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마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해마 서식지의 혼재어류상

  • Chung, Min-Min;Lee, Jeong-Ui;Kim, Jae-U;Roh, Seom;Choi, Yeong-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8-138
    • /
    • 2003
  • 우리나라 전남 동부 연안에서 확인된 해마 서식지를 대상으로 해마 이외의 혼재 유영 어류에 대한 생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전남 동부 연안의 해마의 서식이 확인된 수역에서 임의의 3 정점 (A, B, C)을 지정하여 채집하였다. 해마 채집 및 혼재 어류상 조사에는 소형 선박을 이용하였으며, 길이 45m, 폭 5m, 망목 크기 6~8mm의 어구를 사용하여 서식 생물을 채포하였다. 그리고 1회에 어획된 전 어종을 한 조사군으로 설정하였고 채집된 해마와 혼재 어종에 대해서는 각 어종별 분류키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해마와 혼재 어류에 대해서는 0.1mm 범위에서 전장과 체장을 측정하였으며, 1mg 범위에서 체중을 측정하였다. 임의로 선정한 각 조사 정점별 채집된 해마와 혼재 어류상은 다음과 같다. 확인된 서식지는 전남 동부의 여수와 고흥 연안으로 각 지역별로 서식하고 있는 해마의 종류는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조사 정점 A와 B에서는 산호 해마 hippocampus sp. of. japonicus만이 관찰된 반면, 정점 c에서는 산호해마, 가시해마 Hippocampus sp. of. histrix, (참)해마 Hippocampus sp. cf. coronatus의 3종이 모두 관찰되었고 채집된 개체수도 정점 A와 B에서 1개체씩만이 관찰된 반면 정점 C에서는 5개체가 채집되어 다른 조사 정점에 비교하여 종의 수 및 개체수에서 매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조사 정점별 관찰된 유영 어류상은 정점 A에서는 7종, 정점 B에서는 6종 그리고 정점 C에서는 12종의 어류가 관찰되었고, 이들 중 해마를 제외한 혼재 어종 수는 정점 A, B 및 C에서 각각 6종, 5종, 9종이 관찰되었다. 혼재 어종 중 감성돔, 복섬, 두줄 망둑, 실비늘치, 주둥치는 조사정점 A, B, C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해마의 서식장 또는 산란장이 되는 조사 정점 C (36개체)가 다른 조사 정점 A (53개체)와 B (67개체)에 비교하여 해마의 어린 치어 또는 해마 성체를 포식할 수 있는 포식자의 개체수가 현격하게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임의의 3 조사 정점에서 혼재 어종의 출현 종 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오히려 정점 A에서 6종, 정점 5에서 5종 그리고 정점 C에서 8종으로 나타나 정점 C에서 다소 높은 혼재 어종 수가 관찰되었다. 결국 해마의 서식지 주변 혼재 어종 특히, 혼재 어종의 개체수가 많을수록 해마의 서식 밀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다른 조사 정점에 비교하여 정점 C에서 출현 종 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출현 개체수가 매우 낮은 이유로 혼재 어종도 자어 또는 치어 시기에 해마 성체의 먹이로서 이용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2003년 9월 (2일간)에 우리나라 전라남도 동부 연안에서 채집된 해마는 하루 오전과 오후 조석에 맞추어 4회에 걸쳐서 총 30여회 투망 작업한 결과 3종 62개체가 채집되었다.

  • PDF

3D Shape Analysis for the Hippocampus Using ICP Registration and Neural Networks (ICP 정합과 신경망을 이용한 해마의 3차원 형상 분석)

  • Kim, Jeong-Sik;Choi, Soo-Mi;Kim, Yong-Guk;Kim, M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4
    • /
    • pp.27-3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뇌의 하부구조인 해마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형상 정규화 방법과 정상인과 간질 환자의 해마를 분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해마에 대한 형상 분석 과정은 크게 형상 표현을 구축하는 과정, 형상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과정, 정상인 집단과 환자 집단을 분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의 형상 표현으로 메쉬, 골격, 복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옥트리 자료구조를 구축하였다. 또한 Iterative Closest Point (IC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마 골격을 기반으로 한 정규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규화된 해마 형상을 전역적, 국부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입력된 해마가 정상인 또는 간질 환자에 속하는지를 학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ICP 기반의 정규화 방법은 3차원 해마 형상을 정확하게 분석하게 해주고, 골격의 정점 수를 조절함으로써 정규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3차원 해마 모델의 형상을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시킴으로써 해마의 형상이 변형된 환자 집단과 정상인 집단을 분류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 PD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MR Volumetry: Comparison between Normal Adults and the Patients with Epilepsy and Hippocampal Sclerosis (MR 부피측정의 의의와 한계: 정상성인과 해마경화증 간질 환자의 비교)

  • 김홍대;장기현;한문희;김현집;이상건;이명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6 no.1
    • /
    • pp.47-54
    • /
    • 2002
  • Purpose : Hippocampal atrophy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pathologic findings of hippocampal sclerosis, for which MR imaging of the hippocampus is essential in the evaluation of hippocampal scler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ormal MR volumetric data of the hippocampus in normal adult Korean and to compare those with MR volumetric data of hippocampus in patients with hippocampal s-clerosis, providing the diagnostic volume criteria of the hippocampal atrophy. Materials and methods : MR volumetry was performed in 30 normal adults and 28 patients with temporal lobe epilepsy whose final diagnosis was hippocampal sclerosis. The volumetric data were compared between sexes, right and left sides, and normal and abnormal hippocampus, and the volume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hippocampal atrophy was determined. Results : The mean $volumes({\pm}standard$ deviation) of normal Korean adult were $2.20{\pm}0.73\textrm{cm}^3$ (right) and $2.17{\pm}0.72\textrm{cm}^3$ (left) in male and $2.27{\pm}0.47{\;}\textrm{cm}^3$ (right) and $2.23{\pm}0.48\textrm{cm}^3$ (left) in female. The mean right-left differences were $0.14{\pm}0.11\textrm{cm}^3$ and $0.19{\pm}0.13\textrm{cm}^3$ in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e MR volumetry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sexes and between right and left. The mean volum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hippocampus in hippocampal sclerosis patients was $1.46{\pm}0.60{\;}\textrm{cm}^3$, and the right-left difference was $0.51{\pm}0.41\textrm{cm}^3$, In comparison of two volume distributions between normal adult group and hippocampal sclerosis patients group, the reasonable diagnostic volume criteria was $0.4{\;}\textrm{cm}^3$ as right-left volume difference, in whic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re 0.61 and 0.90. In all patients with right-left volume difference more than $0.4{\;}\textrm{cm}^3$, visual determination of unilateral hippocampal atrophy was possible. Conclusion : The MR-based hippocampal volumetry is a useful add-on of visual MR diagnosis, only when visual diagnosis of hippocampal sclerosis is difficult.

  • PDF

MRI Findings of Acute Hippocampal Disorders: Pictorial Essay (급성기 해마 질환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임상화보)

  • Sangmin Park;In Kyu Yu;Hayo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3 no.5
    • /
    • pp.1046-1058
    • /
    • 2022
  • The hippocampus is one of the most metabolically active regions of the brain; therefore, it may be affected by various acute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nd categorize various acute conditions that can involve the hippocampus and explain the findings of MRI, especially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Acute hippocampal disorder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fection, inflammation, metabolic, ischemic, traumatic, and miscellaneous.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d on clinical findings and MRI, especially DWI. All diseases had been confirmed clinically or pathologically. Many acute hippocampal disorders overlap with the clinical manifesta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acute hippocampal lesions and understand their specific imaging findings for differential diagnosis.

한국산 해마의 서식지 보고 및 초기생활사

  • Roh, Seom;Choi, Yeong-Ung;Yoon, Yeong-Seok;Chung, Mi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6-57
    • /
    • 2003
  • 실고기과(Syngnathidae)에 속하는 해마류는 5300만년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해온 어류로 전 세계적으로 72%에 해당하는 32종이 인도-태평양연안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약제와 관상무역에서 넓은 시장을 형성하며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해마의 서식지와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최근 발견된 한국산 해마의 서식지와 채집된 2종 해마의 치어 초기생활사를 보고한다. 2003년 8~9월에 전라남도 여수시와 고흥군 주변해역에서 해마, Hippocampus coronatus 18마리(전장 40.8~79.5mm), 산호해마 H, japonicus 80마리(전장 28.1~56.3mm)가 채집되었고, 순환여과식 사육수조에서 사육하면서 자연산란한 치어를 대상으로 초기생활사를 관찰하였다. 사육은 유리로 된 사각수조(50$\times$30$\times$28cm)에 여과조(26$\times$26$\times$28cm)를 연결한 순환여과시스템에서 실시하였으며, 사육수온은 26.0$\pm$0.5$^{\circ}C$, 염분 32$\textperthousand$ 전후, pH 7.74 전후 그리고 DO 6.8mg/$\ell$ 전후였다. 먹이는 부화 2일령까지는 로티퍼, Brachionus rotundiformis를 단독 급이하였고, 부화 후 3일령부터는 로티퍼와 알테미아, Artemia sp.를 혼합 급이하였다. 치어의 성장 측정은 만능투영기를 이용하여 각 20마리를 무작위 추출하여 측정하였고 각 측정 부위별로 0.001mm까지 측정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전라남도 여수시와 고흥군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해마류는 해마(H. coronatus) 18개체, 산호해마(H. japonicus) 80개체의 2종이 채집되었고 순환여과시스템에 사육하던 중 5회 산란하였다. 해마(H. coronatus)는 부화 후 9~10일째에 Total length 11.67~15.98mm(평균 5.19mm, n=20), Trunk length 2.48~3.31mm(평균 2.63mm, n=20), Head length 1.31~2.27mm(평균 1.76mm, n=20) 그리고 Snout length 0.74~l.67mm(평균 1.09mm, n=20) 이었다. 한편, 부화 직후 산호해마(H. japonicus)의 치어는 난황을 거의 흡수한 상태였으며 부화 후 2~3일째 Total length 4.29~5.70mm(평균 5.09mm, n=30), Trunk length 2.06~2.73mm(평균 2.55mm, n=30), Head length 1.50~l.79mm(평균 1.06mm, n=30) 그리고 Snout length 0.81~l.14mm(평균 0.97mm, n=30)였다. 그리고 부화 후 5~6일째에는 Total length 4.33~6.33mm(평균 5.19mm, n=20), Trunk length로 2.48~3.31mm(평균 2.63mm, n=20), Head length 1.31~2.27mm(평균 1.76mm, n=20) 그리고 Snout length 0.74~l.67mm(평균 1.09mm, n=20) 이었다.

  • PDF

A Hippocampus Segmentation in Brain MR Images using Level-Set Method (레벨 셋 방법을 이용한 뇌 MR 영상에서 해마영역 분할)

  • Lee, Young-Seung;Choi, Heung-Koo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9
    • /
    • pp.1075-1085
    • /
    • 2012
  • In clinical research using medical images, the image segment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Especially, the hippocampal atrophy is helpful for the clinical Alzheimer diagnosis as a specific marker of the progress of Alzheimer. In order to measure hippocampus volume exactly, segmentation of the hippocampus is essential. However, the hippocampus has some features like relatively low contrast, low signal-to-noise ratio, discreted boundary in MRI images, and these features make it difficult to segment hippocampus. To solve this problem, firstly, We selected region of interest from an experiment image, subtracted a original image from the negative image of the original image, enhanced contrast, and applied anisotropic diffusion filtering and gaussian filtering as preprocessing. Finally, We performed an image segmentation using two level set methods. Through a variety of approaches for the validation of proposed hippocampus segmentation method, We confirmed that our proposed method improved the rate and accuracy of the segmentation. Consequently, the proposed method is suitable for segmentation of the area which has similar features with the hippocampus. We believe that our method has great potential if successfully combined with other research findings.

Tolerance by Electric Shock in Hippocampectomized Rats (뇌 해마가 제거된 흰쥐의 전기충격에 대한 내력(耐力))

  • Bai, Sun-Ho;Kim, Chu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v.9 no.1
    • /
    • pp.57-61
    • /
    • 1975
  • A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hippocampus upon tolerance by electric shock. Forty-eight male rats were used, of which 14 rats had their hippocampal tissue on both sides removed through an opening in the parieto-occipital cortex (hippocampal group), 17 rats received damage to the parieto-occipital cortex only (cortical control group), and 17 rats served as normal control animals. After 24 hours' fasting with water ad libitum, each animal was restrained on a plate with added electric shock (4 mA A.C., 1.5 sec in a duration, and once per minute in average) to the tail for the last 24 hours without food and water. The mortality in each animal group and the mean survival time of the dead animal during the repitition of electric shock were calculat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ortality was lower significantly in the hippocampal group than in the two control groups. 2. The mean survival time of the dead animal was longer insignificantly in the hippocampal group than in the two control groups. The inference from the above results is that the hippocampus exerts a inhibitory influence upon tolerance by electric shock.

  • PDF

Interactive Shape Analysis of the Hippocampus in a Virtual Environment (가상 환경에서의 해마 모델에 대한 대화식 형상 분석☆)

  • Kim, Jeong-Sik;Choi, Soo-Mi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5
    • /
    • pp.165-18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representation scheme for the shape analysis of the hippocampal structure and a stereoscopic-haptic environment to enhance sense of realism. The parametric model and the 3D skeleton represent various types of hippocampal shapes and they are stored in the Octree data structure. So they can be used for the interactive shape analysis. And the 3D skeleton-based pose normalization allows us to align a position and an orientation of the 3D hippocampal models constructed from multimodal medical imaging data. We also have trained Support Vector Machine (SVM) for classifying between the normal controls and epileptic patients. Results suggest that the presented representation scheme provides various level of shape representation and the SVM can be a useful classifier in analyzing the shap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 stereoscopic-haptic virtual environment combining an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a force-feedback (or haptic) device takes an advantage of 3D applications for medicine because it improves space and depth perception.

  • PDF

A Case of Anterograde Amnesia with Bilateral Hippocampus Involvement After Acute Glufosinate Ammonium Intoxication (급성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니움 중독 후 양측성 해마 병변과 전향적 기억상실증을 보인 증례 1례 보고)

  • Youn, Sung Won;Kim, Ho Kyun;Lee, Hui Joo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8 no.4
    • /
    • pp.352-356
    • /
    • 2014
  • A 51-year-old man developed anterograde amnesia following the ingestion of glufosinate ammonium. Brain MRI revealed hyperintense lesions involving the bilateral hippocampus and parahippocampal gyrus, and the right occipital lobe. The mechanism underlying acute glufosinate ammonium intoxication and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hippocampal lesions are discussed.

Intelligent Shape Analysis of the 3D Hippocampu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SVM을 이용한 3차원 해마의 지능적 형상 분석)

  • Kim, Jeong-Sik;Kim, Yong-Guk;Choi, Soo-M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87-139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SVM (Support Vector Machine)을 기반으로 하여 인체의 뇌 하부구조인 해마에 대한 지능적 형상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의료 영상으로부터 해마의 형상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임상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양의 표본들을 얻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의 지식을 기반으로 한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결국 이러한 요소들이 분석 작업을 어렵게 한다. 의학 기술이 복잡해 지면서 최근의 형상 분석 연구는 점차 통계적 모델을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로부터 고해상도의 매개변수형 모델을 만들어 형상 표현으로 이용하고, 집단간 분류 작업에 SVM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지능적 분석 방법을 구현한다. 우선 메쉬 데이터로부터 물리변형모델 기반의 매개변수 모델을 구축하고, PDM (point distribution model) 방법을 적용하여 두 집단을 대표하는 평균 모델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SVM 기반의 이진 분류기를 구축하여 집단간 분류 작업을 수행한다. 구현한 모델링 방법과 분류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커널 함수 (linear, radial basis function, polynomial, sigmoid)들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매개변수형 모델은 다양한 형태의 의료 데이터로부터 보편적인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또한 모델의 전역적, 국부적인 특징들을 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통계적 형상분석에 적합하다. 그리고 SVM 기반의 분류기는 적은 수의 학습 데이터로부터 정상인 해마 집단과 간질 환자 집단간의 정확한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