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생태계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해안 서식지 분류를 통한 생태계 단위 설정 -태안해안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신수영;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9.12a
    • /
    • pp.16-20
    • /
    • 1999
  • 우리나라 특히 서ㆍ남해안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선 출입이 잦아 해안의 대표적인 지형들이 골고루 발달해 있는 곳이며, 해안생물자원도 풍부한 지역이다. 종래의 생태계 조사방법은 종목록을 작성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자연자원과 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필요한 해안생태계의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여 지도화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을 대상으로 다음의 세가지 연구를 시행하였다. 첫째, 해안생물의 서식 기반이 되는 물리적 요소인 기질, 경사도, 파랑에너지에 입각하여 서식지 유형을 분류하였다 둘째, 해안의 생태계 보존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 현황을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셋째, 서식지와 토지이용을 결합하여 암석해안과 갯벌(모래, 펄)의 생태계 단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생태계 단위는 생태적으로 관리전략을 세울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Artificail Reef (인공리프에 관한 연구)

  • 안경수;신문섭;유대성;박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266-269
    • /
    • 2002
  • 최근 항구 및 해안지역의 오염과 대규모 준설 매립으로 인하여 습지 및 환경 생태계 파괴 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파도와 조수의 이동으로 인한 해안침식, 태풍이나 폭풍 둥의 자연재해로 인한 해안 및 항만구조물의 파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지오텍스타일 공법을 해안생태계를 복원 및 보전하고 해안 및 항만구조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중략)

  • PDF

Prediction and model1ing of changes of freshwater ecoystem (담수역 생태계의 부영양화 및 녹조 연구)

  • 이원호;신윤근;김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88-90
    • /
    • 2000
  • 새만금 담수호의 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대상해역 인근의 저염수역에서 부영양화 및 미소조류 생태계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였다. 이는 새만금호의 미소조류 생태계 변화와 부영양화의 과정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기 위한 3개년 연구계획으로서, 제 1년차 연구의 현장 조사 및 자료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중략)

  • PDF

Seasonal Changes in Micrometeological Factors of a Co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미기상인자 계절변화)

  • Lee, Na-Yeon;Choi, In You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5 no.1
    • /
    • pp.9-16
    • /
    • 2013
  • Coastal sand dune area is an important ecosystem as an ecotone which is located between coastal area and terrestrial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nd dune ecosystem in terms of its habitat characteristics, micrometeorolog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 coastal sand dune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Micrometeorological measurements were made to monitor air and soil temperatures, relative humidity, soil water content, rainfall, solar radiation,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In contrary to a forest ecosystem, the coa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was relatively hotter and very humid with heavy rainfalls concentrated between June and July. The seasonal change of daily mean soil temperature was greater than that of air temperature by $2{\sim}3^{\circ}C$. Daily mean soil water content was less than 10% throughout the year. Also, the maximum wind speed of 156.7 m $s^{-1}$ was recorded on 7 October 2011. The observed seasonal wind direction was different from those observed at Seosan by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in a co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long-term multi-year measurements are needed.

생태계제어, 월파제어 그리고 연안역 개발의 최적화

  • 유청로;정귀석;김현주;손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01-105
    • /
    • 1993
  • 해안구조물의 설계는 안정성과 경제성을 위주로 하던 1세대적 관점에서 친수성 개념을 도입한 2세대적 관점으로 발전되었고, 최근 여기에 생태계 제어를 포함시키는 3세대적 설계관으로의 발상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즉, 해안의 보호와 친수성 공간 제공뿐 아니라 자원조성 효과에 의해 연안역의 부가가치를 높히는 다목적, 다기능 연안역 개발 구상이 필요하다. (중략)

  • PDF

신형 유공블록을 이용한 계단식 호안의 월파특성 수리실험

  • 이달수;오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62-166
    • /
    • 1996
  • 재래식 간척 및 매립은 연안 간사지를 소멸시켜 수생생물의 산란 및 서식지를 훼손시킴으로써 해양 생태계를 파괴시킬 뿐 아니라 연안역 해수의 자정능력을 감소시켜 수질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Y, Hosokawa, 1992). 따라서 향후 간척, 매립을 하거나 호안을 축조할 때에는 외해측에 수심이 얕고 경사가 완만한 해저 환경을 새롭게 조성함으로써 수질 및 해양 생태계를 보전하는 환경 친화적 연안개발 공법의 도입이 요망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