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유동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부안 지역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삼차원 수치 모델링

  • Kim Jung-Hwi;Kim Jun-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87-91
    • /
    • 2006
  •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일대이다. 이 지역의 해안 대수층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수 침투 현상을 효과적으로 모사하고 지하수 양수정의 설치 및 운영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지형과 지층의 구성 등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삼차원 수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양수 전의 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 결과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의 측면에서 대상지역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이 잘 반영되어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양수 시의 비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 결과에서는 지형과 지층의 특성에 따라서 염분 이동의 양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수정의 위치에 따른 염분 농도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연구지역 뿐만 아니라 국내의 다른 해안 지역에서 지하수 자원의 개발 시에 해수 침투의 양상을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해양음향 토모그래피 기술

  • 나정열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96-109
    • /
    • 2004
  • 해수의 물리적 성질은 수온, 염분 그리고 밀도 등으로 특성 지워지며 이러한 특성들의 시공간적인 분포 파악은 해수의 유동, 해양-대기 상호작용 및 해수자원 분포 파악 등에 필수적인 요소로 해양학 연구의 기본 관측 항목이 된다.(중략)

  • PDF

GIS와 해수유동모델 POM과의 연계 방안 연구

  • 허천우;김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2.03b
    • /
    • pp.61-68
    • /
    • 2002
  • GIS와 하천수질 모델링과의 연계에 관한 연구는 점점 많아지고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해양모델링과 GIS와 연계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해양모델을 GIS와 연계하는 측면을 고려해 보았다. 해양모델 중에 해수유동에 관한 모델 POM(princeton Ocean Model)을 선정하여 해양모델의 구동을 위해 자료를 만드는 것과 결과물을 도시하는 데 있어서 GIS를 사용한다. 그래서 기존의 해양모델을 사용하는 측면에서의 편이성을 도모하고, 또한 해양모델의 구동을 위해 자료 만드는 측면에서 정확성을 높이게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idal Flow Simulation of Real Tide in West-South Coastal Waters of Korea (실조석에 의한 한국 서남해 연안역에서 해수유동의 재현특성)

  • Jeong, Seung-Myong;Park, Il-He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5
    • /
    • pp.531-541
    • /
    • 2020
  • In this study, a computed tide of a real tide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numerical solutions for tides and tidal flow simulations. The real tide was defined considering the nodal modulation amplitude, phase correction factor, astronomical argument, and tidal harmonic constants of all the constituents.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real tide parameters for the west-south coastal waters of Korea, where the observation data for tides, tidal currents, waves, and winds over two seasons exist. The tidal flow simulation of the real tide was simulated successfu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observed and calculated values was 1.0, which indicated both accurate amplitude and phase. The U- and V-components of the tidal current obtained for the real tide had average valid correlations of 0.83 and 0.936, respectively. The speed error for the residual current was 0.006 m/s on the average, which indicated an in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directional behavior of the residual current was very similar. In addition, the velocity error was attributed to various weather effects, such as high waves and wind storms. Therefore, this model is expected to improve current solutions provided that weathering forces, such as waves and winds, are considered.

Impact of the coastal structures on the water circulation near Gusipo coast, Yellow Sea, Korea (서해 구시포 해안에서 해수유동에 미치는 구조물의 영향)

  • Kim, Cha-Kyum;Park, Il Heu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1
    • /
    • pp.865-875
    • /
    • 2022
  • Field measure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using EFDC model were performed to quantify the changes of water circulation near Gusipo coast located in the Yellow Sea of Korea to estimate the impact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astal structures (jetty, groin, Gusipo port and bridge). The model predicted tide and tidal currents agreed reasonably well with the measurements. The maximum currents during spring tide near the Gusipo Beach (GB) have the range of 20~40 cm/sec whereas those off the GB range from 60 to 80 cm/sec. The typical patterns of tidal current show parallel with the local isobath. Tidal currents flow northeastward during the flood tide whereas the currents during the ebb tide flow southwestward. The current speeds at shielded waters after the construction of coastal structures strong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before the construction. The tidal volume due to the construction of coastal structures was estimated using the depth averaged velocity for 24 hours of spring tide. Tidal volume after construction of coastal structures was compared with initial state (before construction). Tidal volume at present state (after construction of jetty, groin, Gusipo port and bridge) decreased by 28.4%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initial state. The volume after construction of jetty and groin decreased by 21.3%, and the volume after construction of Gusipo port and bridge decreased by 9.8%.

On Numerical Simulation of Salt-Water Wedge in Coastal Aquifer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관한 수치적 고찰)

  • Lee, Woo-Dong;Hur, Dong-Soo;Jeong, Ye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2-82
    • /
    • 2015
  • 해안 대수층은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해수가 대수층의 담수 아래에 쐐기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쐐기형태의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은 압력경도의 평형에 의해 경계면이 유지되며, 해수면 또는 지하수위가 변동할 경우 해수-담수 경계면의 균형이 무너짐과 더불어 압력경도의 평행이 이루어질 때 까지 해수-담수 경계면의 이동이 계속 진행된다. 수위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과 도서지역의 인구증가 및 산업화로 인한 무분별한 지하수의 사용 등에 의한 지하수위 저하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해안 및 도서지역에서는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거리가 증가하여 지하수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 범위 및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로 밀도가 다른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해안 대수층 내의 수리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에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들이 많다. 과거에는 Darcy의 법칙 및 Ghyben-Herzberg 식에 근거한 이론적인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현장관측이나 수리모형실험이 국내 외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모든 영역의 지하수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수치해석방법에 의한 수치모델들이 개발되어 시뮬레이션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수치모델은 해안 대수층 수리특성을 투수계수에 의존하고 있을 뿐, 대수층 내부의 해수-담수에 의한 밀도류의 유동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채 정수압에 근거한 해수-담수 경계면에 대해 모의하고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 대수층 내부의 유동현상을 투수계수에 의존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대수층 매체의 입경, 공극, 형상 등을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분 및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를 해석할 수 있는 강비선형 수치모델을 개발하여 해수침투 현상을 직접 모의한다. 나아가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에서 간과하고 있는 해안지역의 대표적 물리력인 파랑과 조석의 영향이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해안 대수층의 지하수위 및 해수면의 수위차에 의한 해수침투 특성 그리고 이를 제어 할 수 있는 새로운 대응기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he Seawater Intrusion near Simulated Underground Storage Caverns in the Coastal Area (임해지역의 모의 지하 비축 시설 주변에서 해수 침투에 의한 지하수 유동 특성)

  • 황용수;배현숙;서동일;김경수;김천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9 no.1
    • /
    • pp.17-29
    • /
    • 1999
  • There are three major processes to impact the groundwater flow near underground storage caverns in the coastal area; effect of topography, effect of sea water intrusion, and effect of excavation.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three items were numerically studied to identify the major cause for altering the flow pattern. It turned out that the excav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The groundwater pressure distributions and consequent groundwater pathways were significantly altered near the openings. By increasing the groundwater pressures from water curtain holes, the potential leakage of storage cavern was properly prevented

  • PDF

GUI Implementation for 3D Visualization of Ocean Hydrodynamic Models (해수유동모델 결과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한 GUI 구현)

  • Choi, Woo-Jeung;Park, Sung-Eun;Lee, Won-Chan;Koo, Jun-Ho;Suh, Young-Sang;Kim, T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3
    • /
    • pp.99-107
    • /
    • 2004
  • This study presents an application of GIS technologies to construct the graphic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exhibition of the results obtained by ocean hydrodynamic model. In coastal management studies, GIS provide a receptacle for scattered data from diverse sources and an improvement of the 3D visualization of such data. Within the frame of a GIS a variety of analytical, statistical and modeling tools can be applied to transform data and make them suitable for a given application. A 3D hydrodynamic model was driven by time-dependent external forcing such as tide, wind velocity, temperature. salinity, river discharge, and solar radiation under the open boundary condition. The Jinhae bay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Here, we have used GeoMania v2.5 GIS software and its 3D Analyst extension module to visualize hydrodynamic model result that were simulated around the Jinhae bay.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ing Velocity and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for Fine-Grained Cohesive Sediments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강 속도와 부유사 농도의 관계)

  • 황규남;이태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02-108
    • /
    • 1996
  • 연안매립 및 신항만 건설, 해안선 정비사업 등과 같은 대규모 공사는 인근 해역에서의 해수유동의 변화와 해수의 혼탁도 증가 및 퇴적물의 침식과 퇴적에 의한 해저 지형의 변형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기존 항로의 매몰과 해양생물 생태계 변화 등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한국의 서해연안 대부분과 남해연안 일부에 분포되어 있는 미세-점착성 퇴적물은 사질성 퇴적물과는 달리 퇴적물에서 부유된 토사 입자의 침강 속도가 아주 작아서, 파랑과 조류 등과 같은 해수유동에서 의해 쉽게 이동되어 현저한 해저 지형의 변형을 초래한다. (중략)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sea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level change using SEAWAT model (SEAWAT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영향 분석)

  • Nam, Jae Jun;Yang, Jeong Seok;Kim, Il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95-295
    • /
    • 2015
  • 강우의 시 공간적 불균형이 심한 우리나라는 수자원 확보 및 관리가 어려움에 따라 신규 수자원 확보와 기존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대체수자원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이용지점에서 바로 취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염이 진행되면 복구에 상당한 기간과 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해안지역 수자원의 경우, 내륙지역에 비해 하천이 발달해 있지 않아 지하수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 따른 수량적 문제와 해수와 접해있는 면적이 많음에 따라 지하수와 해수간의 유동으로 인한 수질적 문제로 지하수 관리가 더욱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지하수유동해석프로그램인 Visual MODFLOW의 SEAWAT model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의 영향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태안지역의 근흥1, 근흥2 관측소의 지하수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2008 ~ 2014년 까지 매년 지하수위 변동에 따라 해수침투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해수침투 영향 판단 인자인 EC, TDS는 각 관측소 데이터를 통한 환산 및 분석 진행하고, $Cl/HCO_3$ 몰비는 참고문헌을 인용하여 모델링에 의한 해수침투 영향과 관측자료 및 이온분석을 통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