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해정보

Search Result 1,43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자율운항선박 플랫폼 개발을 위한 항해정보 분석에 관한 연구

  • An, Yeong-Ju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2-233
    • /
    • 2019
  • 자율운항선박 개발은 해운분야의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선박과 육상 간 통신기술 기반의 정보 연결성(connectivity)은 자율운항선박의 실현에 있어 중요한 연구 분야이며, 단위기능 제공에 한정되어 있는 항해 장비 간 통신까지 포함된다. 그러나 수집되는 항해정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선내 플랫폼(Platform)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항해장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고, 원격운항과 자율운항 선박에 적용될 수 있는 항해정보관리 플랫폼의 기능 및 구조설계와 정보처리에 대한 프로세스 제안을 위한 선행연구로 항해 장비들의 취득정보를 분석하였으며, 응용서비스 및 보안관리에 필요한 정보사항과 기능을 정의하였다. 항해정보관리에 한정 하여 수집되는 정보들에 대해 분석하였으나, 선내 플랫폼 개발의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선박에서의 Navtex사용에 대한 실태 조사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초안마련

  • Gang, Seo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4-36
    • /
    • 2014
  • 연안항해에 있어 중요한 항해정보를 제공해주는 Navtex가 다량의 정보수신, 중복 정보의 수신, 항해에 불필요한 정보의 수신등으로 인해서 실제로는 항해사들의 업무과중을 초래하고 있고 사용자들이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실제 항해에 중요한 정보를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실무에서 Navtex를 사용하는 항해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현황을 분석하고 안전항해를 위한 효율적인 Navtex사용에 대한 방향 및 제도개선의 초안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정박선의 AIS 데이터 분석

  • Kim, B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11-113
    • /
    • 2014
  • AIS의 항해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 입력해야 하는 정보이며, 항해상태 정보에 따라 AIS의 동적정보 전송주기는 자동으로 변하게 된다. 정박 또는 묘박선의 경우 AIS 항해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으면 동적정보가 불필요하게 자주 발신되어 AIS의 슬롯 점유율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박선의 AIS 데이터를 수신하여 비정상적으로 동적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AIS 동적정보 전송 주기의 변경을 제안하였다.

  • PDF

해양기상신호표지 정보를 이용한 소형어선 안전대책 연구

  • 최광영;박영수;김대원;송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48-49
    • /
    • 2021
  • 소형어선 안전대책 연구는 연근해 조업 소형어선에 대해 해양기상신호표지 정보를 이용해서 항해안전대책 강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해양사고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연근해 조업 소형어선의 사고가 해양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복원성 승인 및 유지 제외 선박(길이 24m 미만)이 대부분으로 건조 시부터 폐선 시까지 항해안전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여 사고 발생 시 전복사고로 인한 사망, 실종 등 인명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어선의 항해와 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양기상정보는 여러 기관별 목적에 맞게 수집되고 있으나 활용도가 떨어지고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해양기상 예/특보 정보는 기상 예보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실제 기상과 다를 수 있으며 지역 및 지형에 따라서도 기상여건이 상이하므로 현지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한 소형어선에 대한 항해안전 정보 지원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기관에서 운용중인 해양기상신호표지 정보를 이용하여 소형어선에 대한 안전대책을 강화하고자 함이다.

  • PDF

클라우드 VTS 사용자 요구사항 및 서비스 시나리오

  • 이진석;이홍훈;이창현;남궁호;윤익현;김주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6-27
    • /
    • 2022
  •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VTS 통합 플랫폼 개발에 있어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 및 서비스 시나리오 설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클라우드 VTS 시스템 연계 정보를 VTS 내부와 외부 정보로 식별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 PDF

Design of Web application for Deep-sea fishing Sailing Information based by RIA (원양어선 항해정보를 위한 RIA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Jung, Hoe-Jun;Park, Dea-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0
    • /
    • pp.2272-2278
    • /
    • 2011
  • The company which have deep-sea fishing vessel have to improve their voyage dashboard that was operating by manually to grasp sailing information of fishing vessel. This thesis design sailing information that is ship location on the globe, a catch of fish, and line of longitude and latitude to display on the map more visually by using on-line PC or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Thesis considered about designing web application which is available to visualize sailing information of 37 deep-sea fishing vessels in operation by using Flash-based RIA technology. This system was improving operator's and administrator's satisfaction of using information because, It make possible not only to grasp status of many vessels in one display but also to monitoring situation and deciding proces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plan of 'Integrated Navig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for Preventing Maritime Accidents (사고저감을 위한 "통합 항해환경 정보시스템" 개발 계획에 관한 기초 연구)

  • Song, Tae-Han;Kim, Young-Du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8
    • /
    • pp.57-6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5년간의 해양사고 유형별 원인분석을 통하여 사고의 주요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고, 국내외 해양안정정보 사례에 대한 분석 및 국내 항해환경정보 제공 활용의 문제점과 국외 사례로부터의 시사점 도출을 통하여, 사고저감에 대한 대책으로 항해환경에 대한 정보의 통합 필요성, 이용자 정보중심의 정보제공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으며, 항해관련 안전정보들의 통합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배분을 위한 가칭 '통합 항해환경 정보제공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Analysis of User Needs Supporting Navigational Safety in Coastal Area (연안해역의 안전항해를 위한 사용자 요구사항의 분석)

  • Jeong, Jung-Sik;Jeong, Jae-Yong;Kim, Seon-Ye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1-43
    • /
    • 2012
  • E-Navigation 아키텍쳐 상세화 과정에서 이용자 요구사항은 안전항해 기능정의 레벨과 사용자 요구서비스 상세화 레벨로 나누어 입력된다. 본 연구는 연안해역에서 선박안전 항해를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정보 및 서비스 레벨에서 정보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선사, 선장 및 VTS 운영자, 해양경찰청에 근무하는 항해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행하고 그 결과는 해양기상 및 해상상태 정보, 상황인식 및 충돌방지를 위한 정보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 PDF

Methods for Testing Navigation Data of Validity and Integrity (항해데이터의 유효성 및 무결성 검증을 위한 평가방법)

  • Choe, Hang-Soeb;Park, Dong-Ho;Kim, Ki-Cheol;Jin, Min-J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1136-1137
    • /
    • 2006
  • 통합항해시스템이라 함은 자동화된 선박의 운용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항해 센서(GPS, Gyro, Speed Log, echo sounder)를 이용하여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수하여 최적의 항로를 설정해주고, 운항의 안정성과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즉,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다수의 모듈들을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합된 형태로 운용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시스템이 통합항해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통합항해시스템은 다양한 항해 센서들과 항해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항해 데이터들은 항해 센서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통합항해시스템은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평가하고 잠재적 위험과 무결성 저하에 대해서는 적절한 경고를 제공하여야한다. 따라서, 항해센서 데이터의 유효성(Validity) 및 모호성(Plausibility) 검사와 무결성 감시(Integrity Monitoring)는 통합항해시스템의 필수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EC 61924 규격에 의한 항해센서로부터 수신된 항해데이터가 정확하고 유효함을 가지는 지에 대한 가치평가의 척도와 독립적인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비교하여 검증하는 무결성, 정확도 이내의 정보를 완전하고 명확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무결성 감시의 방법을 제시하며, 항해센서들에 의해 취득되는 항해 데이터의 무결성 검사를 통한 유효성, 적용가능성, 무결성의 평가방법을 기술한다.

  • PDF

Foundation Mobile System Development for Ship Navigation (항해지원을 위한 기초 모바일 시스템 개발)

  • Kang, Dong-Woo;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25-26
    • /
    • 2011
  • 해안선 및 해안지형은 지진활동 및 화산활동 등으로 인해 해양의 지형은 때때로 변화한다. 때문에 해양 선박 경로에는 많은 지형 변화와 기상 조건 등에 의해 큰 위험이 존재한다. 선박들은 이런 위험을 방지 또는 대책마련을 위하여 많은 장비를 탑재하여 항해의 안전을 도모한다. 대형 선박의 경우 AIS 장비 등의 도움으로 항해사의 중요한 업무를 보조하고, 주변 상황 인지를 통해 위험요소를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하지만 대형 선박은 AIS 등과 같은 대형 장비의 탑재가 가능한 반면, 해양 근해만을 항해하게 되는 소형 선박의 경우 고가의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비용, 공간의 제약의 부담이 있다. 이 때문에, 모바일 시스템 이용하여 항해지도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면 비용과 공간의 제약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시스템 이용하여 해양선박의 항해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지도 서비스 및 기상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