바탕으로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수질개선효과를 살펴보면, Scenario 3 > Scenario 2 > Scenario 1의 순서로 수질개선율이 크게 나타났다.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량이 증가할수록 하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동진강제수문의 방류량으로 인해 유황이 개선되고 호 내 오염부하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업용수 필요량을 제외한 유량을 하류의 환경유지용수로 확보하고 이를 수질관리취약 시기에 탄력적으로 방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오염을 감소시키고 목표수질을 만족하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cent changes in springtime discharge and nutrient fluxes to the vicinity of the Korean Peninsula (2012-2021) (봄철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유출량 변화량 (2012-2021))

  • Ye Na Kim;Jong Hun K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5-145
    • /
    • 2023
  • 육지의 영양염류는 강수를 통해 강을 따라 바다로 흐른다. 연안 수질과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계를 통해 연안으로 배출되는 육상 영양염류 유출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적인 수량과 수질 동시 관측자료로 인해 한반도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량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내륙에서 주변 연안 지역으로 유출되는 영양염류의 유출량과 그 변화량을 추정 및 분석하고 유출량에 대한 수량과 수질 변화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2012-2021년 봄철(3-5월)에 한반도 연안 주변의 75개의 하천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 농도 및 유량 관측 데이터와 한반도 연안 375지점에서 측정된 해양 수질 농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22개의 해안지역 하천 유량 관측소와 근접한 수질 관측자료를 통해, 총 질소(TN), 총 인(TP), 클로로필a의 봄철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추정하고 그 변화량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량을 모델 수식으로 분해하여 유출 총량 변화량에 대한 하천 유량과 영양염류 농도 변화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연간 봄철 TN, TP, 클로로필a 유출 총량의 변화율이 영양염류의 농도 (각각 19%, 48%, 5%)보다는 하천 유량 (각각 84%, 51%, 91%)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연안을 서해, 남해, 동해로 나누어 영양염류 유출 총량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전체 유출량에서 서해의 가장 큰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반도 내륙에서 유출된 영양염류 총량이 연안의 수질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내륙 하천과 연안의 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하천과 연안 수질 환경에서 수문학적인 연결고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염류 유출 변화가 해안에 서식하는 생태계와 양식산업 생산성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강조하였다.

  • PDF

겨울철 행암만의 수질과 표층퇴적물 환경특성

  • 김평중;박종수;박영철;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55-257
    • /
    • 2001
  • 진해 행암만은 반폐쇄성 내만으로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에 의한 부영양화가 매우 심화된 해역으로서 겨울철에도 빈번하게 적조현상이 일어나는 해역이다. 그러나 매년 봄철부터 가을철까지는 부영양화 및 적조발생에 관한 조사는 많이 행하여 왔으나 진해만 및 마산만을 연구하기 위해 한 두 정점에 국한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특히, Park (1975)의 연구 이후 행암만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해수중 용존중금속 및 표층퇴적물중의 중금속농도분포도 거의 밝혀지지 않는 실정으로서 겨울철 행암만 수질과 표층퇴적물 중의 환경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넙치 및 조피볼락에 있어서 저오염 사료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최세민;김강웅;배승철;이병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99-300
    • /
    • 2001
  • 양식장의 궁극적인 오염은 섭취되지 않은 사료와 어류에 의해 소화되지 않은 과잉의 영양소들이 배설물로 수증에 용해되어 수질오염을 야기 시킨다. 특히 수질오염의 주원인은 인과 질소이므로 이러한 영양소의 이용률 증대를 통한사료의 질적 개선을 이루어야만 저오염 사료개발이 가능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어류양식산업이 확대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넙치에 있어서 인요구량과 인축적률, 조피볼락에 있어서 단백질 및 인소화율 실험에 대한 재검정을 통해 저오염 사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Macro Benthic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and Health Assessment by using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Water Quality Index (WQI) (하계 무안만 조하대 저서동물군집 특성 및 AZTI의 해양생물지수(AMBI)와 수질평가지수(WQI)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 Oh, Jun Ho;Lee, Kyoung Seon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7 no.1
    • /
    • pp.21-28
    • /
    • 2022
  • Benthic animals are important indicators in benthic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benthic animals, and assessed the benthic ecosystem using AMBI (AZTI's marine biotic index) and WQI (water quality index)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Samplings were collected from 10 stations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In the upper area of Muan bay, grain size was finer and organic content was higher than those of in the lower area. The pollution indicator organism such as Musculista senhousia, Theora fragilis and Lumbrineris longifolia were dominant at some stations. The 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hree groups of upper, center and lower area of Muan bay, and which were coincided with the results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rganic matter content and benthic health assessment (WQI and AMBI).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tidal zone in Muan bay were good. However, from the results that benthic animals were not evenly distributed, and also the opportunistic species appeared, the load of organic matter in Muan bay seems to be increa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