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유입감소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opulation Changes of Suaeda Japonica i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새만금 간척지 내 칠면초 개체군의 변화)

  • Kim, Chang-Hwan;Choi, Young-Eun;Lee, Nam-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3 no.3
    • /
    • pp.13-22
    • /
    • 2010
  • 본 연구는 칠면초의 분포역을 결정짓는 개체수의 변화와 성장 변화를 분석하고자 6개 조사역 18 Site에서 2006~2008년의 3년간 개체수 변화, 지상부길이 생장변화, 토양요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칠면초의 개체수 변화는 간척으로 인한 해수유입의 급격한 감소가 저위 염습지의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을 조성하여 2008년도 8월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는 영향을 나타냈다. 길이 생장변화 역시 강수, 해수유입 감소 등에 의한 탈염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토양요인의 변화에서 칠면초의 개체수 및 길이생장에 $EC_{1:5}dS/m$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새만금 만경강 하구역 갯벌 염습지는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인한 해수유입의 급격한 감소와 담수의 유량변화에 따른 수위변동 등의 환경요인에 의하여 간척사업이전 우점종인 칠면초의 분포역과 생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Tidal current and river plu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Kwangyang Bay (광양만 개발 전·후 조류 및 하천유출류 변동 특성)

  • Kim, Cha K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2-102
    • /
    • 2021
  • 광양만의 해수교환은 주로 여수해만을 통해 이루어지고, 만의 동측에는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으로의 해수교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만의 북측에는 섬진강을 끼고 있다. 광양항 건설 전 만내의 수심은 약 10 m 이내로 얕았으며, 만의 입구인 여수해만과 노량수로에서의 수심은 약 20 m 이상이었다. 광양만은 1982년 광양제철소의 건설을 시점으로 하여 광양항의 확장 개발, 폐기물처리장 건설 등으로 인한 매립이 진행되었다. 특히, 섬진강 하구는 광양만 개발 전에는 넓은 조간대 퇴적층의 발달로 다양한 생태계환경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광양항 건설 및 하구에서 모래 준설 등으로 인해 근래에 와서는 해수의 역류가 심각한 상태이다. 1982년 광양제철소 건설이후 계속적으로 광양만을 개발함으로써 해양환경에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 개발 전·후의 조석 및 해수유동의 변화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조석 및 조류에 대한 현장관측과 3차원 해수유동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한 후 남해도를 둘러싸고 있는 광양만, 진주만 등의 조석 및 조류의 변동특성을 해석하였다. 광양만 개발 전·후의 해수유동의 변동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김 등(1999)에 의해 개발된 3차원 layer·level 혼성 해수유동 모델을 광양만, 진주만을 포함하는 남해도 주변해역에 적용하여 30일간의 수치계산결과를 이용하여 해수유동의 변동특성을 해석하였다. 모델에서 격자간격은 동서-남북방향 동일하게 200 m, 시간간격은 20 sec, 계산영역은 동서방향으로 52 km, 남북방향으로 65 km인 260×325 격자체계로 구성 운영하였다. 외해 개방경계에서 조위는 수로국에서 관측한 조위와 본 연구에서 관측한 조위를 보간하여 사용하였다. 광양만 개발전·후의 조류의 변동특성을 수치해석한 결과 여수해만에서는 광만만 개발전이 개발 후보다 유속이 강하게 나타났으나, 노량수로에서는 개발 후가 개발전보다 유속이 훨씬 강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광양만 개발로 광양만으로 유입되는 조량이 감소함으로 인해 여수해만에서는 유속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노량수로에서 개발 후가 개발전보다 유속이 증가한 것은 여수해만을 통해 유입한 해수가 개발 후에는 광양만의 해수면적 감소로 광양만의 서측으로 유입하는 조량이 감소한 반면에 광양만의 북측(섬진강 하구) 또는 동측(노량수로)으로 유입하는 조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Freezing Desalination System using Seawater Heat Pump (해수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동법 담수화시스템 개념설계)

  • Lee, Ho-Saeng;Lee, Seung-Won;Yoon, Jung-In;Kim, Hyeon-Ju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4
    • /
    • pp.373-378
    • /
    • 2011
  • The freeze desalination cycle with seawater heat pump system is simulated and designed for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freeze desalination system. The basic model of seawater heat pump system is refrigeration cycle and indirect freeze desalination method is used for seawater desalination. The cycle performance of seawater heat pump such as COP, compressor work, condensing capacity was analyzed and the desalination performance such as fresh water productivity and energy per unit fresh water productivity was compared with respect to the seawater temperature of condenser inlet and ice ratio in the evaporator. The compressor work and condensing capacity decreased with respect to the decrease of seawater inlet temperature. The energy per unit fresh water productivity in case of $8^{\circ}C$ seawater inlet temperature showed 28.9% lower than that of $20^{\circ}C$.

Effects of the Oscillating Water Channel Length on the Water Surface Elevation within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진동수로 내장 해수교환방파제의 수로길이 변화에 따른 수위공진)

  • 이달수;오영민;전인식;김창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8a
    • /
    • pp.303-306
    • /
    • 2003
  • 해수교환방파제 설치로 항내의 수질개선 효과를 기대하려면 방파제를 통해 항내로 순유입량이 발생되어야 한다. 순유입량이 발생되기 위해서는 방파제 전면의 최대수위 또는 평균수위가 증대되거나 방파제의 도수로 내에서 항외측으로 발생하는 흐름을 감소시켜야 한다. (중략)

  • PDF

해수의 영향을 받은 영광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고찰

  • 조춘희;이현구;김통권;지세정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4-235
    • /
    • 2003
  • 근대에 들어 우리나라는 산업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해 과거보다 많은 수자원을 필요로 하고 있고, 오염도 많이 진행되어 있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하수는 농경을 위한 농약의 사용과 산업 폐기물 및 광산 폐수의 유입 등으로 인해서 오염이 되고 있다. 특히 해안지역에서 일어나는 지하수의 염수화는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해수침투는 해안 지역에서 지하수의 매장량을 감소시키고, 염도 증가로 인한 수질의 저하를 발생시켜 계속적인 지하수의 개발을 어렵게 만들고 인근 지역의 발전을 저해하게 된다. (중략)

  • PDF

Pollutant Dispersion Mechanism near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es from Youngsan River Seadike (영산강 하구언 방류에 의한 목포항 주변해역의 오염확산양상)

  • An, Soon-Sub;Kang, Ju-Whan;Park, Se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25-212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하구언 배수갑문의 개방으로 대량의 담수가 방류될 경우 목포항 인근해역의 해수유동 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부유물질/염분 농도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방류조건과 확산성분별로 12가지의 계산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MIKE21의 해수유동(HD)모듈과 오염 확산(AD)모듈을 이용하여 하구언 방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해수유동 모의결과, 배수갑문과의 거리에 따라 방류조건별로 수위와 유속이 최대 144.5cm, 175.6cm/sec까지 상승하였다. 특히 청계만 수역에서는 방류시기에 낙조시 유속이 최대 68.8cm/sec까지 감소해 방류에 따른 수위상승으로 낙조시 해수유출이 지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유물질 확산모의 결과, 목포 기준검조소를 기준으로 목포항 내부수역은 원활한 해수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오염원 유입시 외해로 쉽게 확산되거나 희석되지 못하고 계속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내 오염이 심각하게 우려되며, 특히 연속적인 담수 방류와 방류량의 크기가 내부수역의 부유물질 농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방류량이 작고 연속 방류가 행해지지 않는 비우기시의 오염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방류조건별 염분농도 역시 방류량이 크고, 연속적인 담수 방류가 행해질 경우 농도가도 크게 감소하며 확산면적도 증가하였다.

  • PDF

제주항에서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

  • 조은일;강기봉;김종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27-231
    • /
    • 2003
  • 제주항을 대상으로 오염부하의 정량적인 관리를 위하여 물질순환모델을 이용하여 해수유동특성과 COD, DIN 그리고 DIP의 농도분포를 시뮬레이션 하였고, 이 결과를 통해 해역의 수질개선대책으로 하천오염부하 감소와 저질개선을 통한 용출부하 감소에 따른 COD, DIN 그리고 DIP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부부하인 하천유입 부하량의 감소에 의한 제주항 내 오염물질 농도의 저감효과는 만 중앙부에서 만 외로 갈수록 그 영향범위가 미비하나 하천 유입부에 한정되어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제주항 내로 오염부하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서 제주항의 하천 유입부 수질개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내부부하인 저질 영양염 용출부하를 감소했을 경우의 제주항 내 영영염 농도의 저감 효과는 하천유입 부하량의 저감시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제주항의 하천 유입부보다는 만 중앙부나 만 유입부의 수질개선에 효율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DIP의 경우 그 양상이 잘 나타났다. 하천과 저질의 총 부하량을 100% 감소했을 경우, COD의 농도분포는 하천유입부인 정점 St. 1에서 약 44%정도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유입 부하량만을 감소했을 때보다는 저감효과가 증가하였다. DIN의 경우는 하천유입부하와 저질 용출부하를 각각 따로 저감했을 경우에 비해 전체적으로 저감효율이 상승하고 있으며, 만 중앙부에서 만 유입부로 갈수록 그 경향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총 부하를 저감시켰을 때 제주항내의 DIN 농도는 정점 St. 3 다음 지점부터 해역수질기준 II등급을 유지되는 수질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DIP의 경우는 DIN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정점 St. 4 이후로 해역수질기준 II등급 이하로 유지되는 수질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재 해역수질기준 III등급인 제주항 내에서 수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천유입부하량의 저감뿐만 아니라 항내 저질개선 등을 통하면 전체적으로 II등급 이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Functional Assessment of Nakdong River Barrage for Preventing Salinity Intrusion Using EFDC Model (EFDC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둑 염수침입방지 기능 평가)

  • Son, Yong-Ku;Jeong, Sang-Man;Cha, Kee-Uk;Hur, Young-Te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18-202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의 주요 기능 중에서 용수공급에 지장을 초래하는 염수침입 및 염해피해 방지 효과에 대하여 재평가 하고자 한다. 평가범위는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전의 지형상황을 재현하고, 하구둑이 없는 조건 하에서 상류유입유량을 변화시키며 외해를 통한 염분 침입 가능범위를 수치모의 함으로서 하구둑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수치모형인 EFDC 모형 입력자료로 낙동강 하류부 및 외해 수역에 대한 3차원 지형도를 작성하였고. 평면 직교곡선격자망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을 분할하였다. 초기조건으로 전 수역을 담수(염도 0.0psu)로 가정한 상태에서 하류단 경계에 실측 조위 및 해수조건(염도 33psu)을 적용하고 상류단에는 $50m^3/sec$를 적용하여 약 20일간 수행된 결과를 사용하였다. 상류유입유량을 $10^{\sim}250m^3/sec$의 범위로 변화시키고, 하류단 경계조건으로 조위를 적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 염수침입현상에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상류로부터 유입하는 유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 담수와 해수의 밀도 차이에 인한 밀도류형성 및 조석에 의한 염수의 밀어올림현상이 하류에서 상류로 염수가 침입하는데 다소의 영향이 있었다. 유입유량이 $250m^3/sec$에서 $10m^3/sec$로 감소할 경우 염분농도 1psu의 도달범위는 11km에서 50km정도로 증가하였다.

  • PDF

The Effect of Sea Water Containing Heavy Oil on RO Membrane (유탁해수의 RO막에 대한 영향)

  • Cho, Bong-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1
    • /
    • pp.1-10
    • /
    • 2000
  • An experimental study regarding the effect of emulsions on RO is presented. Heavy oil was added to the sea water and the distilled water separately and treated for 30 minutes by a homogenizer to make emulsions. For the case of the sea water without heavy oil the permeate de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Chloride and conductivity increased with time, due to the fouling occurring as the suspended solids in the sea water accumulated on the membrane surface. Rejection rate of salt was 99.6~99.7%. As for the sea water containing heavy oil, the permeate decreased slowly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is result was the same for the case of the sea water only. However. chloride and condu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heavy oil was added. In the second experiment with sea water containing heavy oil, the operation time of RO was reduced considerably. With addition of oil, the chloride increased greatly, while the permeate reduced comparatively. In the experiment where emulsion of $0.3{\sim}0.8mg/{\ell}$ was supplied to RO. oil concentration was about 10ppb in the permeate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case of the distilled water containing heavy oil. the conductivity increased. However. the permeate reduced to 30% compared to the case of the sea water containing heavy oil. The case of sea water containing heavy oil showed an opposite result, bu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oil on RO was significant. Oil caused fouling of the RO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whole system, and as the result the system could not be operated properly. As a result the membrane capacity, the amount and water quality of permeate deteriorated significantly.

  • PDF

Evaluation of Offshore Water Quality by Bioassay Using the Gametes and Embryos of Sea Urchins (성게 알을 이용한 생물검정에 의한 연안해수 수질평가에 관한 연구)

  • Yu, Chun-Ma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3 no.3
    • /
    • pp.170-174
    • /
    • 1998
  • The water quality of offshore waters around the Korean coast was evaluated by bioassay using gametes, embryoss and early development systems of a sea urchin species Hemicentrotus pulcherrimus.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the inflows of several river systems, the west coast maintain the grade II water. Thi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decrease in pollutant input resulting from the purification of inflow rivers (e.g., the control of waste water discharge and the construction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the dilution of pollutants by a strong tidal mixing with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ebb and flood tides. However, Asan, Hampyong and Chonsu bays, where circulations of water are relatively poor, and the Kunsan and Mokpo harbors which are influenced by pollutants from neighboring cities have shown the grade III water. The south coast has maintain the grade II or III because developments of sea urchins were moderately or strongly inhibited. Also, Kangjin, Duekryang, Kwangyang, Masan, and Jinhae bays where water circulations are relatively poor, show the grade III water, with strong inhibitions of the early development of sea urchins. The east coast has maintained the grade I and II due to monotonous coastlines and smooth circulation of sea water. However, Chongcho Lake shows the worst water quality due to the breakwater which is constructed to maintain port fun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