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중력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5초

서해남부에서의 선상중력 자료 획득 및 처리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aquisition and processing of the shipborne gravity data from the southern area of Yellow sea)

  • 최광선;옥수석;서만철;최영섭;김백수
    • 지구물리
    • /
    • 제3권4호
    • /
    • pp.291-310
    • /
    • 2000
  • 국립해양조사원이 1999년도 '해양2000'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서해 남부지역의 선상 중력자료를 처리하였다. 자료처리 결과 264개 교점에서 고도이상의 RMS는 0.436mGal로 매우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이 '해양2000'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선상 중력은 우리나라 일원의 중력관련 연에 매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PDF

ERS-1 Altimeter를 이용한 필리핀 지역의 중력이상 분석 (Free-air gravity anomaly analysis using ERS-1 Altimeter)

  • 박상은;강성철;이태희;문우일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3호 Proceedings of the 2000 KSRS Spring Meeting
    • /
    • pp.55-60
    • /
    • 2000
  • 인공위성의 Radar Altimeter 자료를 통해 국지적인 중력이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ERS-1 Altimeter를 이용하였다. ERS-1 Radar Altimeter는 조밀하게 인접한 데이터 간격(~8km)을 갖고 있어서 전지구적 규모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연구에도 적합하다. 연구대상지역은 세 개의 판이 만나서 지진과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필리핀판 지역(동경1$10^{\circ}$~150$^{\circ}$, 북위 0$^{\circ}$~30$^{\circ}$)을 선정하였다. 이 지역에 대한 해저의 지형과 중력 이상 분석을 통해 판구조 운동의 여러 증거를 파악할 수 있다. ERS-1 Radar Altimeter를 통해 얻어진 지오이드 높이(Geoid geight)는 후리-에어 중력이상(Free-air gravity anomaly)으로 쉽게 전환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ast Fourier Transform(FFT)을 이용하여 지오이드기복을 직접 후리-에어 중력이상으로 전환시키는 Direct convers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후리-에어 중력이상은 지각평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지각보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일반적으로 해양의 분지는 지각평형상태로 있어서 평균적인 중력이상은 0mgal 근처로 나타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본 국지적인 후리-에어 중력이상은 판구조론과 관련한 해구난 호상열도에서는 해양분지에서의 평균적인 값과 다른 중력이상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北大西洋 重力場에 적용한 Indirect Effect (Application of the Indirect Effect on Regional Gravith Fielcs in the North Atlantic Ocean)

  • 정우열;필립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4
    • /
    • 1987
  • 바다에서의 중력관측은 지오이드상에서 측정된 것으로 간주되고 Free-air이상 치는 지오이드상의 관측치로부터 표준타원지구면 위에서 예상되는 중력치를 감함으 로 결정된다. 표준타원 지구면과 지오이드면의 고저差 및 두 面 사이의 질량差에 따른 중력효과를 "Indirect Effect"라고 하는데 이 "Indirect Effect"를 북대서양 해수 면상에서 관측된 중력이상치에 고려해 본 결과 이 "Indirect Effect"를 바다에서의 중력관측치에 포함시키는 것이 맨틀운동을 포함한 지구의 광역 연구조사에 중요함 이 밝혀졌다.을 포함한 지구의 광역 연구조사에 중요함 이 밝혀졌다.

  • PDF

ArcGP 자료를 이용한 북극 스발바드 군도의 중력특성 (A Gravity Characteristic of Svalbard Archipelago in Arctic by Using ArcGP Data)

  • 유상훈;김창환;황종선;민경덕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5-260
    • /
    • 2005
  • ArcGP 중력자료를 이용하여 다산과학기지가 위치한 북극 스발바드 군도의 중력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형자료와 유사한 형태로 분포하는 free-air 중력이상에서 보이던 비활성 대륙 연변부의 가장자리 효과는 부게보정 후 보이지 않고, 육상지역의 GTOPO30 지형자료를 이용한 지형보정을 거친 완전 부게 중력이상에서 육상지역에서 해양지역으로 갈수록 중력이상이 증가하는 즉, 모호면의 상승과 관련이 깊은 특성이 관찰된다. 지형으로부터 산출된 중력치와 free-air 중력이상과의 상관관계를 볼 때, 육상지역이 해양지역에 비해 지각평형이 다소 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며, 파워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결정된 절단파수를 이용한 필터링 후 계산된 잔여이상에서 육상지역의 단층대를 따라 발달하는 특징적인 고이상대와 두꺼운 퇴적층에서 기인한 저이상대가 보이고 있다. 또한, 해양지역 대륙사면의 최하부에서 기반 함몰 내지는 기반암 상부의 두꺼운 퇴적층과 관련이 있는 저이상대가 발달하고 있다.

  • PDF

극지용 중력식 해양구조물의 유빙충격 해석 (Ice impact on arctic gravity caisson)

  • ;유병건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52-59
    • /
    • 1987
  • 극 지역용 중력식 해양구조물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문제중의 하나가 구조물의 유빙(ice)과 충돌시 야기되는 foundation붕괴 현상인데, 본 논문에서는 정적 해석을 위해 sliding 및 bearing failure 현상에 대하여만 연구하였고, 또한 동적 해석을 위하여 soil과ice의 특성으로부터 structure-ice-soil의 상호 작용 운동 방정식을 설정하여 구조물과 ice의변위, 속도, 가속도와 ice force와 soil force의 history를 시간영역 해법으로 풀었다. 한 예제로 Beaufort Sea의 37 feet수심과 granular soil 상태에서 구조물의 최대변위는 0.4 feet이고 가속도는 약 0.3kg이며 이때 구조물이 sliding에 대하여 안전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GEOSAT 인공위성 해면고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의 중력이상의 결정 (Determination of Marine Gravity anomal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GEOSAT Satellite Altimeter Measurements)

  • 양철수;최광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3-391
    • /
    • 1994
  • 해면고도계 인공위성에 의하여 지오이드의 형상에 직접관련된 양질의 관측자료가 대량으로 수집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이용한 중력이상, 지오이드 기복의 변 환관계를 논하였다. 또한, 실제문제로서 해상중력장의 연구에 있어 활용이 기대되는 해면고도 관측자료를 중력이상으로 변환하고 선상측정치를 위주로 하는 기존자료와 비 교하였다. 해면고도로서는 2년간의 GEOST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오이드, 중력이상 의 변환은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였으며 정밀성을 기하기 위하여 관측치로 부터 범지구중력모델에 의한 추정치를 remove-restore 하는 방법을 채용하였다. 해면 고도로부터 구한 계산치와 기존자료와의 차이는 10 mgal 정도로서, 선상중력 관측치의 정밀도와 비교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영남권 해양안전교육센터 구축을 위한 수요추정 (Demand esti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maritim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in Youngnam region of Korea)

  • 임상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327-328
    • /
    • 2021
  • 본 논문은 2014년 세월호 사고 이후 해양재난사고에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이 고조되었으며 해양레저인구증가로 인한 해양사고가 증가되는 상황에서 사고예방 및 해양안전문화 고취를 위한 해양안전교육센터 구축하고자 수요추정을 수행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대부분의 해양안전체험관과 유사한 체험관들은 대부분 전라, 경기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지역 편향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동남권 안전센터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며 해양레저 및 해양산업의 중심이 영남권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교육센터의 구축의 정책적인 타당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안전교육센터 수요추정을 중력모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사회경제적인 타당성의 근거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PS/Leveling 데이터를 이용한 기하지오이드와 중력지오이드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Gravimetric Geoid and the Geometric Geoid Using GPS/Leveling Data)

  • 김영길;최윤수;권재현;홍창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2
    • /
    • 2010
  • 지오이드는 수직 높이 체계의 기준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중력값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지오이드의 계산에 사용된 관측자료에 따라 지오이드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GPS/Leveling 자료와 같은 검증자료가 충분치 않아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분석이 수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Leveling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기하지오이드를 기준으로 중력기반 지오이드(항공중력 지오이드, 지상중력 지오이드,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지역내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에 대해 기하지오이드고를 산출한 후 중력기반 지오이드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하지오이드와 중력 지오이드와의 차이는 통합기준점 각 지점(포인트)별로 혹은 $10km{\times}10km$로 격자화 한 후 분석하였으며 파장별 분석이 용이하도록 FFT(Fast Fourier Transform) 방법을 이용하였다. 기하지오이드고를 기준으로 각 지점별 차이에 대한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항공중력과 지상중력에 의한 지오이드고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파수 영역에서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저주파 영역에서는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의 경우 고주파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태평양 KODOS-90 지역 심해저 퇴적물의 고지자기 연구 (A Paleomagnetic Study of Deep-Sea Cores from the KODOS-90 Area in the North Pacific)

  • 도성재;박찬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권1호
    • /
    • pp.1-12
    • /
    • 1996
  • 북태평양의 KODOS-90 지역에서 채취한 4-6 m 길이의 중력 코아 3개를 대상으로 자기층서 확립 및 코아들 간의 상호대비를 위하여 고지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된 퇴적물은 자기적으로 안정된 잔류자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들의 자기극성(Polarity)변화는 지자기층서표(Geomagnetic Polarity Time Scale) 의 플라이오-플라이스 토세(Plio-Pleistocene) 기간과 대비된다. 중력 코아 26의 대자율은 285 cm 지점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여 주어, 이 지점에 비교적 오랜기간 의 결층(Hiatus)이 존재함을 지시한다. 각 코아의 자극변화에 의한 평균 퇴적속도 는 중력 코아 20에서 0.09 cm/1000yr 이며, 중력 코아 08과 중력 코아 26은 중력 코아 20에 비하여 각각 약 2.7배와 1.4배의 상대적으로 높은 퇴적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