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부유물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Visualization System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Using Processing of Hydro-elastic Analysis Data (유탄성 해석데이터 처리를 통한 초대형 해상구조물의 가상 목업 가시화 기술 개발)

  • Cha, Moohyun;Park, S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773-77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대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및 상부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실시간 그래픽환경에서 가상 목업을 이용해 가시화하였다. 구조물 자체의 탄성 변형이 고려된 유탄성 응답해석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실시간 가시화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3 차원 환경에서의 VLFS 및 해양파 가시화 결과와, VLFS 및 상부구조물 거동의 연동 결과를 소개하였다.

파랑중 가두리 시설의 운동 특성

  • 김태호;김재오;정의철;류청로;김대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3-24
    • /
    • 2000
  • 프레임에 그물감을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는 가두리 시설은 대부분 수면에 반잠수 상태로 부유되어 계류되어 있기 때문에 파랑이 작용하면 운동을 하게 되며, 특히 파도가 높은 해역에서는 파에 의해 구조물이 연직 방향으로 크게 운동을 하여 어류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해상 작업을 하는 인부에게도 매우 위험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파랑에 의한 운동이 최소화되도록 구조물을 설계해야 한다. (중략)

  • PDF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연안어선 개발에 관한 연구

  • 고재용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7
    • /
    • pp.24-43
    • /
    • 2005
  • 최근 우리나라 어선어업은 한중일 어업협정, 연안 어업자원 감소 및 연안오염 등 사회적, 환경적 변화가 급변하고 있어 이들을 고려한 어선 선형개발이 필요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어선 중 연안지역에서 조업하는 5톤 미만의 소형어선은 전체 어선 중 $65\%$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선박의 크기가 작고 부가가치가 낮은 관계로 지금까지 전문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한편, 서$\cdot$남해 연안에서 작업 및 항해하는 연안어선들의 해양사고 발생율은 전체사고의 $69.6\%$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체 어선 안전사고 중 부유폐어망, 로프 등이 추진기에 감긴 사고는 전체 사고의 $10.4\%$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추진기 손상에 의한 어선 사고와 연관하여 추진기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물분사 추진기(Water-Jet), 펌프제트(Pump-Jet)장치들이 있으나 이들은 고가 수입품으로서 영세한 어민들의 소형어선에 장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폐그물, 로프 등 해상 부유물에 의한 추진기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추진장치를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펠러 부착 추진장치는 기존 선미를 수정하여 추진기를 선체 안쪽으로 배치하며 돌출되는 부분은 덕트로 보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진기는 워터제트 추진기와는 달리 가격이 싸고 그물이나 부유물에 걸리지 않고 고장 시 신속한 대응이 쉬워 소형 연안어선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그물, 부유물, 갯벌이 많은 국내의 서$\cdot$남해 연안에서 작업 및 항해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연안어선의 선형개발`을 최종목표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개발 내용은 기존 소형 연안어선의 분류 및 특성 조사 연구, 프로펠러 보호터널형 선미 선형 개발, 기존 선형 및 보호터널형 선형의 모형시험, 개발선의 구조강도 특성, 프로펠러 설계 및 단독시험, 보호터널 부착 추진기의 효율 검증 및 개발 대상 어선의 조선공학적 제 계산, 설계도작성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요소 기술로서는 프로펠러 보호터널 부착 선형의 모형시험을 통하여 선미선형을 개발하며 FRP판부재의 구조강도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4톤급 연안어선의 시제선을 건조하고 시운전을 통하여 주요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Estimation of Structural Safety for PolyEthylene (PE) Floating Platforms with API & AISC Standards (API & AISC 기준을 적용한 PolyEthylene (PE) 부유식 플랫폼의 구조 안전성 검토)

  • Seo, Kwang-Cheol;Nam, Taek-Kun;Park, Joo-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2
    • /
    • pp.237-243
    • /
    • 2019
  • Floating platforms made of PE (PolyEthylene) are often located in shallows of seas, rivers or lakes. They are widely used for marine pensions, marine pontoons, marine bridges, etc. These products are characterized by good flexibility, recyclability, chemical resistance and weatherability with corrosion resistance. Existing PE floating platforms have a simple structure in which one pipe is fastened to one bracket, but this has limited application, even if a user modifies the arrangement. Therefore, we developed a structure that allows buoyancy pipes of various sizes to be fastened to one bracket and verified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roduct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From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for buoyancy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the maximum stress ratio was 0.78 compared with allowable criteria of 1.0, which represented sufficient safety for a model with 500 mm diameter pi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to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various floating platforms can be carried out in the further;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establish related evaluation criteria.

A Study on the Container Yard of Mega-Float Offshore Structure Type (부유체식 Container Yard에 관한 연구)

  • 박성현;박석주;고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3-138
    • /
    • 2002
  • Recently, mega-float offshore structure is studied as one of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ocean space. And mega-float structure are now being consider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floating airports, container yard, offshore cities and so on. This mega-float structure is relatively flexible compared with real floating structures like large ships. when we estimate dynamic responses of these structures in waves, the elastic deformation is important, because vertical dimension is small compared with horizontal. The analysis of the dynamic response as it receives regular wave is studied.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used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section of this model. And the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the boundary element method int eh fluid division. In order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response of the mega-float structures, effects of wavelength, water depth, and wave direction on dynamic response of the floating structure are studied by use of numerical calculation.

  • PDF

A Prediction Method of Tension on Containment Boom for Marine Floating Debris (부유물 차단막에 작용하는 장력추정에 관한 실험연구)

  • Yu J. S.;Sung H. G.;Ryu J. 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2
    • /
    • pp.63-71
    • /
    • 2003
  • The main functions of containment boom for marine floating debris are to prevent spreading of the marine floating debris and to effectively collect the trash skimmer.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ntainment boom for marine floating debris in wave, current and wind are investigated. The response of a containment boom on the current is a function of a number of parameters, such as geometric characteristics, buoyance/weight ratio and towing velocit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design parameters more clearly, a series of tests with three models with the variation of current speed and gap ratio was conducted. The model tests results are developed to new numerical equation that is tension prediction method of containment boom for marine floating debris. Also its is compared with open sea experimental results.

  • PDF

Prediction of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서남해에서 해상풍력구조물의 건설에 의한 해저지형의 변화예측)

  • Jeong, Seung Myung;Kwon, Kyung Hwan;Lee, Jong Sup;Park, Il He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6
    • /
    • pp.423-433
    • /
    • 2019
  • In order to predict the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field observations for tides, tidal currents,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and seabed sediments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se data could be used for numerical simulation. In numerical experiments, the empirical constants for the suspended sediment flux were determined by the trial and error method. When a concentration distribution factor was 0.1 and a proportional constant was 0.05 in the suspended sediment equilibrium concentration formulae, the calculat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were reasonably similar with the observed ones. Also, it was appropriate for the open boundary conditions of the suspended sediment when the south-east boundary corner was 11.0 times, the south-west was 0.5 times, the westnorth 1.0 times, the north-west was 1.0 times and the north-east was 1.0 times, respectively, using the time series of the observ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this case, the depth change was smooth and not intermittent around the open boundaries. From these calibrations, the annual water depth change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was shown under 1 cm. The reason was that the used numerical model for the large scale grid could not reproduce a local scour phenomenon and they showed almost no significant velocity change over ± 2 cm/s because the jacket structures with small size diameter, about 1 m, were a water-permeable. Therefore, it was natural that there was a slight change on seabed topography in the study area.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Vorticity Interactions of Floating Breakwaters (부유식방파제의 수리특성 및 와 상호작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on, Jae Seo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5-55
    • /
    • 2011
  • 연안 및 해안공학의 발달과 더불어 부유식방파제의 기능적 효율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흔히 사용되어오던 착저식방파제는 설치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환경 및 생태계에 많은 변화를 줄 수 있으며, 설치 예정지의 수리학적 특성 등의 여건에 많은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다. 부유식방파제는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용이 잦아지고 있는 방파제로서 수면 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친환경방파제이다. 또한 기존에 시공된 중력식방파제와는 달리 수심에 제한을 덜 받고, 공사기간이 짧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실제 시공사례로는 2007년 마산 원전항에 완공된 부유식방파제가 대표적이며, 지금까지도 부유식방파제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방파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처럼 국토의 면적이 작은 지역에서 증가하는 해상물동량을 소화하기 위해서 부유식방파제 등을 이용한 항만의 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유식방파제의 분석적인 측면에 있어서 수치해석은 파랑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부유식방파제 단면형상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없으므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부유식방파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인한 유동장 해명이 가능해 졌으며,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및 LDV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LDV시스템은 측정하려는 한 지점에 대하여 레이저 빔을 단면(Cross-section)으로 만들고 입자의 산란광을 후방산란(Back scatter)으로 받아서 도플러 효과를 이용, 속도에 대한 주파수를 획득하며,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로 매우 높은 정확도와 비접촉식 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PIV 시스템에 비하여 측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반면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고 활용할 만큼 높은 정확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단독형, 2열형 및 3열형 부유식방파제의 형상, 흘수 및 거리를 변화시키며 유동장을 수집하였으며, 방파성능에 따른 와의 생성 및 소멸시점에서의 파랑변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파제의 형상과 흘수를 달리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와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직 2차원 Navier-Stokes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수치모형실험 결과와 수리모형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후방방파제에서 발생되는 파랑은 입사파의 주기가 길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커지는 현상을 보였으며, 흘수심이 깊어질수록 전방방파제 입사 면에서 자유 수면이 높게 관측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비교적 장주기파랑에 해당하는 입사파랑의 경우 전달파고비 산정에 있어서 설계기준인 0.5를 대다수 초과하는 반면, 3열형 구조에서는 대부분이 0.5이하로 상당히 높은 방파성능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Dynamic Performance of Large Floating Wave-Offshore Hybrid Power Generation Platform in Extreme Conditions (대형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복합발전 구조물의 극한환경 운동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Kyong Hwan;Hong, Jang Pyo;Park, Sewan;Lee, Kangsu;Hong, Key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9 no.1
    • /
    • pp.7-17
    • /
    • 2016
  • The present study experimentally considers dynamic performance of large floating wave-offshore hybrid power generation platform in extreme condi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motion performance of the large floating hybrid power generation platform, 1/50 scaled model was manufactured. A mooring line was also manufactured, and free-decay and static pull-out tests were carried out to check the mooring model. A mooring line table was introduced to satisfy the water depth,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checked. Motion responses in regular waves were measured and complic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wave, wind, and current were applied to see the dynamic performance in extreme/survival conditions. Maximum motion and acceleration were judged following the design criteria, and maximum offset and mooring tension were also checked based on the rule.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 power generation platform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data.

Characteristics for Progressive Collapse Behavior and Ultimate Strength of Very Large Marine Structure (초대형 해상구조물의 붕괴거동 및 최종강도 특성)

  • Park, Joo-Shin;Ko, Jae-Yong;Lee, Kyoung-W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5
    • /
    • pp.315-321
    • /
    • 2009
  • The Very Large Marine Structure has been widely used new method of ocean space instead of method for reclamation Therefore, VLFS is proposed to coincide on such request. It can be established regardless of nature of soil and height of water, and stream of flow exists under the floating structure, there is seldom effect in natural environment. Fuertherrnore, it can do easily to do assembly and taking to pieces due to expansion or removal. Based on the regulation by class, VLFS have to possess more than enough structural strength against severe wave loading induced by green sea condition Therefore, There are performed structural simulation as well as experimental test about expected loading scenario in order to examine the safety of structure. Up to now, various examinations based on the strength limit value of the main structural material have been done based on the elasticity response analysis. However, there is little finding about the collapse behavior and the safety when the load that exceeds the collapse of the material ac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ollapse behavior based on the ultimate limit state calculated by FE-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