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부학적 변이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理想材) 및 대응재(對應材)에 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Cellular Anatomy of Compression Wood and Opposite Wood in a Branch of Taxodium distichum Rich.)

  • 이필우;정연집;권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96-302
    • /
    • 1991
  • 본 연구(硏究)는 압축이상재가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는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의 기재(技材)로부터 압축이상재율과 편심율 변이에 따른 압축이상재와 대응재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비교(比較)하고자 실시하였다. 압축이상재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가도관의 둥근형태, 춘재로부터 추재로의 매우 점진적인 가도관 이행(移行), 가도관 선단부의 뒤얽힘 및 나선강(螺旋腔)과 세포간극의 존재 등에 있어 대응재와 다른 특성(特性)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압축이상재율과 편싱심률에 관계없이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적(數量的) 특성에 있어서도 압축이상재는 가도관장(假導管長)이 대응재보다 짧은 특성을 보였으나 방사조직(放射組織) 밀도(密度)와 단열방사조직(單列放射組織)의 수(數)는 압축이상재가 대응재보다 많았다. 그리고 단열방사조직의 세포고(細胞高)는 대응재가 압축이 상재보다 더 큰 특성(特性)을 나타내었다.

  • PDF

비자나무 천연생집단(天然生集團)의 세포유전학적(細胞遺傳學的) 및 생리학적(生理學的) 연구(硏究) (Cytogenetic and Physiological Studies in Natural Populations of Torreya nucifera)

  • 김영두;권영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1호
    • /
    • pp.42-54
    • /
    • 1989
  • 우리나라 비자나무 자연분포지(自然分布地)인 제주도, 남해 및 내장산의 삼개지역(三個地域)에서 집단간(集團間)의 관계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해부학적(解剖學的) 및 핵학적(核學的) 특성(特性)과 동위효소변이(同位酵素變異)와 기관(器官)의 내동성(耐凍性) 등을 조사(調査)한 바 1. 침엽(針葉)의 통도조직(通導組織)의 내피세포수(內皮細胞數)와 점액도(粘液導)의 최내위세포수(最內位細胞數)는 모두 제주도 집단(集團)의 것이 가장 많았고 집단간(集團間)에 차(差)가 있었다. 2. Somatic chromosome은 2차협착(次狹窄)이 남해집단(集團)에서 하나 더 나타나고, $b^{arm}/a^{arm}$ 치(値)가 3개집단(個集團) 모두 같았으나 제주도집단(集團)의 최소치(最小値)가 특이(特異)하였으며, Karyotype formula는 집단간(集團間)에 특이성(特異性)이 나타났다. 3. Meiosis시(時) chromosome의 이상행동(異常行動) 현상은 3개집단간(個集團間)에 차(差)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침엽(針葉)의 isoperoxidase 변이(變異)와 esterase 변이(變異)는 각각 비자나무 고유(固有)의 band가 나타나고 제주도집단(集團)에서는 band 수(數)도 많고 변이(變異)도 다양(多樣)하였다. 5. 동일(同一) freezing 조건하(條件下)에서 내장산집단(集團)이 동해(凍害)가 비교적 적고 제주도집단(集團)이 동해(凍害)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좌심방과 좌심방이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해부학, 정상변이 및 질환에 관한 임상화보 (Computed Tomography of the Left Atrium and Left Atrial Appendage: A Pictorial Essay on the Anatomy, Normal Variants, and Pathology)

  • 송민지;김성진;구현정;김문영;유진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272-289
    • /
    • 2020
  • 전산화단층촬영(이하 CT) 영상 기술의 발전으로 박동하는 심장에 대한 섬세한 영상의학적 평가가 가능해졌다. 심초음파 및 MRI에 비해 심장 CT의 강점은 대부분의 의료기관에 보급되어 있고 고품질 이미지의 빠른 생산이 가능하며 해부학적 묘사가 뛰어나다는 것이다. 좌심방과 좌심방이에서 생기는 대부분의 변이 혹은 병리적 상태들은 CT 상의 소견만으로도 추정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또한 CT 영상은 성공적인 카테터 기반 시술 또는 수술에 중요한 해부학적 정보들을 제공한다. 특히 좌심방과 좌심방이는 심방세동 환자들의 치료 및 관리에 중요한데, 이는 다양한 카테터 기반 시술들이 두 구조물의 기계적 혹은 전기적 차단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판독을 위해서는 병리적 상태의 CT 소견 기술과 함께 좌심방 및 좌심방이의 모양, 크기 및 주변 구조물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 등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해야 한다.

면역억제성 및 난계대성 질병 현황과 해결책

  • 이동우
    • 월간양계
    • /
    • 제33권8호통권382호
    • /
    • pp.155-157
    • /
    • 2001
  • 닭의 면역억제성 질병은 많은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새로운 병원체에 의한 또는 기존의 바이러스나 세균의 변이에 의한 면역억제성 질병의 유발 가능성은 향상되고 있다. 또한 닭은 생리학적과 해부구조학적으로 계란을 통한 병원체의 전파, 소위 난계대성전염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면역억제성 질병은 특이한 증상이 없이 준임상형 감염으로 나타나지만 경제적으로는 크나큰 피해를 일으킨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준임상형 면역억제성질병에 의한 피해는 현격히 눈에 띄지 않으므로 양계산업에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 PDF

촉수과 어류의 비교해부학적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II. 촉수과 어류의 계통유연관계 및 분류

  • 김병직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47-548
    • /
    • 2001
  • 합계 52개의 형질 중에서 종내변이를 보인 11개의 형질을 제외한 41개의 형질변환계열을 이용하여 촉수과 어류 41종의 분기분석(cladistic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최절약분기도 (most parsimonious tree, 수장 72, 일치지수 0.74)가 7개 얻어졌다. 그 중, 형질극성의 객관적 결정이 불가능하여 계통해석에 사용하지 않은 안전린(preorbital scales)의 형질진화를 최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던 1개의 분기도(지면관계상 생략함)를 촉수과 어류의 계통가설로 채용했다. (중략)

  • PDF

상악 측절치의 치내치에 대한 증례보고 (DENS INVAGINATUS IN MAXILLARY LATERAL INCISORS: REPORT OF 2 CASES)

  • 윤석희;이재천;김영재;장기택;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95-500
    • /
    • 2004
  • 치내치(dens invaginatus)는 치아 발생 과정 중 경조직이 석회화되기 전에 법랑질 상피가 함입되어 생기는 치아 기형이다. 치내치는 함입된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학적 변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기형은 미생물이 침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어 치수조직의 괴사와 치근단 농양 또는 치은 농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경우 근관의 복잡한 해부학적 형태 때문에 근관 치료가 매우 어렵다. 본 증례는 상악 좌측 측절치의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두 명의 환아들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 증례는 수산화 칼슘제재를 이용한 근관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두 번째 증례는 치아를 발거하였다. 발거된 치아는 미세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형태를 살펴보았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뇌종양 영상의 현재와 미래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Perspectives of Brain Tumor Imaging)

  • 박지은;김호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467-487
    • /
    • 2020
  • 뇌종양의 진단 및 치료 반응 평가의 기본이 되는 영상기법은 해부학적 영상이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기법들 중 확산 강조 영상 및 관류 영상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종양의 유전체 변이와 이질성 평가가 중요해지면서 라디오믹스와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분석기법의 임상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뇌종양 영상 임상 적용에서 여전히 중요한 해부학적 영상을 중심으로 한 자기공명영상 촬영 권고안, 최신 영상기법 중 확산 강조 영상 및 관류 영상의 기본 원리, 병태생리학적 배경 및 임상응용, 마지막으로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 라디오믹스와 딥러닝의 뇌종양에서의 향후 활용가치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치내치에 관한 치험례 (DENS INVAGINTUS : A CASE REPORT)

  • 김혜영;조호진;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59-664
    • /
    • 2004
  • 치내치는 치아 발육 중에 석회화되기 전, 치아의 법랑상피가 일부 함입되어 설측에 깊은 소와를 형성하는 발생학적 변이이다. 주로, 상악 측절치에 호발한다. 치내치는 형태학적으로 다양하며, 종종 초기에 치수괴사에 이르기도 한다. 치내치는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치수 치료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치내치는 초기 진단이 중요하고, 예방적 치료가 추천된다. 이에 본 증례는 치내치를 가진 환아에서의 치료에 관해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국내 시판용 목탄의 기능성 분석(II) (Analysis of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Wood Charcoal in Korea)

  • 이동영;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480-489
    • /
    • 2010
  • 국내 시판용 전통 목탄의 과학적인 성질 규명과 주요 기능성 분석과 이용 방안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에서 구입 가능한 시판용 목탄의 범위 내에서 해부학적 특성, 원소 조성, 무기성분 조성, 발열량,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량, 조습성 등의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재료로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판단하고자 하였다. 원소조성, 무기물 조성,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량은 목탄 제조 방법과 제조회사에 따라서 큰 변이를 보였다. 특히 조습성은 흑탄의 경우 백탄이나 기계숯 보다 열등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전통숯을 기능성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특성, 원소 조성, 무기물 조성, 발열량,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량, 조습성을 분석하여 선택적 이용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차후 원하는 기능에 맞는 목탄 제조 방법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산 물푸레나무속(屬) 주요 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Korean Ash Species)

  • 황원중;권구중;박완근;배영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79-86
    • /
    • 2002
  • 물푸레나무속의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및 쇠물푸레의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법과 화상분석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공시 수종간에 연륜 경계의 명확성을 비롯한 도돤 요소의 직경, 축방향유조직의 배열상태, 구성세포의 비율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성요소의 방사방향 변이에 있어서, 목섬유 길이, 도관 요소 직경 및 길이는 수심 부위에서 작고 약 10~15 연륜까지 증가한 후 안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물푸레나무속 세 수종의 식별자료 및 성숙재와 미성숙재를 구분하는 재질 지표치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