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독대사활성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신물질의 간독성 평가방법 개발 및 기작에 관한 연구

  • 차영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97-97
    • /
    • 1993
  • 본 연구과제에서는 적출판류간실험법 (isolated perfused liver technique)을 약물의 간독성 유발 및 보간작용에 관한 실험법으로 개발하고자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을 이용하여 보간실험을 하였다. BHA를 식이투여한 흰쥐로부터 적출한 간에 간독성 모델물질로 2,6-dichlorophenolindophenol (DCPIP) 을 관류시켜 관류액내의 DCPIP의 유리형, 환원형, glucuronide, sulfate 포합체의 대사체를 측정하여 DCPIP 외 대사양상을 관찰하였으며, 동시에 간세포 손상으로 관류액내로 유출된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DCPIP예 의할 간세포독성 유발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BHA에 의한 보간작용이 약물대사효소의 변와에 기인한 것인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델약물로 7-ethoxycoumarin (EC) 이나 EC의 phase I 대사산물인 7-hydroxycoumarin (HC) 을 관류시켜 관류액내의 HC의 유리체, glucuronide 포합체, sulfate 포합체로의 대사량을 측정하여 약물대사시 약물의 활성화에 관계하는 phase I mixed function oxidase (MFO) 효소와 약물의 해독화에 관계하는 phase II 포합효소 (UDP-glucuronyltranesferase(UDPGT)와 sulfotransferase (ST))의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간독성 모델물질인 DCPIP를 적출한 흰쥐의 간에 관규시켰을때 BHA 전처리군이 LDH가 유출되기 시작하는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늦었으며, LCH가 유출량도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DCPIP에 의한 간독성 유발능력이 BHA에 의하여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아울러 DCPIP의 대사체중 환원체와 glucuronide 포합체의 생성량이 증가되어 BHA에 의하여 quinone reductase와 UDPGT 활성도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BHA 전처리에 의하여 MFO효소계와 ST의 활성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UDOGT 의 활성도는 약 2.2배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BHA에 의한 보간작용은 간독성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phase I MFO 효소의 활성도에는 변화없이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phase II효소들의 활성도 증가에 기인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적출한 관류간실험법은 여러 약물의 보간효과를 관찰하는 실험법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Keratinocyte모델에서 발암성 이환방향족아민의 종(species)간 독성 감수성

  • 전향숙
    • 식품기술
    • /
    • 제12권2호
    • /
    • pp.26-38
    • /
    • 1999
  • 조리가공 중 생성되는 주요 발암성 이환방향족아민(heterocyclic aromatic amine)인 Trp-P-1 및 Trp-P-2가 human 및 rat keratinocytes에 대해 나타내는 세포 독성을 colony expansion법의 의해 조사, 비교하였다. 특히 Trp-P-2는 human keratinocytes에 대해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데 반해 rat keratinocytes(계대수 2-5)에 대해서는 독성을 나타내는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Trp-P-2의 종(species)간 독성감수성 차이가 대사 효소계 활성이나 mutagenic activation상의 차이에 기인되는지를 살펴본 결과, CYP4501As 및 독성감수성 차이가 크게 나타났던 human 및 rat keratinocytes의 microsome에서 거의 같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CYP4501A1 및 CYP1B1의 mRNA의 발현정도를 northernblot에 의해 살펴보았던 결과에서도 일치하였다. 반면 Trp-P-2의 대사활성화 및 해독화에 관여하는 효소인 N.O-acetyltransferase(NAT)활성은 rat keratinocytes보다 human keratinocytes에서 높았다. 일반적으로 독성물질의 해독화에 관여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GST) 또한 rat keratinocytes보다 human keratinocytes에서 높게 나타났다. Trp-P-2가 mutagenic metabolite로 활성화되는 정도를 salmonella microsome microsuspension assay로 살펴본 결과, 독성 감수성 차이가 크게 나타났던 human 및 rat keratinocytes간의 활성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DNA 및 단백질 adduct형성능의 경우, human 및 rat keratinocytes간 DNA adduct형성능에는 차이가 없었고, 단백질 adduct형성능의 경우만 Trp-P-2에 대한 독성감수성 정도가 컸던 rat keratinocytes가 다른 세포들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YP1A- 또는 CYP1B1-관련 마이크로솜 효소활성이나 mutagenic activation은 human 및 rat keratinocytes간에 나타났던 독성 감수성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으며, 해독화에 관여하는 효소활성이 종간 관찰되었던 독성 감수성의 차이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살균제 carbendazim이 랫드 간 해독체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gicide Carbendazim on Hepatic detoxication systems of rat)

  • 이제봉;신진섭;정미혜;박연기;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8-346
    • /
    • 2005
  • Carbendazim의 랫드 간 해독체계에 대한 영향을 검색하기 위하여 간장독성의 지표 효소인 혈장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 간에 대한 독성, 해독 및 대사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간 GSH(glutathione), GST(glutathione-S-transferase), cytochrome P450 및 cytochrome P450 reductase 활성을 375, 750, 1,500 mg/kg 약량에서 측정한 결과 혈장 ALT 및 AST 활성이 120분 후에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특이한 독성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GSH는 고농도와 중농도 120분에서 20%의 함량증가가 있었고, GST는 120분까지 $36{\sim}50%$ 정도의 활성저해가 있었으나 240분에는 활성이 회복되었다. Cytochrome P450함량은 60분까지 $25{\sim}50%$까지 함량이 저하되었으나 120분에 70%이상 회복되었고, 240분 저농도에서는 거의 회복되었으며, cytochrome P450 reductase도 120분까지 $25{\sim}50%$ 활성저해가 있었으나, 240분에는 무처리 군의 활성과 유사하게 회복되어 대사관련 효소에 대한 손상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benzimidazole 계 살균제인 carbendazim은 생체내 해독 및 대사관련 체계에 영향이 적은 농약으로 급성적인 중독은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cetaminophen의 간독성에 미치는 수종 생약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s of Traditional Dru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

  • 정기화;정진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2-172
    • /
    • 1993
  • Acetaminophen(이하 AAP)은 간의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의해 toxic metabolite로 대사되어 간괴사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지금까지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이나 생약의 cytochrome P450의 활성과 간의 glutathion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P의 간독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규명하고자 민간이나 한방에서 보간 또는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약을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간의 약물대사 효소계에 엉힝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강활(Angelica koreana)과 민간이나 한방에서 간질환치료의 목적이나 해독제로 쓰여온 시호(Buplerum falcatum), 토복령(Smilax china) 및 금은화(Lonicera japonica)가 AAP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예비실험을 통해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의 MeOH ext.가 AAP로 유도된 간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hexane, ether, ethyl acetate 및 butanol로 계통분획하여 랫트에 전처치한 후 고농도의 AAP를 투여하여 간 손상을 일으키고 혈청중의 효소활성과 지질ㆍcholesterolㆍbilirubin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 PDF

배추좀나방의 Fenvalerate에 대한 저항성 유전 (Inheritance of Fenvalerate Resistance in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inne(Lepidoptera: Yponomeutidae))

  • 김길하;이준호;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6-110
    • /
    • 1991
  •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Fenvalerate에 대한 저항성 유전양식을 살충제 감수성과 해독댓활성 시험으로 조사하였다. 실내감수성계통(S)과 Fenvalerate도태저항성계통(R)의 정역교배에서 얻어진 양$F_{1}$ ({TEX}$S_{♀}${/TEX}$\times$$(S_{female}\timesR_{male},\;R_{female}\timesS_{male})$은 약량과 사망률 관계에서 감수성 차이가 없었다. 양$F_{1}$ ({TEX}$S_{♀}${/TEX}$\times$$(S_{female}\timesR_{male},\;R_{female}\timesS_{male})$의 우성도는 살충제 감수성에서 각각 -0.50, -0.46, 해독대사활성시험에서 각각 -0.85, -0.81로 나타났다. 따라서 fenvalerate저항성 유전자는 상염색체상에 존재하며 불완전열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romobenzene 간손상에 대한 Diallyl Disulfide의 예방효과 (Protective Effect of Diallyl Disulfide on the Bromobenzen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이상일;윤종국;허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5-192
    • /
    • 1990
  • Diallyl disulfide의 간손상 예방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mouse에 bromobenzene을 투여해 간 손상의 model을 만든 다음 실험을 행하였을 때, diallyl disulfide를 전처치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간손상의 정도가 경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diallyl disulfide의 간손상예방 효과 기전을 구명할 목적으로 bromobenzene의 활성화 및 해독 관련 효소들의 활성을 검토하였을때 활성화 효소인 aniline hydroxylase와 해독 효소의 일종인 epoxide hydrolase의 활성은 diallyl disulfide 전처치에 의해 변동이 없었으나, 나머지 해독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은 유의 하게 증가되었고 이의 포합인자인 glutathione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diallyl disulflde에 의한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 증가현상이 어떠한 기전으로 나타나는지 검토 하였을때, diallyl disulfide를 전처치 함으로서 Km치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Vmax치는 대단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험관내에서 diallyl disulfide의 첨가농도를 증가시켰을 때에는 효소활성은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diallyl disulfide 전처치에 의한 bromobenzene이 유도한 간손상의 예방효과는 diallyl disulfide가 bromobenzene의 독성 중간 대사산물인 bromobenzene 3,4-oxide를 해독하는 glutathione S-transferase 단백의 합성을 유도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어지나 이점에 대해서는 추후 계속적인 연구 검토가 행해져야 할것이다.

  • PDF

독성물질 해독작용에 미치는 인삼의 효능 (THE ROLE OF PANAX GINSENG IN DETOXIFICATION OF XENOBIOTICS)

  • 이재열;박진규;김은경;고지훈;이정숙;김경영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21-26
    • /
    • 1984
  • 생체에 투입되는 이물질(xenobiotics)들이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나아가서는 암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은 이물질들이 생체내에서 어떤 양상으로 대사되느냐, 즉 이물질이 독성화되는 과정과 해독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활성도의 차이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삼이 이물질 대사 및 해독작용에 어떤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기 위하여 동물 실험을 통하여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과 그 외 다른 유독한 화학약물들의 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인삼투여군에 있어서 cyt. P-450와 관련된 Monooxy-genase system이 선택적으로 유도되었고 또 해독작용에 필수적인 Conjugation도 현저히 상승되었다. 이와 같은 이물질 해독작용의 선택적 유도는 인삼이 이물질 대사과정에 영향을 미쳐 독성물질 해독 항진효능이 있음을 제시해 주는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 PDF

유기게르마늄(GE-132)이 Bromobenzene의 대사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132 on the Hepatic Bromobenzene Metabolizing Enzyme System in Rats)

  • 김석환;조태현;최종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2-708
    • /
    • 1993
  • Bromobenzene투여시 GE-132의 해독기전을 추구할 목적으로 epoxide생성계와 해독계 효소 및 glutathione 관련 효소계의 활성에 GE-132가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 GE-132(100mg/kg)의 전처리로 cytochrome P-450, amino=pyrine demethylase 및 aniline hydroxylase와 해독계 효소인 epoxide hydrolase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glutathions S-transferase활성은 증가 하였다. Bromobenzene(460mg/kg)을 주사하였을때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던 것이 GE-132의 투여로 대조군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조직내 glutathione의 함량변동도 bromobenzene 투여로 감소되던 것이 GE-132의 전처리로 bromobenzene단독 투여군보다 증가되었으며 ${\gamma}-glutamylcystein$ synthtase의 활성은 각 실험군에서 별다른 영향이 없는데 비해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은 bromobenzene투여로 억제 되던 것이 GE-132의 전처리로 대조군 수준으로 활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 PDF

매실 과피, 과육과 핵의 품종별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ation of Plum (Prunus mume Sieb. et Zucc.) Flesh, Pericarp and Stone Extracts)

  • 서지원;최현선;천정남;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0-100
    • /
    • 2019
  • 매실에는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피루브산 등의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체내의 대사작용을 돕고 세포와 근육에 필요물질인 젖산을 분해하여 피로를 감소시켜주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있다. 또한 피루브산은 간의 피로, 해독작용을 활발하게 도와주며 카테킨산은 장내의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식중독을 예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설사와 변비를 치료하는데도 효과가 있으며 다량의 비타민C의 함유로 인하여 체내의 피로회복을 돕고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매실은 전라남도 해안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특히 순천과 광양지역에서 다양한 품종들을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순천과 광양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남고, 천매, 고성, 앵숙, 풍후, 옥영, 임주, 청축, 백가하 등의 잎과 과육, 핵의 추출물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은 핵, 과육보다 잎에서 양호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매실의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던 바, 매실의 대부분의 품종에서 항산화 활성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부위별에서는 핵보다는 잎과 과육에서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품종별로는 앵숙, 남고, 청축에서 다소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매실의 항산화 활성은 품종별, 부위별로 상이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미생물에 있어서 글리옥살라아제 I의 효소학적, 유전학적 고찰 (Enzymatic and Genetic Aspects of Glyoxalase I in Microorganisms)

  • 이해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08
    • /
    • 1990
  • 효모나 세균을 이용한 메칠글리옥살 대사의 효소학적, 유전학적 연구로부터 생물체들은 메칠글리옥살의 해독을 위하여 보편적이고 다양한 경로를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이들 대사경로 가운데 글리옥살라아제 I은 메칠글리옥살 해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로이다. 글리옥살라아제 I의 분자구조는 효소의 기원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났고, 아연 이온은 효소활성에 필수적이었다. Pseudomonas putida의 글리옥살라아제 I은 유전자는 메칠글리옥살리아의 제거제로 작용하였고, 또한 세균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활을 가지고 있었다. 본 유전자의 염기배열과 정제효소의 아미노 말단을 비교해 본 결과 아미노 말단의 메치오닌 잔기는 번역 후 제거 됨을 알았다. 그밖에 글리옥살라아제 I의 생리학적 역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