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양수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astal seawater intrusion mitigation research by negative and positive hydraulic barriers (해수양수공법과 담수주입공법의 해안지역 지하수 해수침투 저감 효과)

  • Jung, Eun Tae;Park, Nam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3-83
    • /
    • 2015
  • 최근 수자원 이용량의 증가 및 수자원 공급의 부족에 따라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지하수 이용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내륙 지역의 지하수 개발 시와 비교할 때 해안 지역의 지하수 개발에는 해수침투 현상에 대하여 추가적 고려가 필요하다. 알려진 바와 같이 해안 지역의 과잉 양수와 해수면 상승 으로 해수침투가 더욱 깊이 침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정략적인 해수 침투길이 산정과 더불어 해수침투를 허용가능한 범위 내로 제한 시키는 지하수 개발이 필요하다. 해수침투 저감 공법에는 저투수차수벽 설치, 담수주입공법, 해수양수공법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저투수차수벽의 해수침투 저감 효율은 크지만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으로 본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담수주입공법은 대수층에 담수를 주입하여 해수침투를 저감시키는 공법으로 인근에 양질의 수원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해수양수는 해안가에 양수정을 설치하여 해수침투를 저감시키지만 양수정에서의 담수가 혼합되어 담수낭비가 생기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중 담수주입과 해수양수공법의 효율을 검증하고 각각 공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지하수 경계면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리수문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과 해수침투 정도를 사례별로 연구하였다. 담수주입공법의 경우 담수주입량 많을수록 해수침투가 저감되는 경향이 있지만 최적의 담수주입량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해수양수공법에는 해수양수량이 증가하고 해수양수정의 위치가 해안선에 접할수록 해수침투 저감 효과가 있었다. 담수주입공법과 해수양수공법을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 해안가에 적용할 경우 해당 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적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 PDF

Effectiveness of Double Negative Barriers for Mitigation of Se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 Sharp-Interface Modeling Investigation (경계면 수치 모델을 이용한 해안 지역 이중 양수정의 해수침투 저감 효과)

  • Jung, Eun Tae;Lee, Sung Jun;Lee, Mi Ji;Park, Nam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87-1094
    • /
    • 2014
  • Saltwater pumping method can be used to mitigate salt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s. However, the saltwater pumping well may discharge large freshwater along with saltwater, thereby wasting precious resources. A double negative barrier was proposed: an inland well to capture freshwater and a saltwater well near the coastline to pump saltwater. A previous study anaylzed effects of double negative barriers in dispersion-dominated coastal aquifers and determined the critical pumping rate at the saltwater well which minimized the saltwater ratio at the freshwater well. However, the study resulted in 1~15% of saltwater ratios, which were too high, for example, for drinking water standards. This study analyzed cases that were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y, but for advection-dominated cases, and found that freshwater with sufficiently low saltwater ratios could be developed at the freshwater well. In addition, for optimal groundwater management of a watershed not only the minimum saltwater ratio at the freshwater well but also the least freshwater wasted at the saltwater well must be pursued.

Effects of the Pumping Rate on the Salt Concentration (지하수의 염분농도 변화에 미치는 양수의 영향)

  • Park, Jae-Sung;Lee, Ho-Jin;Kim, Kyoung-Ho;Yun,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95-1899
    • /
    • 2006
  • Seawater intrusion phenomenons of coastal area happen by natural or artificial factor. For example, density difference of seawater and fresh water, surface of the water change by tidal current, pumping, aggregate picking from mouth of a river, large scale reclamation in water area business etc. This research analyzed effect that groundwater TDS changed by pumping.As a result, it was expose that TDS density increases by sudden inflow of seawater when do pumping up more than $200m^3/day$. Finally, We are expected to prevent calamity by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rea through this study and propose optimum pumping amount to use groundwater safety.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water Seepage According to Stratum Structures (지층구조에 따른 해수 침투 특성 분석)

  • Ahn, Seung-Seop;Park, Dong-Il;Jung, Do-Joon;Moon,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82-1985
    • /
    • 2010
  • 해수침투는 대수층의 염분 농도를 증가시켜 지하수 염분화에 의한 용수의 부족 등을 야기시키며 다른 지하수 오염과 마찬가지로 회복에 대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어 피해지역에 대한 정확한 현황파악이 어려워 피해방지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흐름과 이송을 모의할 수 있는 GMS-FEMWATER 모델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지층구조를 구분하고 실제 대상지역의 지층과 동일하게 모델링하여 해안지역의 해수침투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양수기간이 길어 질수록 지하수두강하 폭이 양수기간 30일, 60일, 90일 및 180일 경과 시 초기 수위에서 점차 4.25m (1.36%), 3.5m (1.13%), 2.96m (0.97%), 1.97m (0.65%)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수량이 많은 관정일수록 해수 침투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양수기간 30일 0.59mg/l, 채수 60일 1.65mg/l, 채수 90일 3.14mg/l, 180일 5.55mg/l으로 분석되었다. 이결과로 볼 때 양수기간 초기에서 기간이 지날 수록 해수침투가 큰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Mitigation of Seawater Intrusion Using Tidal Fluctuation (조위 변화를 이용한 무동력 해수침투 저감 방법에 대한 실험연구)

  • Nam, Byunghee;Park, Nam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1-91
    • /
    • 2018
  • 해안 및 도서지역의 경우 다양한 목적으로 지하수를 개발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은 내륙의 담수와 해안의 바닷물이 대수층에서 만나게 되는데, 비중차이에 의해 섞이지 않고 해수-담수 경계면을 가지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담수영역에 위치한 지하수개발관정의 과잉양수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인해 해수침투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기존 해안지역 지하수개발관정이 해수로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수침투로 오염된 대수층의 경우 회복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취수원으로 사용이 어렵게 된다. 국내외에서는 해수침투저감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 해수침투 저감방법으로는 해수양수로 내륙으로 침투하는 해수를 제거하거나 담수 주입으로 침투 하는 해수를 밀어내게 된다. 또는 지하 차수벽 설치로 해수침투를 조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해수침투 저감방법들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적용지역에 적절한 해수침투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해수침투 저감 방법의 경우 공통적으로 해수양수, 담수 주입을 위한 동력조달 혹은 차수벽 설치비용과 같이 경제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위를 이용한 무동력 해수침투 저감 방법을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 해수침투 저감방법과 비교해서 설치 및 운영비측면에서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ssessment on Saline Water Intrusion between Types of Injections of Artificial Reclaimed Water and Extractions in Artificial Aquifer (인공 하수처리수 주입과 양수 방식에 따른 인공 대수층의 해수침투평가)

  • Kang, Jeong-Ok;Lee, So-Jung;Kim, Chang-G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6
    • /
    • pp.603-612
    • /
    • 2006
  • The study with laboratory sandbox model has been carried out to address potential use of reclaimed water, as a way for artificially recharging the coastal aquifer, to effectively prevent from seawater intrusion. To do this, we assessed hydraulic and geochemical properties depending upon various extraction and recharging conditions. While solely being recharged, the intrusion could be significantly retarded than those of recharge and extraction implied together. At 0.5 to 2 for the ratio of the extraction over the recharge rate, the fresh water was exploited from the tank, where the void regime was simultaneously saturated with the recharged water. In the meantime, the saline water zone was diluted and back-tracked by the recharged water due to forming a hydraulic geochemical barrier around the injection well. However, if the ratio was being increased to greater than 4, saltwater more deeply intruded to the freshwater zone because the artificial recharge was not sufficiently supplied to timely back-fill the void space. When the aquifer water was intermittently extracted at the ratio of $0.5{\sim}2$ over the recharge rate, the value of S.M.I. decreased, but increasing it to more than 4 unlikely escalated the value of S.M.I as much as $3{\sim}47%$ indicating that the salt water intruded. It finally revealed that the proper ratio of extraction/recharge or intermittent extraction would efficiently retracted seawater intrusion while the freshwater sources could be conservatively utilized.

An Experimental Study on a Sea Water Infiltration Control via Pumping of Salt Water at Coastal Aquifer and Calculation of the Maximum Possible Amount of Pumping (해안대수층에서 염수 양수를 통한 염수 침투 제어 및 가능 최대 담수 양수량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uh, Seong-Kook;Oh, Chang-Moo;Kim, Won-Il;Ho, Jung-Seok;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01-200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해안지역 대수층에서 해수침투가 일어나지 않는 지하수의 최적 양수량을 산정하였다. 해안 대수층 및 양수정을 구현하기 위해 가로 140 cm, 세로 70 cm, 두께 10 cm 의 직사각형 Sandtank 모형과 5 mm 원형관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해수의 염도, 해안가의 지표경사 등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다공질 매체의 입자크기에 따른 수리전도도 2가지를 경계조건으로 하여 각각의 양수정 위치에 따라 최대 담수량을 모의하였으며, 이 때, 하나의 과잉 담수량에 따른 최적 염수량을 산정하여 염수침투 제어 효과를 검증하였다. 다공질매체의 수리전도도가 높을수록 최대 담수량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염수 침투 제어를 위한 최적염수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양수정의 위치가 염수조에 가까울수록 최대담수량 및 최적염수량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모의를 통하여 설정된 각각의 양수정 위치에서 최적의 염수량으로 염수침투를 제어함으로써 지속시간 이용가능한 최대담수량을 나타내었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 (연안 대수층에서 해수침투 축성 해석)

  • 이연규;이희석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4 no.3
    • /
    • pp.229-240
    • /
    • 2004
  • Coastal aquifers may serve as major sources fur freshwater. In many coastal aquifers, intrusion of seawater has become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imposed on groundwater utilization.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in coastal acquifers means making decision as to the pumping rate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ells. Several numerical techniques for flow and solute transport simulation can provide the means to achieve this goal. As a basic study to predict the intrusion of seawater in coastal phreatic aquifers, the coupled flow and solute transport analysis was conducted by use of the 3-D finite element code, SWICHA.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location and the shape of freshwater-seawater transition zone were affected by the boundary conditions and hydrogeologic variables, parametric study was carried out.

Design of Optimal Wet-Season Injection Well for Augmenting Groundwater Resources in Coastal Areas (해안지역 지하수자원 확충을 위한 우기 인공주입정의 최적설계)

  • Park, Nam-Sik;Shi, Lei;Cui, Lei;Lee, Chan-Jong;Mun, Yu-R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5
    • /
    • pp.415-424
    • /
    • 2009
  • Artificial injection of surplus surface water during wet seasons and recovery is one of possible solutions for conjunctive uses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The methodology is especially attractive for regions of monsoon type weather. In this work a simulation-optimization model is developed to identify an optimal injection system to sustain an over-exploiting freshwater pumping well. The injection well is to be operated during wet seasons only while the pumping well is to be operated throughout an entire year. The objective function is the minimization of injected volume of freshwater. Saltwater intrusion and dry wells are considered as constraints. An example application is made on a small hypothetical island with poor hydrogeologic conditions. The optimization model is successful in determining optimal injection locations and rates for various cases.

Artificial Injection to Control Salt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Numerical Study on a Vertical Cross Section (지하수 해수쐐기 제어를 위한 인공주입-연직 2차원 단면 수치실험)

  • Hong, Sung-Hoon;Shi, Lei;Cui, Lei;Park, Nam-Si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2
    • /
    • pp.131-138
    • /
    • 2009
  • A simulation-optimization model is developed for development of groundwater and control of a saltwater wedge for protecting over-exploiting freshwater pumping wells. To achieve the goal an objective function is developed for three types of wells: freshwater pumping, freshwater injection and saltwater pumping. Integri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is accounted for by including three indices. Illustrative cross-sectional examples show that both types of barriers can protect freshwater pumping wells from saltwater intrusion. A barrier well operating at the same rate located anywhere within a certain reach can protect a pumping well. However, the location of the reach appears to contradict the common practice of barrier placements. Consideration of the groundwater environment yields a unique optimal location for barrier w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