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도시 바람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Analysis of Wind Data at the Cities in Korea with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ata -Wind Data Analysis in 32 Cities During 30 Years- (기상청 자료를 이용한 도시의 바람자료 분석 연구 - 32개 도시의 30년간 바람자료 분석 -)

  • Yoon, Jae-ock
    • KIEAE Journal
    • /
    • v.3 no.1
    • /
    • pp.5-12
    • /
    • 2003
  • Using the wind, we can get a thermal comfort in summer. In winter we must shut out the wind. To achieve sustainable environmental building design, especially wind data is very important. The wind direction and wind velocity of 32 cities were analyzed to suggest the wind map of Korea. The weather data which was used in this paper was from National Weather Service(19711.1~2000.12.3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monthly wind velocity of Seoul is 1.1m/s-3.8m/s. 2) The maximum wind velocity could be estimated from the annual average wind velocity. The regression curve is Y(The maximum wind velocity)=6.369732 X(annual average wind velocity) + 6.391668 (P< 9.66E-12). 3) The wind velocity at the inland area which is far from 25km sea side is smaller than coastal area. The distance from the sea is major index of wind velocity. 4) The monthly wind direction was compared inland area with coastal area. 5) The uniform-velocity line on the Korean map was obtained.

Zoning by Natural Disaster and Practical Application (풍수해관리구역의 설정과 활용 방안)

  • Song, Juil;Yoo, Jae-hwan;Jang, Moon-yup;Kim, Ha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8-258
    • /
    • 2015
  •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해당 지역의 풍수해 위험요인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피해예방 및 저감을 위한 각종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방재분야 최상위 종합 계획이다.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자연재해대책법 제16조,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같은 법 시행 규칙 제4조의4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및 시 군에서 수립하고 있다. 또한 자연재해대책법 제16조 6항에서는 광역도시계획, 도시 군기본계획 및 도시 군관리계획의 수립 변경권자가 광역도시계획, 도시 군기본계획 및 도시 군관리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시 군, 시 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반영하도록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물 위주의 저감대책, 풍수해위험지구 정보의 한계, 풍수해위험지구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으로 인한 개별사업에 의한 재해저감 대책 수립 등의 이유로 현실적으로 반영이 잘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경기도 도시기본계획의 방재 및 안전계획 부분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의 연계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지자체가 방재대책과 관련하여서는 원론적인 측면에서만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도시계획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천, 내수, 사면, 바람, 해안재해 등 재해유형별로 풍수해의 직접적 발생과 풍수해 발생에 영향을 주는 공간적 영역, 개발 상태, 개발예정 등 토지이용현황 및 계획 등을 고려하여 풍수해중점관리구역, 풍수해선제관리구역, 풍수해전략관리구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론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계획 수립 시 풍수해관리구역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풍수해관리구역 지정과 관련한 법제도 및 지침 등이 마련된다면 풍수해관리구역은 풍수해저감을 위한 토지이용 및 기반시설, 건축물 제한 등 도시계획적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구시 대기환경구조 특성에 관한 고찰

  • Park, Jong-Gil;Park, Mun-Gi;Gwon, Gi-Chan;Kim, Seok-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1-125
    • /
    • 2007
  • 대구시는 여름철을 제외하고 서북서풍내지 서풍으로 서풍계열의 바람이 우세하여 지리적으로 서쪽에 위치한 공장지대와 신흥 부도심의 영향이 도심지 내부에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그런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심내의 녹지공원 조성과 같은 오아시스 효과로 자연형 대기 순환 구조를 구축하지 않을 경우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심각한 피해가 초래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도시를 위한 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않된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대구광역시의 연평균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PM_{10}$, $NO_2$ 제외하고 환경기준을 초과한 것은 없으며, 주로 자동차와 주변 공장에 의한 오염원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M_{10}$의 경우 대구시에 산재한 환경측정만 대부분의 지점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므로 디젤 자동차 및 비산먼지 저감 등 미세분진에 대한 저감 대책을 신속히 마련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구시의 $O_3$$PM_{10}$의 고농도 현상은 고기압이 장시간 우리나라를 지배하면서 대기가 안정되고 바람이 약하여 국지풍의 발달이 용이할 경우 도심지내에 고농도 오염을 야기하고 있으며 지형적으로 도심의 오염물이 다른 지역으로 수송되거나 확산이 용이하지 않는 지형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도심을 흐르는 신천을 바람통로 이용하고 도심에 녹지공간 형성 및 도심지의 불투수성 지표면을 잔디 이식을 통한 자연형 도로로 바꾸어 줌으로서 도심내의 열 축적 현상을 줄이고 증발산을 도울 수 있는 cold island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사업은 풍속이 약하고 건조한 독일을 포함한 유럽의 내륙지방에서 활발하며 최근에는 해안에 있는 대도시에 저온의 해풍 또는 강바람을 도심에 유입시켜 도시열섬을 완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Ichinose, 1999, 2000; 김해동 외, 2002).

  • PDF

Predicting Suitable Restoration Areas for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he Islands of Jeollanamdo (전라남도 섬 지역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복원을 위한 적합지 예측)

  • Sung, Chan Yong;Kang, Hyun-Mi;Park, Seok-G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5
    • /
    • pp.558-568
    • /
    • 2021
  • Poor supervision and tourism activities have resulted in forest degradation in islands in Korea. Since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originally dominated by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t is desirable to restore forests in this region to their original vegetat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suitable areas to be restored 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existing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islands of Jeollanam-do. We classified forest lands in the study area into six vegetation types from Sentinel-2 satellite images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analyzed the tolerance ranges of existing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y measuring the locational, topographic, and climatic attributes of the classified vegetation types. Results showed tha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were distributed more in areas with a high altitudes and steep slope, where human intervention was relatively low. The human intervention has led to a higher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areas with lower annual average temperature, which was an unexpected but understandable result because an area with higher altitude has a lower temperatur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latitude and average temperature in the coldest month (January) were relatively less contaminated by the effects of human intervention, thus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suitable restoration areas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The tolerance range analysi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showed that they mainly grew in areas south of the latitude of 34.7° and a monthly average temperature of 1.7℃ or higher in the coldest month. Therefore, we predicted the areas meeting these criteria to be suitable for restoring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The suitable areas cover 614.5 km2, which occupies 59.0% of the total forest lands on the islands of Jeollanamdo, and 73% of actual forests that exclude agricultural and other non-restorable forest lan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help forest managers prepare a restoration plan and budget for island fo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