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플랜트 운영인력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운영 인력양성 방안

  • Jeon, Sang-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96-398
    • /
    • 2011
  • 해양플랜트 개발 현황과 해양플랜트 운영인력 구조 및 우리나라 인력양성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인력의 해양플랜트 산업 진출 방안과 그 규모를 전망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 PDF

해양플랜트 DP 시스템

  • O, Jin-Seok;Bae, S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405-407
    • /
    • 2011
  • 해양플랜트는 일반적으로 Offshore라고 일컫는 심해 자원을 생산하기 위한 산업 분야를 비롯하여, 해상 풍력 및 조류와 파랑을 이용한 에너지 자원 개발과 관련된 발전 설비 등 해상에 설치되는 모든 사회 기반 시설을 포함한다. 이러한 해양플랜트는 점차 고도화된 기술을 사용하여 미개척 해양 지대로 진출하게 되는데, 육상과 고립되어 해양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안정적인 시스템을 요구한다. 이는 곧 해양플랜트 설비 자체와 운영 인력들의 안전과도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해 및 정밀 위치 유지를 위한 DP(Dynamic Positioning) 시스템은 해양플랜트에 반드시 탑재되어야 하며, 운영 환경에 따라 차별화된 DP 시스템이 탑재되어야 한다. 또한 해양플랜트 핵심장비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개발이 추진되어야 하며, DP 운영 인력도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해야한다.

  • PDF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 육성방안 연구

  • Park, Gwang-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93-395
    • /
    • 2011
  • 해양플랜트 산업은 광의에서는 해양자원을 활용하거나 이용하기 위한 일체의 설비이나, 협의로는 해양 석유 및 가스 탐사, 굴착 및 생산하기 위한 설비를 의미한다.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은 해양플랜트 건조 이후의 산업으로 크게 운영사업(생산 및 유지보수)과 지원사업(운송, 설치, 부대사업 등)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해양플랜트 건조산업은 세계 1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산업에 진출한 기업이나 인력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에 진출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브라질 OSV 시장 현황과 기업 진출 전략

  • Kim,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71-273
    • /
    • 2012
  • 브라질은 최근 심해유전(Pre-Salt)개발 등 해양자원개발 등을 통해 신흥자원부국으로 각광받고 있다. 올 해 6월 국영석유기업인 페트로브라스가 '2012-2016 Business Plan'를 통해 향후 5년 간 E&P, 정제 및 운송 분야에 2,073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히면서 향후 해양플랜트 및 OSV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이 우리나라 조선, 해운, 전문 인력 분야에서 협력대상으로 한국을 염두에 두고 있어 특히 OSV 건조 및 운영과 관련해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 글은 브라질 OSV 시장 현황 및 정부 정책, 그리고 우리나라 진출 전략을 크게 현지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페트로브라스 공략, 로컬 콘텐츠 대응 전략 수립, OSV 운영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 선사 조선소 기자재 업체 협력체계 구축, 정부 지원 확대 등으로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entry into the offshore service market through slack model (해양플랜트 서비스 시장에의 진입 방안 연구 -슬랙모델을 이용하여-)

  • Oh, Jin-Seok;Kim, Gil-Soo;Merdas, Reza;Jang, Jae-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2
    • /
    • pp.163-170
    • /
    • 2014
  • Domestic offshore business is oriented toward building drill-ships, FPSOs(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 loading). But the equipments needed for offshore platforms are not so developed in Korea because the equipments can not be verified in Korean territory where the offshore platforms are not stationed. This study aims at finding some methods on entering into OSI for the maintenance and disassembly of fixed offshore platforms. Slack model is adopted to find out how slack assets could play a role in penetrating foreign markets. Firstly, entry into the South East Asian market is recommended. Secondly, forming a consortium is suggested by which taking part in offshore market can be easier. Finally, strategic plans for obtaining the technology for ship building equipments are needed as well as government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