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사데이터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8초

해사데이터의 과학적 분석 및 활용을 위한 현행 법제도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urrent Legal System for Promoting Scientific Analysis and Utilization of Maritime Data)

  • 임광현;백종화;조득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4-305
    • /
    • 2022
  • 최근 디지털 통신기술이 해사(海事)분야에도 널리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과학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시도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해양수산부는 LTE-Maritime 통신망을 기반으로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서비스를 2021년부터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대용량의 해상교통정보를 데이터과학 기반으로 분석하여 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해사 분야의 데이터 기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적시에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는 법제도적 연구 환경의 조성이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사 분야 데이터의 종류를 살펴보고, 과학적 분석 및 활용과 관련된 법제도를 식별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 해사데이터의 활용을 제한하는 법제도적 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개선하여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s using Maritime Data

  • Lim, Sangseop;Jo, So-Hyun;Lee, Cha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75-180
    • /
    • 2022
  • 데이터는 21세기 원유로써 새로운 가치를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해운산업에서도 선박운항을 통해 축적된 많은 해사데이터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개발에 소홀하였다. 본 논문은 해운산업계 및 학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조사된 해사데이터의 종류와 이용가능성을 기반으로 주요 수요처와 수요형태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해사데이터의 특성과 수요를 고려하여 크게 민간형과 공익형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민간형의 경우 해사데이터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모델이며 주로 선박 내부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공익형의 경우는 공공의 안전과 사회적인 편익을 위한 모델이며 주로 선박의 외부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서비스와 결합될 경우 큰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제시된 비즈니스 모델들을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사안전정보 제공 서비스 운영 개념 설계

  • 오세웅;강동우;최현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2-363
    • /
    • 2018
  • 해사안전정보는 항행경보, 기상특보, 기타 긴급정보로 구성되며, NAVTEX와 SafetyNET을 통해 육상에서 선박으로 제공되고 있다. 현행 해사안전정보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e-Navigation 프로젝트에서 해사안전정보 전자데이터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국제기구 차원에서 S-124 항행경보 데이터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개발 사업에 추진 중인 해사안전정보 제공 서비스 개념과 기술을 바탕으로 해사안전정보 제공 서비스 운영 개념을 설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사안전정보 중의 하나인 항행경보를 중심으로 해사안전정보 제공 서비스 운영 및 적용 방안을 기술 하였다.

  • PDF

해사 메시징 서비스 통신을 이용한 SMART-Navigation 서비스 관리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이광인;김푸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18
    • /
    • 2017
  • 미래의 해상 환경에서 e-Navigation은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e-Navigation의 목적인 해양 사고 저감과 운항 효율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사 서비스들의 개발은 필수적이며, 이러한 서비스들을 관리할 수 있는 해사 서비스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인 SMART-Navigation 내에서 다양한 해사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종 통신 간 통신 수단의 전환에도 통신 단절 없이 서비스 사용자에게 등록된 해사 서비스의 메타 데이터를 전달하는 해사 서비스 레지스트리를 개발하기 위한 기본 개념과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프로토타입 해사데이터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rototype S-100 Data Model)

  • 강남선;손금준;정유준;김혜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27-53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이내비게이션 프로젝트의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중 상황대응 및 상황관리 프로토타입 모델을 개발하였다. 프로토타입 모델 개발을 위해서 해사데이터 교환 표준 현황과 S-100 표준 데이터 모델 개발 절차를 분석하고 개발 절차에 따라 서비스의 요구사항 분석 및 관련 표준을 참고하여 상황대응 및 상황관리 모델에 대한 프로토타입 어플리케이션 스키마를 개발하고, S-100 표준에 맞추어 프로토타입 피쳐 카탈로그와 프로토타입 포트레이얼 카탈로그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프로토타입 데이터 모델의 검증을 위해서 광양항을 기반으로 테스트 데이터셋을 제작하고, S-100 기반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검증한 결과 모든 데이터가 유효함을 확인하였으며, S-100 뷰어에서 정확한 위치에 지정된 심볼이 표출됨을 확인하였다.

자율운항 선박의 기관데이터 교환 시나리오 분석 연구

  • 이재웅;정은석;서강현;최혜진;정진희;김영민;유진호;박개명;김정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7-3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기관시스템 관련 통신관점의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 선박 운항 중 생성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할 독자적 인프라 구축, 검증에 관한 사항을 다루며, 통신관점에서 선박 경보 우선순위 설정 및 코드 생성 기준 방안 마련에 관한 그간의 연구를 소개하며, 궁극적으로 연구의 고찰과 함께 기관기기의 위험도 분석을 통한 데이터 교환 시나리오 도출 및 고도화를 위한 일련의 연구 과정을 다룬다.

  • PDF

한국형 e-Navigation을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연계 방안 연구 (A study on Efficient Data Linkage Method for Korean e-Navigation Service)

  • 서종희;김대윤;박순호;박개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13
    • /
    • 2019
  • 해사 빅데이터 연계체계는 한국형 e-Navigation에서 활용하는 해사관련 내 외부 데이터 연계를 위한 시스템이다. 내 외부에서 발생하는 해사 데이터들의 기술별 데이터 획득, 변환, 보관, 분석, 관리 응용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 단위로 구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워크플로우로 정의된 데이터들의 흐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e-Navigation 서비스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손쉽게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124 표준기반 해사안전정보(MSI) 서비스 기술 개발

  • 오세웅;강동우;최현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4-105
    • /
    • 2018
  • 해사안전정보(MSI)는 항행경보, 기상특보, 안전관련 긴급 정보로 구성되어 NAVTEX와 SafetyNet 체계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으로 해사안전정보의 필터링과 전자해도 시스템과의 연계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국제해사기구의 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의 해사서비스목록(MSP)으로 해사안전정보 서비스(MSP5)가 포함되었고, 국내외 e-Navigation 프로젝트에서는 국제표준에 기반한 해사안전정보 서비스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 사업의 중점 서비스로 개발 중인 S-124 표준기반 해사안전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배경과 주요 내용을 소개 한다. S-124는 항행경보와 T&P 항행경보를 포함하는 표준으로, 본 연구에서는 S-124 데이터 모델에 기반 하여 한국형 e-Navigation의 서비스 플랫폼인 MCP(Maritime Cloud Platform)를 통한 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결과를 기술 하였다.

  • PDF

해사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비밀분산 기반의 안전한 데이터 전송 기법 (A Secure Data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Secret Sharing for the Maritime Cloud Environment)

  • 이동혁;박남제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32-237
    • /
    • 2017
  • 해사클라우드는 해상 도메인의 여러 통신 링크 간 원활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e-Navigation의 주요 통신 기반 기술이다.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나, 현재까지는 기초적인 단계에 있다. 해사클라우드는 다양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므로, 기존의 해양 통신 환경보다 더욱 많은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사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비밀분산 방식을 기반으로 지오캐스팅을 통하여 비밀조각이 전달되며, 이를 기반으로 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특정 시점에 인가된 선박에 한해서만 원본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스니핑 및 중간자 공격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안전한 해사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SH-Tree 기반의 데이터 동기화 기법 제안 (A Proposal of SH-Tree Based Data Synchronization Method for Secure Maritime Cloud)

  • 이동혁;박남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929-940
    • /
    • 2016
  • 국제해사기구(IMO)의 e-Navigation 전략에 따라, 선박 및 육지간 안전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을 지원하는 통신 인프라가 필요한 상태이다. 해사클라우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른 해양 통신 인프라의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e-Navigation 도메인 지원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지원하고 있다. 안전한 해양 환경을 위해서는 해사 클라우드에 대한 연구와 함께 보안의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나, 아직까지 해사 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사 클라우드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의 안전한 동기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본 논문에서 제안한 SH-Tree 기반으로 선박간 동기화가 가능하며, 동기화 과정에서 정보 노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